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같은시간"(으)로 총 9,560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토끼 찬스 발동!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토끼 찬스? 이모, 이게 뭐예요?” “우와! 벌써 찬스를 얻었다고? 정말 대단한 걸?” 이모의 말에 수호와 채윤이는 뿌듯한 표정을 지었어요. “얼른 찬스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스토리 따라잡기] 토끼 말이 깡충깡충! “게임을 처음 시작했을 때부터 연달아 일곱 번의 미션을 성공하면 찬 ... ...
- Par 1. 필즈상, 무엇이든 다~ 물어보세요수학동아 l2018년 08호
- 필즈상을 누가 받을지 정확하게 예측하려면 ‘필즈상’ 자체에 대해 잘 알아야 하는데, 그 정보가 부족하다고요? 그럴 줄 알고 준비했습니다! ‘필즈상, 무엇이든 다~ 물어보세요’ 시간입니다. 왜 40세 이하한테만 주는지, 언제부터 수학계 최고상으로 자리매김했는지 필즈상의 모든 걸 밝힙니다. ... ...
- [Interview] KWMS-엔씨문화재단 젊은여성수학자상수학동아 l2018년 08호
- 6월 29일 고등과학원에서 제2회 KWMS-엔씨문화재단 젊은여성수학자상 시상식이 열렸습니다. 한국여성수리과학회(KWMS)와 엔씨문화재단이 업적이 뛰어난 만 40세 이하의 한국 젊은 여성수학자를 지원하기 위해 만든 상이지요. 올해에는 순수수학 분야에서 이영애 경북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 응용수학 ... ...
- [국립과학관 공동특별전] 수학나라의 앨리스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제 1 장, 수학나라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동화 속 이야기냐고요? 아닙니다. 국립부산과학관과 국립대구과학관, 국립광주과학관이 함께 기획한 전시 ‘수학나라의 앨리스’가 6월 22일부터 9월 2일까지 국립부산과학관에서 열리거든요. 누구나 전시장에 오면 앨리스가 돼 수학나라를 탐험할 수 있 ... ...
- [Culture] 과학으로 분석한 ‘낚시꾼 스윙’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최호성 프로 비법 1. 어떻게든 팔을 올려라스윙의 시작인 백스윙부터 살펴보자. 최 프로는 “스윙을 강하게 하기 위해서는 공을 때리기 전에 팔을 들어 올리는 백스윙(back swing)이 높아야 한다”며 “하지만 내 경우에는 나이도 있고 골프를 늦게 시작해 유연성이 모자라 정석대로 팔을 높이 들기 ... ...
- Intro. 200년만의 환생, 프랑켄슈타인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눈 좀 떠봐요. 이렇게 보낼 수는 없어!”외침은 수술실을 공허하게 울렸다. 그는 아무런 반응이 없었다. 아니, 아무런 반응도 할 수 없었다는 표현이 정확했다. 팔, 다리, 심장, 얼굴이 산산조각 나버렸기 때문이다. 시간이 없었다. 조용히 실험 장비를 꾸렸다. 200년 전 소설 ‘프랑켄슈타인’에서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난자를 만나기까지 정자에게는 험난한 여정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인간의 정자가 레이스를 시작하는 출발점은 질의 바로 윗부분입니다(오른쪽 그림). 사정 후 몇 분 뒤에 정자는 자궁 경부를 빠져나갑니다. 정자는 자궁 근육 수축에 힘입어 자궁을 지나 나팔관에 도착합니다.정자가 잠시 쉬었다 ... ...
- [Culture] 음식의 화룡점정, 소스 분산액&유화액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한가한 일요일 아침, 빵 위에 부드러운 수란과 고소하게 구운 베이컨을 얹은 에그 베네딕트로 하루를 시작해봅니다. 나이프로 수란을 자르니, 노른자가 주르륵 흘러내립니다. 에그 베네딕트가 맛있는 이유에는 수란과 베이컨도 있지만, 이 재료들을 조화롭게 만드는 홀랜다이즈소스를 빼면 서운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8] 인류의 역사를 바꾼 화학반응과학동아 l2018년 08호
- 1. 3대 화학반응 지구의 역사를 바꾼 첫 번째 화학반응은 ‘광합성’이다. 광합성이란 식물의 엽록체가 빛에너지를 이용해 이산화탄소와 물로 포도당을 합성하고, 산소를 생성하는 반응이다. 원시 지구의 대기에는 산소가 없었고, 원시 바다에는 유기물이 풍부했다. 최초의 생명체는 산소가 없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첨단 가상현실 체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공중에 떠 있는 가상 키보드로 글자를 입력하고, 허공에 손을 휘두르면 멋진 그림이 그려진다? 이런 SF영화 같은 일이 기자단 친구들의 눈앞에서 펼쳐졌어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 있는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의 첨단 가상현실 기기들 덕분이었지요. 현실과 가상현실이 만나 펼쳐 ... ...
이전1691701711721731741751761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