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차"(으)로 총 5,43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서해에도 쓰나미가 온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저기압에 밀물이 더해질 때 생겨난다. 우리나라 서해는 밀물과 썰물 사이에 해수면 높이 차가 크다. 수m에 달하는 해수면 변화는 기상 쓰나미에도 영향을 미친다. 사실 저기압에 의해 파고가 2m에 달하는 강력한 파도가 만들어져도, 썰물 때와 겹쳐 물이 빠지는 시간이라면 큰 위력을 ... ...
- 양자를 훔친 악동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떠오른 적은 없다). 당시 하이젠베르크의 나이는 불과 25세였다. 하이젠베르크의 10대는 1차 세계대전을 전후한 독일의 혼란으로 점철되어 있다. 전쟁을 일으킨 기성세대에 대한 반감이 그를 혁명적 아이디어로 이끌었던 걸까.시작은 그보다 몇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22년 6월, 하이젠베르크는 ... ...
-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산책 제곱근과 전자, 그리고 클리퍼드수학동아 l2014년 07호
- 만족하는 함수 $ψ$는 저절로 클라인-고든 방정식을 만족하게 돼, 후자보다 더 근본적인 1차방정식이 생긴다. 이것이 바로 디락 방정식이다. 그런데 방정식 ❸이 ❹와 같이 쓰이려면 거기 나타나는 미분 작용 사이에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해야 한다.($A\frac{1}{c}\frac{∂}{∂t}+B\frac{∂}{∂x}+C\frac{∂}{∂y .. ...
- 7회 명성병원에서 최동건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07호
- 박 형사가 왕 반장에게 물었다.“그게…, 2012년 4월이랬지 아마? 그리고 교통사고로 차가 전복돼 강에 빠졌다고 했어. 그런데 그건 왜 묻지?”“1과 0으로 된 암호 말이에요. 그 암호를 풀어 보니 ‘SUJI IN RIVER’였어요. 그리고 사칙연산 등식에 있는 숫자 20, 12, 4, 8, 19, 7은 사건이 일어난 날짜와 시각을 ... ...
- 수학으로 달리는 똑똑한 지하철수학동아 l2014년 07호
- 량짜리 지하철의 최소 운전 시격을 구해 보면 보통 2분이 나온다. 일반 기차는 3분, 고속열차는 4분이다.지하철 노선도에 물고기, 달팽이, 고래 등 다양한 동물들이 나타났다? 1988년 영국의 예술가 폴 미들윅은 지하철로 출퇴근을 하면서 우연히 지하철 노선도에서 코끼리 한 마리를 발견했다. 그런데 ... ...
- 빛으로 물질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하이젠베르크, 파울리 등 양자역학의 건설자들은 일제히 이 주제에 매달렸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이 과제는 마침내 1950년대 미국의 슈빙거와 파인만, 그리고 일본의 신이치로에 의해 각기 독립적으로 완성됐다. 이 이론을 양자전기역학(QED)이라고 부른다.QED가 바로 빛에 대한 가장 현대적인 ...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위성이 돌고 있다면 행성이 별빛을 가리는 주기가 조금씩 차이가 나게 된다. 이러한 주기 차이를 측정하고 분석해 외계 위성의 존재를 알아낼 수 있다.만약 위성이 꽤 크다면 다른 방법도 가능하다. 위성 과 행성이 우리가 보기에 옆으로 나란히 있다고 해보자. 행성 하나가 별빛을 가릴 때에 비해 ... ...
- 도심형 무인기 드론이 뜬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기술적으로 이런 문제가 해결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먼저 도시 전체를 샅샅이 훑은 3차원 입체지도가 필요하다. 이 지도와 비교해 드론이 주변을 입체적으로 판단하면서 날아가야 한다. 상당히 까다로운 기술이지만 비디오 영상해석 기술, 레이저 스캐너 기술 등으로 해결이 가능할 걸로 보고 있다. ... ...
- [뉴스포커스] 수학자를 꿈꾼 소년, 이달의 과학기술자로 우뚝 서다!수학동아 l2014년 06호
- 한 예로 x²+y²=1을 만족하는 점들의 집합은 원이다. 한 단계 더 확장하면 평면 위의 모든 2차 곡선은 ax²+by²+cxy+dx+ey+f=0이라는 식에서 계수를 조정해 얻을 수 있다. 이런 수식이 표현하는 모든 곡선이 포함된 공간을 ‘모듈라이 공간’이라고 부르는데, 대부분의 모듈라이 공간은 특이점이라고 부르는 ... ...
- 원숭이도 덧셈을 한다고?수학동아 l2014년 06호
- 확실히 알 수가 있었어요. 예를 들면, 7과 4가 화면에 나왔을 때 7을 선택하면 두수의 차에 해당하는 3만큼의 바나나가 주어졌어요. 따라서 7이 4보다 3만큼 크다는 것을 알게 됐죠.그렇다면 덧셈은 어떻게 깨닫게 된 거죠?덧셈은 두 번째 실험을 통해서 습득했어요. 두 번째 실험에서는 한쪽에는 두 ... ...
이전1681691701711721731741751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