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문"(으)로 총 6,72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북한은 정말 수소폭탄을 터트렸을까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반응을 일으키는 수소폭탄은 핵분열 폭탄보다 훨씬 더 정교한 기술이 필요하다.핵무기 전문가인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원자력핵공학과의 스캇 켐프 교수는 e메일 인터뷰에서 “현재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것은 증폭형(boosted) 핵분열탄”이라고 추측했다. 증폭형 핵분열탄은 핵분열과 핵융합의 중간 ... ...
- Interview. “수중시체 검시, 특별한 애정 필요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조선대 의학전문대학원 법의학교실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수중시체를 가장 많이 검시한 법의학자 중 한 명이다. 그는 1998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입사해 법의학과장, 서부분소장을 거쳐 2009년 퇴임할 때까지 10년 넘게 검시를 했다. 그동안 호남(전북, 전남, 광주) 일대에서 발생한 수중시체는 대부분 ... ...
- [Tech & Fun] 다윈의 특별한 어려움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보시라. 허무하게도, 오늘날 이 문제는 어린아이 팔 비틀듯 간단하게 설명된다(다소 전문적이므로 여기선 다루지 않는다).그렇다면, 불임성 일꾼의 진화라는 ‘사소한’ 어려움에 대해 다윈이 찾은 해답을 들어보자. 다윈은 “선택이 개체뿐만 아니라 가족에도 가해질 수 있음을 상기한다면” 이 ... ...
- [Tech & Fun] 국간장, 진간장 이게 다 뭐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사실 된장, 고추장은 놔두고 간장만 이렇게 복잡할 필요가 있는지는 의문입니다.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면 좀더 쉽게 간장 이름을 부르는 방법이 나오지 않을까요 ... ...
- [News & Issue] 오큘러스 리프트과학동아 l2016년 02호
- 20개국에서 시작됐습니다. 가격은 599달러로 예상(300~350달러)보다 훨씬 높았습니다. IT전문매체 WCCF가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1358명 중 1062명(78%)이 ‘오큘러스 리프트 가격이 너무 높다’고 했고, 그중 916명이 ‘가까운 시일 내로 사지 않겠다’고 답할 정도로요.하지만 예약판매가 ... ...
- [News & Issue] 자연닮은 생체모방무예, 쿵후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태극권이나 올림픽 종목인 우슈가 대부분 입니다.궁금증을 풀려면 동물을 형상화한 남권 전문가를 만나야 하는데 말이죠. 수소문 끝에 남권의 가장 큰 문파인 홍가권 전수자 한 명이 인천에 있다는 소식을 듣고 한걸음에 달려갔습니다. 황비홍의 4대 제자인 필서신정무문쿵후총본관 관장은 동물을 ... ...
-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서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알 수 없는 이유가 바로 플랑크톤을 검출할 때 강산을 쓴다는 점이다. 김윤신 조선대 의학전문대학원 법의학교실 교수는 강산 대신 단백질 분해효소를 사용하는 대체방법을 연구하고 있지만, 아직 성공하지 못했다(90쪽 인터뷰 참조).한편, 플랑크톤은 시체가 물에 들어간 시간도 추정할 수 있게 ... ...
- [Knowledge] 과학으로 밝힌 ‘슈퍼푸드’ 커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성인은 하루에 400mg, 임산부는 300mg 이하를 권고하고 있다. 한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은 커피전문점에서 마시는 커피 외에도 카페인이 든 음식이 많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콜라 한 캔에는 35mg, 커피 믹스 한 봉에는 50mg, 초콜릿바에는 30mg, 에너지 음료에는 50~90mg의 카페인이 들어 있다.카페인에 대한 ... ...
- [Tech & Fun] 탈모 기자가 본 탈모 치료법 허와 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청천벽력 같은 소리였다. 꽃다운 20대 중반 청춘에게는, 너무나 가혹한 말이었다. 탈모전문 병원이라는 그곳에서는 두피마사지를 비롯한 치료 패키지를 소개해 줬다. 하지만 대학생이 감당하기에는 너무나 큰 돈이었다. 부모님께 손을 벌릴 수는 없었다.그래서 기자는 인터넷을 뒤지기 시작했다. ... ...
- [Career] 영하 150℃에서 찰랑이는 물 보셨나요?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혼자 속병을 앓을 수밖에 없었다. 홀로 이 분야를 개척하다시피했기에, 같이 토론할 전문가도 없었던 것이163다. 다행히 이를 간접적으로나마 설명할 근거들이 하나 둘씩 나왔고, 5년이 지나서야 김 교수는 자신이 봤던 것이 지난 20년간 이론으로만 존재했던 물의 비밀을 풀어줄 현상이었다는 것을 ... ...
이전1691701711721731741751761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