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합성
조립
혼합
콤플렉스
구성
뉴스
"
복합
"(으)로 총 1,858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종대학교]미래기술분야 선도할 성과 속속… 이공계 명문大로 도약
동아일보
l
2014.12.12
센터에서 개발된 환기시스템은 세종대 기숙사를 포함해 DMC 가재울 4구역과 전주효자
복합
시설, 삼성SDS 등 다양한 건물 설계에도 반영됐다. 단순히 기능을 시뮬레이션하는 것을 넘어 실제로 설치, 운영하면서 연구하기 때문에 시장성이 큰 것으로 평가된다. 전주영 기자 aimhigh@donga.com [화제의 뉴스] - ... ...
물-기름 ‘상극’인 물질 결합시켜 나노
복합
체 개발
2014.12.11
조 교수는 “극성과 무극성이라는 서로 전혀 다른 화학성질을 가지는 물질로 나노
복합
체 박막을 만드는 방법을 찾은 데 의의가 있다”며 “바이오센서나 광학용 소자 등 다양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화학회지(JACS)’ 지난달 26일자에 실렸다 ... ...
한국뇌연구원 신청사 4일 준공
2014.12.03
제공 한국뇌연구원이 4일 오후 2시 대구 동구 첨단로 대구첨단의료
복합
단지 내에 세워진 신청사의 준공식을 개최한다. 신청사는 뇌의 모양을 따서 각각 좌뇌와 우뇌를 상징하는 두 건물로 이뤄졌다. 이중 좌뇌에 해당하는 건물이 지난해 2월 4일 착공해 이번에 1단계 준공된 것이다. 우뇌에 ... ...
손목에 감쌀 수 있는 플라스틱 태양전지 나왔다
2014.11.18
밝혔다. 페로브스카이트 전지는 결정 구조가 ‘페로브스카이트(ABX3)’ 형태인 유무기
복합
소재를 이용한 것으로 가시광선에서 전기를 만드는 효율이 높아 차세대 태양전지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기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500도 이상의 고온으로 열처리를 해야 하기 때문에 열에 약한 ... ...
“진리와 지식을 갈구하는 진정한 과학자라면…”
2014.11.02
않는 작은 것을 보려고 현미경을 개발했다. 1665년 로버트 후크는 당시로선 최첨단인 ‘
복합
현미경’을 개발해 코르크 마개, 벼룩 등을 관찰하고 여기서 얻은 이미지를 담은 책 ‘마이크로그라피아’를 출판했다. 또 이 책을 잃고 호기심을 불태웠던 이가 있었는데, 바로 ‘세균학의 아버지’인 안톤 ... ...
첨단 융
복합
기술의 첨병으로 불리는 3대 기계기술
2014.10.24
안정성을 인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바다 위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부유식
복합
발전 플랜트(FccPP)’는 미래형 발전소로 꼽힌다. 화력발전소를 배 위에 지은 것으로 연료 저장·공급 설비까지 갖춰 어디서든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세계적으로 70기 정도가 개발됐는데, 기계연은 LNG를 ... ...
태양전지에 레드 양자점 붙였더니…
2014.10.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선임연구원. - K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전북분원
복합
소재기술연구소 소프트혁신소재연구센터 손동익 선임연구원팀은 여기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만일 3색 양자점이 있어 모든 파장의 태양광을 흡수한다면 태양전지의 효율을 그만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 ...
한국인, 칼슘-인 영양 균형 무너졌다
2014.10.17
대표적인 사례가 칼슘과 인이다. 칼슘과 인은 뼈와 치아를 구성하는 영양소로 둘이
복합
적으로 작용한다. 문제는 칼슘과 비교해 인을 과다하게 섭취하면 소장에서 칼슘의 흡수를 방해해 뼈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 미국 뉴욕과학한림원이 주관한 학술대회에서는 과도한 인 ... ...
[2014 국정감사]만들어 놓고 나 몰라라…암울한 한국뇌연구원 활성화
2014.10.13
더디다. 류 의원은 “이런 상황에서 한국뇌연구원을 국가경쟁력을 갖춘 ‘세계 7대 융
복합
뇌 연구기관’으로 육성시키겠다는 것은 구호에만 그친 전형적인 전시 행정의 산물”이라고 지적했다. ... ...
폐렴구균은 여섯 개의 얼굴을 갖고 있다
2014.10.01
발표했다. 폐렴구균은 폐렴과 중이염, 뇌막염 등 가벼운 질병과 치사율이 높은 질병을
복합
적으로 일으키는 병균으로 가장 전염성이 높은 병균 중 하나로 꼽힌다. 지금까지 이 병원균이 다양한 상태로 ‘변신’하면서 여러 질병을 일으킨다는 사실은 알려졌지만 구체적인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다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