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새 탐사선] 파커 솔라 프로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유진 파커는 태양 연구에 독보적인 기여를 한 과학자예요. 그는 코로나의 온도가 100만℃ 이상으로 특별히 높은 이유를 설명하는 이론을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1950년대 당시에는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던 태양풍의 존재를 예측했어요. 이후 각종 탐사선과 위성을 통해 실제로 태양풍이 관측되면서 ... ...
- [과학뉴스] 목성은 태양계의 맏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텅스텐과 몰리브덴 ●동위원소의 양을 분석했답니다. 그 결과, 태양계가 생성된 지 100만 년 정도가 흘렀을 때 목성 주변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나타났어요.●동위원소 : 화학적 성질은 같지만, 질량이 다른 원소.즉, 이 운석은 원시 목성이 큰 중력으로 주변의 물질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천체가 ... ...
- Part 3. [미션 1] 코로나의 수수께끼를 풀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핵폭탄 폭발과 맞먹는 위력이에요. 그래서 폭발할 때마다 근처 태양 대기의 온도가 1100만℃까지 올라가지요. ➊ 태양의 대류층에서 플라스마 입자들이 움직이면서 만든 파동이 코로나에 열을 전달하는 모습.➋ 수많은 나노플레어가 폭발하면서 생긴 열이 코로나로 모이는 모습을 나타낸 그림 ... ...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개발한 전동카트인 ‘에어카트(AIRCART)’였다. 사람이 카트를 미는 힘을 보조해 줘서 100kg 이상 책을 실어도 빈 카트를 미는 것처럼 힘이 거의 들지 않는다. 에어카트는 최대 160kg까지 힘을 낼 수 있다. 기자가 직접 카트를 붙잡고 밀어 보니 전원을 켰을 때와 껐을 때 미는 힘 차이가 상당했다. 일반 ... ...
- [Origin] 빅뱅 우주론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유명세가 아닌 연구 업적이 궁금했던 터라 논문을 내려받았다. 하지만 그의 논문은 무려 100페이지가 넘었고, 대학 시절 기자를 괴롭혔던 수많은 수학 기호들로 가득 차 있었다. 악몽이 되살아나는 순간이었다. 하지만 그대로 포기할 수는 없었다(고 말해본다). 다행히 김항배 한양대 물리학과 교수의 ... ...
- Part 2. 장난감 연구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원리로 도는 장난감으로, 거울 위에 자석으로 된 원반을 올려놓고 돌리면 쓰러지지 않고 100초 이상 돌아요. 새로운 돌림힘 없이 계속해서 도는것이 신기했던 모팻은 오일러의 디스크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방정식을 만들었어요. 방정식에 따르면 디스크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디스크가 오래 돌고, ... ...
- Part 2. 재료를 준비하라!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준비할 때 이익을 얼마나 기대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그렇다면 예상 평균 수요량인 100개보다 재료를 많이 준비할까, 적게 준비할까? 답은 순이익에 따라 다르다. 순이익이 크면 기대이익도 크기 때문에, 예상 평균보다 많이 주문할 때 기대이익과 기대손실이 같아진다. 반대로 순이익이 작으면 ... ...
- [DJ CHO의 롤링수톤] 김소희의 ‘춘향가’ 판소리 명창의 비법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주파수의 단위는 Hz로, 1초당 1회 반복하면 1Hz입니다. 예를 들어 100Hz는 성대가 1초에 100번 진동한다는 뜻이지요. 폭포 앞 득음이 과학적인 진짜 이유보통 사람의 목소리는 낮은 주파수 영역에서 큰 진폭을 나타내고,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진폭이 급격히 감소합니다. 그러나 소리꾼은 중간 높이에서 ... ...
- [과학뉴스] 살아 있는 대장균이 들어간 운동복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열려요. 반면 건조할 때는 세포가 수축해 섬유의 부피가 줄면서 덮개가 닫히지요. 이를 100번 반복한 뒤에도 섬유의 성능은 떨어지지 않았답니다.연구를 이끈 왕 웬 연구원은 “운동복을 입고 직접 운동을 해 보니 마치 등 뒤에 에어컨을 단 것 같았다”며, “발바닥의 땀을 제거해 주는 러닝화도 준비 ... ...
- [과학뉴스] 플라스틱이 물벼룩 생존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9월 21일자에 발표했다. 미세 플라스틱은 크기가 10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이하인 아주 작은 플라스틱 입자를 말한다. 합성섬유 조각과 타이어 마모 입자 등 일상 생활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빗물에 씻겨 호수나 강 등 담수 생태계로 이동한다. 해양 ... ...
이전1691701711721731741751761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