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리"(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고교생 100명이 묻고, 공대생이 답하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여학생을 뽑거든요(그게 접니다, 하하). 오히려 여자라서 불편한 점도 있어요. MT나 술자리에 여학생 친구들이 많이 안 간다고 하면 저도 잘 안 가게 돼요. 여자 혼자인 게 아무래도 불편하거든요. 여학생 수가 적다보니 또래 여자들과 친해지기 어려운 점도 아쉽죠. 저는 운 좋게도 룸메이트를 포함해 ... ...
- [Life & Tech] EXO직캠 찍어볼까?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풍문여고 천체관측반 학생들과 함께 3월부터 안드로메다자리의 ‘웁실론A’와 기린자리의 ‘XO-3’ 별에 있는 외계행성을 관측하기로 결정했다. 우리나라에서 처음 진행되는 일반인 외계행성 탐사는 ‘과학동아’가 중계한다. 따뜻한 봄밤, 하늘을 올려다보며 우주 저 멀리 떨어진 또 하나의 지구를 ... ...
- [Knowledge] 약하지만 센 힘 중력상수 G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되는 이유다. 중력은 약하지만 가장 큰 힘이다.보편중력 법칙은 수학이 과학의 언어로 자리 잡는 초석이 된다. 뉴턴 이전까진 과학은 정성적인 표현으로 이뤄져 있었다. 모든 것을 숫자로 표현하는 오늘날의 과학과는 완전히 다른 모습이었다. 수학의 힘은 놀라웠다. 뉴턴은 당시 과학계의 뜨거운 ... ...
- 화산 오늘도 뜨겁게 부글부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30cm에 불과한 이 로봇의 이름은 ‘볼케이노봇1(VolcanoBot1)’. 뜨거운 마그마가 지나간 자리에 생긴 균열을 확인하고 땅 속에서 마그마가 어떻게 이동하는지 대해 자세한 정보를 전하는 임무를 갖고 있지요. 볼케이노봇1보다 작은 볼케이노봇2도 화산을 향해 출동할 중비를 마쳤다고 하네요. 볼케이노봇 ... ...
- 2015 태국탐사대, 치앙마이를 접수하다! 꽃보다 와이룬!수학동아 l2015년 03호
- 한 여름 날씨와 비슷했다.태국은 국민 94.6%가 불교 신자라 곳곳에 불교 문화가 깊게 자리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태국의 사원은 종교 시설로는 물론, 학교, 병원, 고아원, 수도원, 마을 회관과 같이 다양한 역할을 한다.탐사대는 방콕에서 태국을 대표하는 ‘에메랄드 사원(왓 프라깨우).’ ‘열반의 ... ...
- PART3. 터치스크린 발표에 농담도 영어로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전자과 등 일부 학과에서만 실시하던 ‘선택’이었는데 최근 2~3년 사이 ‘필수’ 코스로 자리 잡았다.인턴십 프로그램도 진화했다. ‘코업(co-operative· 현장실습)’ 프로그램이라고 해서 한 학기 동안 통째로 회사에서 인턴십을 수행하고 이것이 학점으로도 인정이 된다. 2~3년 전부터 성균관대와 ... ...
- 얼음낚시의 달인 ‘미끼로 다나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옮겨 주세요.”미션3 낚시 구멍을 뚫어라!“자, 이제 얼음에 구멍을 뚫어 볼까?”드디어 자리를 잡고 앉은 썰렁홈즈. 그런데 얼음판에는 사각형의 복잡한 그림이 그려져 있었다. 바로 그때! 미끼로 다나까가 어느새 다가와 쪽지를 내밀며 말했다.“이 낚시대회에서는 이 대회를 상징하는 문양대로 ... ...
- 보물을 찾아라! 두근두근 동굴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산성물질이 녹아 있는 비나 지하수와 만나면 조금씩 녹아서 깍여 나가요. 그리고 녹은 자리에는 빈 공간이 생기기 시작한답니다.이렇게 만들어진 빈 공간이 바깥과 연결되지 않으면 동굴 생성물이 생기지 않아요. 지하 환경은 압력이 높아 지하수 안에 녹아 있는 탄산칼슘이 다시 고체로 만들어지지 ... ...
- [생활] 수학을 알면 야구가 보인다수학동아 l2015년 03호
- 것으로 예상된다. 순위가 3단계 하락해 5위로 예측된 넥센은 40홈런 유격수 강정호의 빈자리가 커보인다.3위 SK부터 6위 두산까지는 기대승차가 불과 1게임에 불과할 정도로 4개 팀의 전력이 비슷하다. 그만큼 올해 프로야구의 순위 다툼은 어느 때보다 치열할 전망이다. 하위권은 지난 시즌과 ... ...
- [이달의 사물] 구글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이게 진지하다. 지난 가을 한국의 내로라하는 행성 및 위성 연구가들이 모인 학술워크숍 자리에서도 ‘달 정복(?)’ 작전이 논의되는 걸 봐서, 이 행사에 전문가들도 관심이 적지 않다. 당시 충남대 천문우주학과 이유 교수는 “달에 있는 화산성 동굴이 거주지로 최적”이라며 탐사로봇의 ... ...
이전1681691701711721731741751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