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d라이브러리
"
일자
"(으)로 총 2,324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 최초의 깃털은 과시용?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화석 중 진화 초기형태의 깃털 화석을 발견해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월 12
일자
에 발표했다.연구팀이 중국 북동부 지역에서 발굴한 1억 2500만 년 전의 베이피아오사우루스의 깃털 화석은 좌우대칭인 형태로 잔가지가 없이 하나의 깃으로 된 단순한 형태였다. 베이피아오사우루스의 화석 중 ... ...
[생리학]돈을 부르는 약손가락?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종사자가 수익률이 더 좋다는 연구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온라인판 1월 12
일자
에 발표했다.코트 교수팀은 런던의 한 은행에서 단타매매 업무를 하는 금융거래종사자 44명의 오른손 검지와 약지의 길이를 측정한 뒤, 이들이 20개월 동안 낸 이익을 비교했다.그 결과 경력이 비슷하더라도 ... ...
[천문우주]화성은 살아있다! 메탄 발견으로 드러나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모니터한 결과 광범위하게 기둥 형태로 분출하는 메탄을 발견했다고 ‘사이언스’ 1월 16
일자
에 발표했다.무마 박사팀은 2003년 화성 북반구의 아라비아 테라, 닐리 포새, 시르티스 메이저에서 메탄 기둥을 포착했는데, 이 가운데 하나에서 1만 9000t의 메탄이 분출된다고 추정했다. 특히 화성에서 ... ...
[생물학]배고픔을 견디는 데도 남녀 차이 있을까?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따라 신경세포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연구해 국제학술지인 ‘생물·화학저널’ 1월 23
일자
에 발표했다. 클락 박사팀은 실험 쥐 수컷과 암컷의 신경세포 배양액에 72시간 동안 영양분을 주지 않고 신경세포의 반응을 비교했다.그 결과 암컷 쥐의 신경세포가 수컷 쥐의 신경세포보다 더 많이 살아남았다 ... ...
[나노기술]마이크로입자 붙잡는 ‘나노밧줄’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증발시키면 나노기둥이 서로 단단히 달라붙는다는 사실을 발견해 ‘사이언스’ 1월 9
일자
에 발표했다.액체에 담았다가 빼면 나노기둥 사이의 액체가 증발하면서 표면장력이 생겨 기둥이 서로 달라붙는다. 머리를 감고 나서 젖은 머리카락이 서로 달라붙는 것과 같은 현상이다. 연구자들은 ... ...
다시 보는 현대판 비글호 항해기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메시지 보내자!다윈은 40년쯤 뒤에 국내에 소개됐다. 근대신문인 한성순보가 1884년 3월 8
일자
에 다윈이란 사람이 대양을 두루 여행하면서 동식물을 조사해 진화론을 담은 ‘종의 기원’이란 책을 썼다는 내용을 전했다. 다윈전 ‘한국의 다윈’ 코너에는 이 내용을 보도한 신문이 전시돼 있다.지난해 ... ...
[고생물학]거북, 등딱지보다 배딱지가 먼저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않다. 중국과학원 척추고생물학 및 고인류학 연구소 춘 리 연구팀이 ‘네이처’ 11월 27
일자
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중국 남서부 구이저우성에서 발견한 2억 2000만 년 전의 거북 화석을 분석한 결과 껍데기가 몸의 절반만 덮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가장 오래된 거북 화석이다.‘이빨이 있고 딱지는 ... ...
[의학]잠 못 자는 사람 당뇨 위험 높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고혈당과 당뇨가 수면 패턴 같은 생체 리듬과 관련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영국 런던 임페리얼대 유전의학부 필립 프로겔 교수팀은 당뇨에 걸리지 않은 2151명 ... 조절하는 인슐린 분비를 막아 당뇨를 유발한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12월 7
일자
‘네이처 지네틱스’에 실렸다 ... ...
한국인 게놈 지도 나왔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벤터가 웟슨을 앞선다.세계 세 번째와 네 번째 타이틀은 지난해 ‘네이처’ 11월 6
일자
에 게놈 해독 결과를 발표한 중국인 양 후안밍 박사와 나이지리아 요루바족 남성에게 돌아갔다. 이들 연구는 각각 중국 베이징게놈연구소와 영국 생명정보공학기업인 일루미나 케임브리지에서 진행됐다.Q한국인 ... ...
2003년 디디에르 라울 교수의 미미바이러스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큰 수치다. 연구자들은 이 깜짝 놀랄 발견을 한 페이지짜리 논문으로 정리해 2003년 3월 28
일자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아메바 속의 거대 바이러스’라는 평범한 제목에 분량도 짤막했지만 이 결과는 바이러스연구자들을 흥분시켰다. 그때까지 바이러스에 대해 갖고 있었던 생각을 대폭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