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인
자신
자기
자아
내
뉴스
"
나
"(으)로 총 4,748건 검색되었습니다.
요즘엔 RNA 편집이 대세? 동물 뇌세포 변이 유전자도 복구
연합뉴스
l
2020.07.16
이런 보고와 연관돼 있다. 오리건대 연구팀은 RNA 편집을 통한 유전자 복구가 하
나
의 '개념 증명'으로서도 유망하다는 걸 보여줬다. 하지만 맨델 박사는 신중한 입장을 보인다. 이런 방법으로 레트 증후군 생쥐의 이상 행동을 실제로 고칠 수 있는지 검증하고, 유전자 복구의 효율성 제고 등을 ... ...
NYT도 피하지 못한 코로
나
19 과장보도 "섣부른 결론 대신 맥락·한계 전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0.07.15
저널리즘에서의 신뢰가 위험에 빠질 수 있다. 이를 막을 수 있는 것은 시간뿐인 만큼 코로
나
19에 관해 소통할 때엔 충분한 시간을 들여 주장과 데이터를 살펴봐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 ... ...
방역당국 "모더
나
백신 임상결과 긍정적…초기여서 더 지켜봐야"
연합뉴스
l
2020.07.15
봐야 하는 이유 중 하
나
가 될 것"이라고 한계를 짚었다. 다만 권 부본부장은 모더
나
가 오는 27일 마지막 단계인 3상 임상시험에 들어갈 예정이라는 점을 소개하면서, 연구 결과를 계속 예의주시하고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혔다. 권 부본부장은 "현재 진행 중인 임상 2상에 대한 내용이 정식으로 ... ...
모더
나
"코로
나
19 백신 초기임상에서 전원 항체형성" 3만명 대상 임상3상 곧 돌입
동아사이언스
l
2020.07.15
WHO)에 따르면 코로
나
19 백신 23종이 전세계에서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모더
나
외에 미국 제약기업 화이자가 RNA백신을 개발중이며 화이자는 독일 바이오앤텍과 이달 말부터 대규모 임상3상 시험에 돌입할 예정이다 ... ...
방제 드론 ‘클라우드 기술’ 만
나
니 농민도 기관도 만족
동아사이언스
l
2020.07.15
“예전엔 사람이 올라가 확인을 했다면, 이제는 드론을 활용하면 약을 뿌리며 병이 퍼져
나
가는 패턴을 바로 분석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코로
나
19 신규 환자 62명 중 해외유입 43명…110일만에 가장 많아
동아사이언스
l
2020.07.13
코로
나
19 환자가 다녀간 병원 응급실을 방역하는 모습이다. 연합뉴스 제공 국내 신종 코로
나
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
나
19) 확진자가 ... 방문하며 처음으로 마스크를 쓰고 공식 석상에
나
타났다. 트럼프 대통령은 “
나
는 적절한 장소에서 마스크를 쓰는 것을 매우 좋아한다”고 말했다. ... ...
[슬기로운 동물원 생활]초보아빠 두루미가 피 흘리면서도 알 품은 사연
2020.07.11
어린이과학동아 12호(7월 1일 발행) [슬기로운 동물원 생활] 두루미, 초보아빠 두일이 피가
나
도 알을 품던 사연은? ※ 필자소개 김정호 수의사. 충북대에서 멸종위기종 삵의 마취와 보전에 관한 주제로 수의학 박사를 받았다. 청주동물원과는 학생실습생으로 인연이 되어 일을 시작했다. 현재는 ... ...
[인터뷰]"코로
나
19 취약계층 보듬기, '
나
'와 사회' 위한 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7.11
보이지만
나
와 가족, 내 이웃을 함께 지키는 중요한 일입니다. 어려운 시기는 분명 지
나
가기 마련입니다. 김승섭 교수의 책《아픔이 길이 되려면》의 표지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13호 (7월 1일 발행) [JOB터뷰] 따뜻한 사회역학자, 김승섭 교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거친 삶의 바다에서 마음 근육 키우기
2020.07.11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는 미국 노스캐롤라이
나
대에서 자기 자신에게 친절해지는 법과 겸손, 마음 챙김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 ...
중성자별 이중성계 관측해 우주 팽창속도 '고민' 푼다
연합뉴스
l
2020.07.09
2014년에 푸에르토리코 아레시보 천문대의 대형 전파망원경을 이용해 최초로 관측됐으
나
두 별의 질량 차이가 커 일반 펄서 이중성계와는 다르다는 것은 최근에야 확인됐다. 연구팀은 PSR J1913+1102의 두 별 중 질량이 큰 별의 중력이 작용하면서 충돌·합병 이전에 작은 별의 물질을 상당 부분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