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중요하다. 남 교수는 “기존에 쓰던 효소보다 수명이 더 긴 효소를 개발하기 위해 미생물
유전
자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연료전지와 나노전지를 연결하는 회로는 크기를 작게 만들기 위해 리소그래피라는 인쇄 기법으로 만든다. 남 교수가 목표로 하고 있는 크기는 연료전지와 나노전지, ... ...
[knowledge] 고대 화장품은 현대 화장품과 다르다? 같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때문에 줄기세포 화장품에는 줄기세포 배양액 성분 중 피부재생 효과가 뛰어난 성분만
유전
공학 기술로 만들어 넣는다. 아직 안전성과 효과가 모두 밝혀지진 않았지만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 관련 상품은 계속해서 출시될 예정이다. 최근엔 먹는 화장품(이너뷰티) 같은 새로운 형태의 화장품도 ... ...
상어에 강한 턱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매일 같이 반복되는 기계적인 충격이 턱의 표면과 내부에 변화를 준 것이다. 이처럼 턱은
유전
적인 영향보다 섭취하는 음식과 사용방법에 따라 더 크게 변형된다.먹이 다양성과 턱의 상관관계그렇다면 인간은 어떤 음식을 먹어 왔기에 지금과 같은 턱을 갖게 된 것일까. 같은 수중 대형동물인데 왜 ... ...
유전
자 정보는 과연 특허 대상일까?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강재묵-서울 하나고 2학년)이 차지했다. 최우수스피커상도 같이 수상한 김근영 군은 “
유전
자 특허 분야에 대해 자료를 준비하고 토론하는 과정이 쉽지는 않았지만 많은 것을 이해하고 배우게 된 뜻 깊은 대회였다”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대상을 받은 제로 리더 팀 서울 영동고 1학년 정진우(왼쪽 ... ...
통증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실제로 있다. 바로 ‘선천성 고통 무감각증’이라는 희귀병이다. 통증 수용기에 국한된
유전
적 결함으로 인해 환자는 태어날 때부터 통증을 느끼지 못한다. 하루에도 수차례씩 통증을 느끼며 살아가는 평범한 우리들에 비하면 한편으로는 행복하지 않을까 싶기도 한 병이다. 어쨌거나 통증이란 ... ...
새로운 일가를 이룬 이탈리아참새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충분해야 하며, 지리적으로 차단돼 있어야 한다.윌리엄 아모스 영국 캠브리지대 진화
유전
학과 교수는 “식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이종교배를 통한 다른 종의 진화가 동물 세계에서도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한 연구”이라며 “지금까지 가설로만 있던 이종교배로 인한 종의 진화가 ... ...
줄기세포 만드는 스위치 찾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한다.FOXP1에서 나온 단백질 중 하나는 다시 DNA에 붙어 분화능력을 유도하는
유전
자인 OCT4, NANOG 등을 단백질로 발현시킨다. 이렇게 분화능력을 얻은 세포는 줄기세포가 된다. 그러나 다른 종류의 단백질은 구조가 달라 이런 일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일반 세포는 분화능력을 얻지 못한다. 결국 FOXP1이 ... ...
“우리 부부는 뇌가 2개나 있는 과학자”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함께 발표한 논문만 30여 편에 달한다. 백 교수는 특히 2005년 암 전이를 억제하는
유전
자를 밝혀내 학술지 ‘네이처’에 논문을 실었으며 2009년에는 젊은과학자상을 받았다.과학자의 길을 걸으면서 가장 어려웠던 때를 물었다. 김 교수는 ‘박사 과정 막바지’를 꼽았다. “답답한 시기였어요. 결과는 ... ...
인간단백질 백과사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밝힌
유전
자 2만 300개 중 30~40%는 아직 기능이 무엇인지 모른다”며 “‘미완성 작품’인
유전
자지도는 단백질 연구로 완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카스텔로 교수는 “염색체 기반 인간단백질기 초사업 연구는 몸속 모든 단백질을 찾을 때까지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학회장에서 숙소로 ... ...
노벨상 수상자의 4가지 비결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천재(또는 영재)는 타고나는것인가 아니면 길러지는 것인가에 대한 논쟁이 치열했다.
유전
과 환경의 격돌이었다. 이러한 논쟁은 최근 들어 “천재는 천부적으로 천재성을 타고난다. 하지만 타고난 천재성도 가정, 교육, 사회 등 다양한 환경에 의해 잘 길러져야 발현될 수 있다”는 것으로 합의되고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