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병
질환
단지
재앙
우환
병환
항아리
d라이브러리
"
병
"(으)로 총 2,358건 검색되었습니다.
Ⅰ 최면, 무의식에 이르는 길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경우인데, 자기가 기대했던 것은 이런 게 아니었다는 뜻이다. 의심이 많은 정신분열
병
환자들에게서 이런 현상을 가끔 보게 되는데, 이들은 최면이 그들이 기대했던 것이 아니라 사실은 이러이러한 현상이라고 가르쳐줘도 믿지 않는다.반대로 최면감수성 결과로는 전혀 최면에 걸렸다고 할 수 ... ...
Ⅰ. ①두뇌: 남자 좌우 뇌 차이 크다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논리가 인간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어떤 여성이 아이를 키우고 있는데, 갑자기
병
에 걸리거나 다쳐서 뇌의 한쪽이 손상됐다고 가정해보자. 이 여성에서 뇌의 기능이 양쪽에 분산돼 있다면 혹시 한쪽 뇌가 손상당해도 나머지 뇌에 의해 어느 정도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고 회복도 더 잘될 ... ...
병
주고 약주는 옻나무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일으키지 않는다. 그래서 옻칠을 한 가구나 다기를 만져도 옻이 오를 염려가 없다.이렇게
병
도 주는 나무이지만 이 나무가 만들어 내는 옻액은 약도 된다. 예로부터 한방에서는 옻을 구충, 복통, 변비 등에 사용해 왔으며, 최근에는 옻액의 주성분인 옻산(urushiol)에 항암효과가 탁월한 물질이 함유돼 ... ...
전생기억은 존재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현재의
병
이 전생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 전생기억을 되살려 문제를 완화시켜 주면
병
이 낫는다는 원리에 바탕하고 있다. 현재 세계 여러나라에 걸쳐 성행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일부 정신과의사가 시술을 한다고 해서 화제가 된 일이 있다.그러나 사실 전생요법은 오래 전부터 점(占)집 등에서 ... ...
입맛의 생리학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흔히 몸에
병
이 있으면 식욕이 떨어진다고 생각하는데 사실 그렇지 않다. 예를 들어 당뇨
병
이나 갑상선기능항진증과 같은 질환에 걸려 몸에서 영양분이 대책없이 빠져나가거나 대사작용이 비정상적으로 활발해지면 이를 보충하기 위해 식욕이 몹시 증진된다.반대로 간질환이나 악성 종양의 경우 ... ...
성도착의 이모저모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질적인 측면에서 비정상적인 성행동은 두종류로 나뉜다. 대부분의 심리학자와 정신
병
리학자들이 1905년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발표한 ‘성이론에 관한 세편의 에세이’라는 논문에서 성도착증을 구분한 방법에 동의하고 있기 때문이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성적 이상은 성욕을 만족시키는 방법에 ... ...
곰의 변신과 마리아의 수태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세계 여러 문화권에서 정화력을 상징하는 식물로 유명하다. 서양 중세에는 쑥이 마귀와
병
을 쫓는 힘이 있다고 생각됐다. 일부 아프리카 원주민들은 쑥을 초경을 보이는 여성의 성년식에 사용한다고 한다. 그리스에서는 출산의 여신인 에일레이튜이아에게 쑥이 바쳐졌다. 민간에 알려진 쑥의 여러 ... ...
10대들의 고민 키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서구적 가치관에 맞춰진 외형적 미의 조건들을 사회가 강요하기 때문에 나타난 하나의
병
폐다. 또 많은 여학생들이 꿈꾸는 직업 중에 상당 부분은 슈퍼모델이나 미인대회에 나가 연예계로 진출하는 것이 포함돼 있다. 특히 근래에는 미의 기준이 얼굴 위주에서 키나 몸매로 바뀌고 있어 키작은 ... ...
성인 뇌세포 세계 최초로 시험관 배양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환자에게 직접 응용되는 기간이 무척 짧아졌어요. 제 연구결과에 따라 많은 환자들이
병
에서 회복될 수 있다고 생각하면 더 열심히 연구해야겠다는 각오와 긴장감이 생깁니다." 바로 이런 열정 때문에 그는 지난 40여년간 '사이언스' 와 '네이처' 를 비롯해 수많은 세계 학술지에 3백편이 넘는 논문을 ... ...
Ⅱ
병
주는 곰팡이: 식품 오염시키는 독소분비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일으키고 동물이 사료를 기피하는 사례는 비일비재하게 발생하고 있다. 단지 급성으로 질
병
을 일으킬 정도의 농도에 이르지 않았을 뿐이다. 심각한 문제 발생의 소지는 여전히 남아있다.1963년 트리코세신 중독 증세는 한국뿐 아니라 일본에서도 발생했다. 하지만 그 원인 규명에 대한 연구 규모는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