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
견본
실례
예제
일견
사례
바라보기
d라이브러리
"
보기
"(으)로 총 3,938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과학의 불 밝힌 유영숙 박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수 있도록 생각을 크게 가지라는 게 유 박사의 조언이다. 이른바 성공한 삶이란 남들이
보기
에 화려하고 경제적으로 풍족한 생활이며 그러기 위해서는 치열한 경쟁을 거쳐야 한다고 생각해왔다. 그러나 유 박사와의 만남을 통해 새로운 성공관, 직업관을 갖고 KIST 문을 나섰다. 진정한 성공이란 ... ...
다리엔 왜 줄이 많을까?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가깝다는 뜻이다. 승선교의 비율도 1.94(=9.1m÷4.7m)다. 이러한 아치교는 안정적일 뿐 아니라
보기
에도 아름답다. 하지만 다리의 폭을 넓히려면 높이도 함께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아치를 쌓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높이는 그대로 두고 폭을 넓힌 아치교가 나타났다. 605년에 지어진 중국의 자오저우교는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연구자들은 이 위치에 혹시 이들과 비슷한 구조의 또 다른 유전자가 있지 않나 조사해
보기
로 했다.약 45만 염기 길이를 분석한 컴퓨터는 비슷한 유전자가 하나 있다는 결과를 내놓았다. 강력한 쓴맛 수용체 유전자 후보를 발견한 것이다. 연구자들은 이 수용체를 T2R1이라고 명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 ...
영어 규칙 찾기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특별한 규칙을 갖고 있습니다. ‘?’에는 어떤 알파벳이 와야 할까요? A. 1번 정답 : ③
보기
의 문장은 다음처럼 한글로 바꿔서 끝말잇기를 한 것입니다. 과학 - 학생 - 생일 - 일곱 - ?(곱하기) 2번 정답 : f 가로 방향으로 첫번째와 두번째 알파벳의 순서를 더한 것이 세번째 자리에 오는 알파벳의 순서가 ... ...
변화무쌍 수조 진짜 남극바다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재현할 수 있는 2차원 단면수조가 있다. 길이가 24.2m, 폭이 0.6m인 2차원 단면수조는 겉으로
보기
에는 다른 수조에 비해 평범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바닥에 얇은 철판이 설치돼 있다. 이 철판을 한쪽 방향으로 잡아끌면 지각 변동, 즉 지진을 재현할 수 있다.이렇게 만들어지는 지진해일은 ... ...
건축에 대한 발칙한 상상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활용해 지은 ‘보르도 하우스’를 지은 사례를 소개한다. 집의 내부는 언뜻
보기
에 일반 건물과 별다른 점이 없다. 하지만 재미있는 특징이 하나 숨어 있다. 실내 중앙에 책상과 의자가 놓인 부분이 공중으로 떠오를 수 있다. 그 부분만 바닥이 위아래로 이동해 1층과 2층을 연결한다. 이 집 주인은 ... ...
빛의 냄새 맡는 쥐가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통해 후각 신경의 구조를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향기에 따른 뇌의 반응을
보기
위해서는 먼저 후각 기관을 자극해야 한다. 그러나 향기는 매우 다양하고 미세한 분자라 통제가 어렵다. 미국 하버드대 분자및생물학과 벤카테쉬 머피 교수는 “향기는 화학적으로 너무 복잡한 ... ...
부등식, 동물세계의 재판관 되다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 잘 알고 있으니 어서 저울에다 올려 주십시오.과연 어떤 결과가 나왔을까요? 결과를
보기
도 전에 저만치 쥐 장군이 쥐구멍을 찾아 헤매고 있군요.마지막 저울 측정에서 뱀 장군의 금상과 개 장군의 금상은 수평을 이뤘답니다.쥐구멍에 들어간 쥐 장군은 급하게 새로운 금상을 만들어 제단에 ... ...
승리의 방정식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따져서 순위를 정하는 방법, 미국처럼 승부가 날 때까지 경기를 계속 하는 방법을 써
보기
도 했다. 그 결과, 현재는 무승부를 패배로 계산하도록 해 최대한 승부를 이끌어 내는 방법을 쓰고 있다. 승률은 승수를 경기수로 나눠 계산하다. 하지만 최선을 다해 동점을 만들었더라도 무승부로 끝나면 진 ... ...
한국 수학 필즈상에 도전장 내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문제로 바꿀 수 있다는 캐나다 수학자 로버트 랭글란즈의 추측이다. 정수론 문제는
보기
에는 간단해 보인지만 실제 풀기는 매우 어렵다. 만약 함수론 문제로 바꿀 수만 있다면 어려운 문제를 쉽게 풀 수 있게 된다.응오 교수가 증명한 문제는 랭글란즈 프로그램의 아주 작은 부분으로, 랭글란즈는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