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나라"(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키메라 백신’으로 인플루엔자 예방한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H7N9)와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H5N6, H5N8)를 막을 수 있는 백신이 개발돼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를 비롯해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이 백신을 사용하지 않는다.닭이나 오리 같은 가금류에게 한 마리씩 백신을 맞히는 것보다 살처분하는 쪽이 훨씬 경제적이기 때문이다. 물론 윤리적으로 비판받을 수 ... ...
- Part 2. 인간의 최대 수명은 150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0년 전보다 20년 더 산다!지난 2015년 통계청의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들의 평균 수명은 81.8세였어요. 1970년 남성의 평균수명은 58.7세, 여성의 평균수명은 65.6세였으니 지난 40년 동안 20살이나 늘어난 거예요. 또 구석기시대 원시인의 수명이 18세였던 것과 비교하면, 수명이 4배 이상 늘어난 ... ...
- [과학뉴스] 만성통증, 새로운 치료 가능성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우리나라 성인 인구의 약 10%인 250만 명은 만성통증에 시달리고 있다(대한통증학회 통계). 만성통증은 이유 없이 두통, 요통 등 통증을 느끼는 병으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아 치료도 어려웠다. 그런데 국내 연구진이 비정상적으로 과도한 통증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밝혀냈다.정은지 연세대 ... ...
- [Issue] ‘김’ 뜨는 마을 충남 서천 마량항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아는 사람이 많지만 김에도 여러 가지가 있다. 전세계에는 50여 종의 자연 종자가 있고, 우리나라는 서해와 남해안을 중심으로 10여 종이 있다. 9월 말부터 4월 초중순까지가 김 수확 철인데, 시기마다 각기 다른 김을 거둘 수 있다.“완도 돌김이 맛있다고 알려져 있지? 돌김이란 건 종자가 따로 있고 ... ...
- [Issue]‘적정기술은 변신 중’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라오스의 의사를 1년에 10명씩 초청해 교육하고 있다. 신 부총장은 “지난 1970년대 우리나라의 경제 상황과 비슷한 국가를 대상으로, 당시 어떤 의료기술이 필요했는지 경험을 전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소아백혈병의 경우 조혈모세포를 채취해 염색한 뒤 현미경으로 관찰해야 한다. 신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SSG와의 첫 대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여름! 지구가 자전축이 23.5° 기울어진 채 공전하고 있기 때문에, 북반구 중위도에 위치한 우리나라에는 태양빛이 거의 수직으로 내리쬐지요.”“저 목소리는…, 조금만?”비밀과학수사대는 당황했어요. 그때 바로 판정이 내려졌지요.“정답이다. 비밀과학집단, 승리!”“잠깐! 아직 2시가 안 됐어요! ... ...
- Part 1. 전기를 만들어낸 사람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바뀌는 전류입니다. 교류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인(sine)파를 그리며 움직입니다. 우리나라 가정에서 사용하는 220V 전기가 바로 교류입니다. “무선으로 전 세계에 전력을 공급하겠다.”한편, 에디슨의 회사를 나온 니콜라 테슬라는 무선전력전송이라는 야심찬 계획을 세웠습니다. 전압과 주파수가 ... ...
- [Issue] 기후 위협하는 비행기구름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현상을 일으킬 수도 있다”면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우리나라에서 아무리 대기오염을 줄이려고 노력해도 중국발 미세먼지로 인해 공기가 나빠지는 것은 물론, 햇빛의 양이 점점 줄어들 수 있다는 얘기다. 국내는 물론, 해외를 오가는 항공기 수가 꾸준히 늘고 있다는 ... ...
- [Origin] 평범한 발상, 비범한 과학자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타임’지는 20세기를 대표하는 100인의 과학자와 사상가에 그의 이름을 넣었다. 그래도 우리나라에서는 트리버스란 이름을 처음 들어본 이가 훨씬 더 많을 것이다. 하긴, 어떤 사람들은 트리버스가 1970년대에 요절했다면 20세기 과학이 낳은 가장 낭만적인 영웅 중의 하나가 되었으리라고 칭찬인지 ... ...
- Part 1. 1월 1일, 1초가 늘어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6월 30일이나 12월 31일 23시 59분 59초 뒤에 1초를 넣어요. 올해는 12월 31일에 들어가지요.우리나라의 경우 협정세계시보다 9시간이 빠르기 때문에 2017년 1월 1일 오전 8시 59분 59초 뒤에 윤초가 들어가게 된답니다. 1초가 중요한 이유는?전세계가 연결돼 있는 지금, 1초는 생활에 아주 큰 영향을 줄 수 ... ...
이전1691701711721731741751761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