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장
출현
도래
통관
입항
참가
가입
d라이브러리
"
등장
"(으)로 총 5,680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science] 중생대 바다의 난폭한 주인, 해양파충류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할 때 목이 다치지 않게 도와준다. 흥미롭게도, 이러한 유선형 외형의 진화는 이후에
등장
한 고래나 바다소와 같은 해양포유류에게서도 그대로 관찰된다.최근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해양파충류와 해양포유류는 골격구조뿐만 아니라 장기 등 기관의 위치까지 서로 비슷하게 변화했다. 2010년에 보고된 ... ...
Part 3. 총성 없는 전쟁, 사이버테러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10대의 조종권을 빼앗아 무고한 런던 시민은 물론 미국 대통령까지 위협하는 장면이
등장
한다. 놀랍게도 테러 조직은 직접 미군 시설에 침투해 드론의 조종권을 빼앗은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은신처에서 컴퓨터로 이 모든 일을 했다. 바로 사이버테러다.사이버테러는 인터넷을 통해 시스템에 침투해 ... ...
봉 지아, 브라질 월드컵!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때문이다. 카시롤라는 결국 사용 금지 당했다. 이번 월드컵에는 과연 어떤 응원도구가
등장
할까? 선수들 기운을 북돋아주고 팬들도 즐겁게 응원할 수 있는 도구가 나오길 기대한다.선수들에게 훨훨~ 날개 달아 주는 ‘◯◯◯’월드컵이 열리는 해가 되면 일찌감치 사람들의 이목을 사로잡는 게 ... ...
[체험] 보드게임의 꽃! 공정한 주사위 만들기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움직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주사위는 언제부터 사용한 것일까? 주사위가 언제 처음
등장
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다만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주사위는 기원전 3000년경 이란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군락지 사흐레 수흐테에서 사용하던 것으로 피라미드 모양의 주사위다.기원전 10세기 고대 ... ...
[시사] 살아 움직이는 미로 메이즈 러너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대한 이야기부터 시작한다.아테네의 영웅 테세우스가
등장
하는 신화에는 간단한 미로가
등장
한다. 이 미로는 현재 미로와는 조금 다르게 한 가지의 길을 따라가면 중심에 다다르는 구조다. 이를 ‘미궁’이라 부르는데, 미궁처럼 탈출 경로가 하나뿐이라면 한붓그리기를 이용해 미로를 빠져나올 수 ... ...
Bridge. 신종 핫스팟은?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찾을 수 있는 지역은 어딜까. 한반도에서 가장 생물 종을 많이찾은 곳은? 신종이 앞으로 얼마나 더
등장
할지 예측하는 방법도 소개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신종헌터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Bridge. 신종 핫스팟은?PART 3. 세계는 생물자원 전쟁 ... ...
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바다에 살았던 어류가 민물로 적응하면서 여러 지역으로 퍼졌을 것…. 회오리바람까지
등장
하다니 다윈도 어 지간히 급했나 보다.반세기가 지나 알프레드 베게너의 '대륙이동설'이 나오면서 이 문제는 깔끔하게 해결된다. 원래 한 대륙으로 붙어있던 지 역들이 갈라지면서 민물에 사는 생물들이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빈 공간이 나를 기다리고 있다.카이퍼벨트 소천체들은 지금은 교과서나 과학책에 흔하게
등장
해, 오래 전부터 사람들이 알고 있었던 것으로 착각하기 쉽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이들은 1990년대 초까지만 해도 머릿속에만 있었던 가설 상의 존재였다. 1992년에야 처음으로 지상에서 관측에 성공해 그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수 있게 된 것은 조선 영조 때 시작된 모내기 덕분이다. 모내기가 우리나라 역사에 처음
등장
한 것은 고려 후기다. ‘고려사’에 공민왕 때 백성들이 모내기를 했다는 기록이 있다. 모내기가 전국적으로 실시된 영조 시대와는 400년이나 차이가 난다. 모내기는 왜 이렇게 늦게 전파됐을까?모내기 ...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거랑 비슷하다. 실제 ‘입 닥치고 계산(Shut up and calculate)’이나 하라는 것은 교과서에도
등장
하는 양자역학의 주요한 해석(?) 중 하나다.양자측정이 야기하는 역설에 대해서는 이 코너에서 이미 몇 번 다룬 바 있다. ‘슈뢰딩거 고양이’와 ‘EPR 역설’이 그 대표적인 예다. 이 역설에 대해 필자가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