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핍
종족
불충분
결여
모자람
결손
미비
스페셜
"
부족
"(으)로 총 1,761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적인 제약기업과 병원 등 바이오 분야의 ‘선수’가 필요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6.12
세계 8위에 달하지만 기술력에 걸맞은 산업이 빈약하고 선수 역할을 하는 기업과 병원이
부족
해 더 치고 나가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그는 제약산업의 선진화를 위해 ‘혁신형 제약기업’을, 보건의료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연구중심병원’을 해법으로 제시했다. ●바이오의약품 시장을 주도할 ... ...
“중복투자 왜 문제되나? 경쟁을 통해 더 좋은 성과 나올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5.21
수도 있어요.” 농업과학기술 분야 중요성에 비해 예산 규모나 관련 연구에 대한 이해가
부족
하다. 국가 전체 연구개발 예산은 16조 원에 이르는데 이 가운데 농진청의 예산은 5330여억 원에 불과하고, 이 중에서도 기초·기반 분야 예산은 140억 원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그런데도 일부에서는 ... ...
“바이오 연구, 재구조화로 산업적 성과 이끌어 내야”
동아사이언스
l
2012.02.13
달하는 전문대 졸업 이상의 바이오 고급 인력이 배출된다. 하지만 국내에 마땅한 산업이
부족
해 다른 산업이나 해외로의 인재 유출이 심각한 상황이다. 최근 대기업의 바이오 산업 참여 움직임이 가시화됐지만 외국과 비교해 본격적이라고 보긴 힘들다는 지적이다. 양 국장은 바이오 벤처를 그 ... ...
“IT역량 활용해 바이오헬스산업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2.01.09
각 분야 전문기관 및 대기업, 중소기업과 공동연구와 협업 활성화돼야 △ 선진국에 비해
부족
한 국내 상황 이겨나가려면 정부-기업-투자자 간의 믿음과 협력 중요 차동형 정책관은 1981년~1985년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학사 1987년~1989년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석사 1989년~2000년 행정사무관 (생활산업국 ... ...
“바이오도 양보다 질로 K-POP처럼 세계 흔들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12.05
‘바이오 융합’ 등 5개 분과로 분류돼 각각 수행되는 사업들이 많고 분야간 융합도
부족
하다는 점을 가장 먼저 지적했다. 신희섭 소장은 “해양분야에도 바이오신약 사업이 있고, 보건의료 분야에도 신약개발 사업이 들어있는데 마치 전혀 연관이 없는 사업처럼 운영되고 있다”며 “현장과 ... ...
“사람에게 목적 맞춘 바이오 연구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1.11.28
도움이 되려면 반드시 임상 연구를 거쳐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이 과정에 대한 지원이
부족
합니다.” ● 과학자와 의사, 소통 위한 안팎의 노력 필요 선 교수는 임상 연구에 대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즐탁동기’(啐啄同機)라는 옛말을 꺼냈다. 이 말은 알 속의 병아리가 밖으로 나오려면 안에서 ... ...
바이오 산업이 지구온난화-급등하는 기름값의 해법
동아사이언스
l
2011.09.27
때문에 산림 훼손으로 이산화탄소가 더 늘어나고, 저개발국가 사람들의 식량자원
부족
이 심각한데도 선진국들이 쓰는 연료를 만드는데만 연구역량이 집중된다는 윤리적 문제까지 있다. 승용차 하나에 채우는 바이오에탄올을 만드는데 쓰는 옥수수양이 저개발국 사람 1명이 1년간 먹을 수 있는 양이 ... ...
바이오분야 학계와 산업계간 소통 절실…생명공학 인력 DB확보로 해결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1.09.05
교수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대학원생이나 박사 후 연구과정 학생들에 대한 정보가
부족
한 상황이다. 생명공학 인력과 관련 연구 분야가 정리되면 산업계에서 필요한 인력을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 과장은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를 최대한 활용하고 기타 부처에서 ... ...
“시장에서 필요한 지재권 확보로 바이오 경쟁력 확보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8.17
이들을 지원하는 CEO나 연구관리자들도 제조 측면만 강조할 뿐 특허 마인드가
부족
합니다. 지재권에 대한 제대로 된 인식 없이는 지식경제 사회로 전환은 쉽지 않을 것입니다.” 이 같은 생각은 미국 생활을 할 때 확고해졌다. 지금은 국내 지식재산 분야 권위자로 알려져 있는 그도 사실은 ... ...
한국 바이오 기업이 주목해야할 미국 바이오 분야의 특징들
동아사이언스
l
2011.07.20
또 다른 문제”라면서 “벤처가 망해도 복귀할 대학이 있는 교수에게는 그만큼 절박함이
부족
할 수밖에 없다”고 일침을 놓았다. 미국 바이오기업 투자전문가인 김병수 박사도 여기에 동의했다. 김 박사는 “한국과 일하면서 가장 바뀌었으면 하는 게 바로 그 점”이라며 “벤처를 창업하고 2년쯤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