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개굴개굴~, 맴맴~♬ 자연의 소리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소리를 엿듣다!Part3. [기획] AI가 자연의 소리를 학습한다! ★ 도움장이권(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교수), 김태우(국립생물자원관 동물자원과 연구사), 강돈혁(해양과학기술원 해양생물자원연구부 선임연구원), Bernie krause(생물음향학자 ... ...
- [탐험대학] 자율주행, 공룡, 게임…?! 어떤 탐험을 좋아할지 몰라 다 준비했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 자율주행 분야에 장혁 대표(폴라리언트), 공룡 분야에 박진영 연구원(서울대학교 고생물학과), 도구와 기계 분야에 엄윤설 대표(에이로봇), 탐험 분야에 문경수 과학탐험가가 멘토진으로 참여했지요. 오리엔테이션의 시작은 역시 자기소개! 멘토님들은 자기소개와 함께 미리 준비해온 ‘나를 ... ...
- [통합과학 교과서] 웅녀, 사기꾼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서서히 청력을 잃는 ‘베토벤 생쥐’예요.6월 4일 미국 보스턴어린이병원과 하버드대학교, MIT 브로드연구소 공동연구팀은 베토벤 생쥐의 청력을 찾아주는 실험에 성공했다고 발표했어요. 동물은 귓속 달팽이관의 감각수용기관인 ‘유모세포’가 소리 정보를 뇌로 전달해 청각을 느껴요. 실험에 ... ...
- [시사과학] 올해도 불가마 더위 올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집중 호우 경향이 클 것으로 보았어요. 지난 1월 국립기상과학원 송환진 박사와 서울대학교 손병주 교수 역시 최근 집중 호우 경향이 늘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최근 20년의 여름철 강수 위성 자료, 지상 자료를 분석해 한반도의 강수 유형이 양극화 추세를 보인다고 밝혔죠. ... ...
- [슬기로운 동물원생활] 두루미, 초보 아빠 두일이 피가 나도 알을 품던 사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눈에 보일 만큼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답니다. ※ 필자소개 김정호 수의사. 충북대학교에서 멸종위기종 삵의 마취와 보전에 관한 주제로 수의학 박사를 받았다. 청주동물원과는 학생실습생으로 인연이 되어 일을 시작했고, 현재는 진료사육팀장을 맡고 ... ...
- 질문하면 답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인간의 최대수명은 115~150세로 다양해요. 2016년에는 미국 알버트 아인슈타인 의과대학교의 연구진들이 유전자에 기록된 인간의 최대 평균 수명이 114.9세라는 논문을 발표했다가 논쟁에 휘말리기도 했죠. 과학자들의 추측에도 불구하고 잔 칼망은 남편은 물론, 딸과 손자보다도 훨씬 오래 살았어요. ... ...
- [특집] 디지털 세상, 안전하게 누리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테이가 이내 나쁜 표현을 배워 사용했기 때문이랍니다. _ 인터뷰정제영(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굿 커뮤니티 캠페인을 잘 이끌어 주세요! Q 디지털 리터러시는 왜 필요한가요?디지털 리터러시란 정보를 탐색해 활용하고 이를 통해 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능력입니다. 이뿐 아니라 디지털 ... ...
- [이달의 과학사] 펜지어스와 윌슨, ‘우주배경복사’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셈이지요.이 태초의 잡음(?) 때문에 골머리를 앓던 펜지어스와 윌슨은 결국 프린스턴대학교의 물리학 교수 로버트 디키에게 전화를 걸게 돼요. 벨 연구소에서 겨우 60km 떨어진 곳에 있는 로버트 디키는 이론으로 예측된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하기 위해 동료들과 전파망원경을 만드는 중이었고, ... ...
- [질문하면 답해 ZOOM] 껌 씹을 때 찬물을 마시면 왜 딱딱해지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세상엔 신기한 일들이 진짜 많고 궁금한 일들도 많아요. 왠지 친구들도 선생님도 모르고, 유튜브를 뒤져보아도 답이 안 나올 것 같은 질문이 ... 바꿔요. 라이소자임 효소는 세균을 죽여 우리 몸을 지킨답니다. 도움★최정훈(한양대학교 화학과 교수), 김가람(원주 태장중학교 과학교사) ... ...
- [가상인터뷰] 유리개구리의 위장 비결, 윤곽 흐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5월 25일, 영국 브리스톨대학교와 캐나다 맥마스터 대학교, 에콰도르 데 라스 아메리카스 대학교 공동 연구팀이 밝혀냈어. 그동안 과학자들은 내가 다른 개구리와 달리 왜 반투명한 색인지 궁금해했어. 대부분 개구리 종은 식물 위에서 살며 초록색이나 초록색 계열 위장 무늬로 천적을 피하거든. ... ...
이전1691701711721731741751761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