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체"(으)로 총 6,98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공존할 새로운 문법이 필요하다지금 우리가 맞닥뜨리는 현상들은 근대적 삶의 양식 전체를 뿌리에서부터 흔드는 변화다. 프랑스의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이 근대 휴머니즘에 은폐돼 있는 정치성을 폭로함으로써 근대의 종언을 주장했다면, 과학기술의 발전이 야기하는 변화들은 훨씬 더 근본적인 ... ...
- 단맛 실험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않고 우르르 쏟아 붓기 때문이에요. 실제로 이렇게 구형인 초코볼을 담으면 초코볼은 전체 공간의 64%밖에 채우지 못한답니다.미국 프린스턴대학교 물리학과 폴 채이킨 교수는 지난 2004년 초코볼이 타원형일 때 구형보다 더 공간을 많이 채울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 초콜릿을 좋아해서 ...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극히 일부를 관측하는 전자기파 망원경과 달리, 중력파와 중성미자 관측소는 천구 전체를 동시에 관측한다. 사방에 눈이 달려있어 고개를 돌릴 필요가 없는 셈이다. 게다가 전자기파보다 순서상 먼저 신호가 잡힌다. 중력파나 중성미자는 일기예보를 하듯 전자기파를 예보할 수 있다.미국의 중 ...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상황을 생각하시면 됩니다(벌써 근질근질 하시죠?). 굉장히 성가신 가려움이죠. 몸 전체의 피부에서 나타나는데 특징은 아주 약한 움직임으로 발생된다는 겁니다. 이것이 느껴지면 ‘벅벅’ 긁거나 문지르고 싶어지죠.가려움은 연구가 많이 진행됐습니다. 아토피피부염, 두드러기, 피부 건선 등 ... ...
- [지식] 알고 쓰면 과학, 모르고 쓰면 사기 P-value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론 바서스타인 ASA 회장은 “P-value를 잘못 사용하는 사례가 많아지면서 통계학 전체를 의심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며, “P-value는 통계적으로 유용한 방법으로 제대로 알고 사용하면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사실 P-value에 관한 문제는 이를 개발한 로널드 피셔도 알고 ...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웨스트나일 바이러스에서도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단백질인데, 지카 NS1 단백질의 전체적인 구조 역시 다른 바이러스와 비슷했다. 다만 단백질을 이루는 아미노산들이 중앙에서 꼬인 고리(loop) 구조의 전기적 분포가 달랐다. 뎅기열은 이 부분이 양의 전하를, 웨스트나일 바이러스는 음의 전하를 띤다. ... ...
- Part 3. 마르둑 신이 있는 목성을 찾아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소수점 사이의 자리를 구분할 때만 ‘;’을 이용한다. 이런 방법으로 구한 목성의 전체 이동 거리는 16;15°이다. 10진법으로 바꾸면 120일간 목성은 16.25°만큼 이동했다. 연구를 이끈 독일 홈보트대 고대과학사학과 오센드리버 교수는 점토판에 그래프로 표현돼 있지는 않았지만 바빌로니아인들은 ...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쌍=지난 달 태어난 토끼 쌍+지난 달 자란 토끼 쌍’이 됩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구한 전체 토끼 쌍의 수는 1, 1, 2, 3, 5, 8, 13 …입니다.여기서 잠깐! 혹시 규칙이 보이나요? 2+3=5와 같이 앞의 두 수를 더하면 그 다음 수가 됩니다. 이 규칙으로 만든 수가 바로 피보나치 수입니다. 이 수가 신비로운 이유는 ... ...
- [과학뉴스] 고대인의 본성은 선한 천사?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학살이 이뤄졌는지를 집중적으로 확인했다.분석 결과 공격을 받은 흔적이 있는 유골은 전체 유골의 1.8%에 불과했다. 성인 유골로 대상을 한정했을 때는 0.89%로 비율이 더 낮았다. 다른 지역에서 조사된 비율인 14%에 훨씬 못 미치는 수치다. 연구팀은 이런 경향이 일본 전지역에서 고르게 나타났기 ... ...
- PART 2 "젊은 연구자들에게 기회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각 연구단에 박사후연구원 비율을 높이도록 장려해 왔다”고 말했다. 명경재 IBS 유전체항상성연구단장(UNIST 생명과학부 교수)은 “우리 연구단의 경우 절반이 박사후연구원”이라며 “박사후연구원들이 자율적으로 팀을 구성하고 연구를 진행할 수 있게 했더니 비율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IBS에 ... ...
이전1691701711721731741751761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