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말
말소리
국어
랭귀지
language
어학
언어학
d라이브러리
"
언어
"(으)로 총 1,916건 검색되었습니다.
개방형 컴퓨터통신 컴퓨터간 장벽을 허물다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TC;Technical Committee)에서 담당한다. 그 중에서 TC97은 정보처리시스템으로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
데이터베이스 그래픽 통신 등을 담당하고 있다. 이 TC 또한 너무 광범위한 분야를 포함하므로 좀더 작은 분야로 분리하기 위하여 다시 여러 개의 SC(Subcommittee)로 나뉘어진다. TC97에서 현재 OSI에 관련된 ... ...
대학이냐? 학과냐? "비인기학과에 도전하세요"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맞는다고 해서 물리학과에 지원하면 입학한 후 곧 흥미를 잃게 되요.흔히 자연과학의
언어
는 수학이고, 자연과학의 기초는 물리라는 말들을 많이 합니다. 그렇다고 물리 수학 잘하는 학생이면 이과계통의 모든 학과에 적성이 있다는 말은 성립하지 않습니다. 반대로 그 두 과목을 잘 못한다고 해서 ... ...
세계각국의 컴퓨터 연구「컨소시엄」 90년대에 승부를 건다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데이터를 병렬처리하고 기존의 대형컴퓨터에 비해 5백배의 처리능력을 발휘하여 인간의
언어
를 이해, 추론작용도 겸할 수 있다고 한다.또한 이와 같은 차세대컴퓨터는 문자뿐만 아니라 그래픽(도형) 영상 음성까지도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는 복합적이 시스템으로 발전해갈 것으로 보인다 ... ...
한글인식시스템의 현단계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한글날을 앞두고 열리는 한국인지과학회와 한국정보과학회 공동주최의 '사람과 기계와
언어
;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란 긴 이름의 학술대외로 구체화되고 있다.한글인식에 관한 연구는 맹인들에게도 책과 신문을 읽어 들여주는 컴퓨터시스템을 실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 ...
한글문화에 알맞는 컴퓨터를 개발하자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이러한 연구를 지원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것은 전산화된 한국어사전이다.
언어
이해시스템을 위한 사전은 사람을 위한 사전과 용도가 다르기 때문에 그 구성 및 내용도 달라야한다. 이러한 사전의 편찬작업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방대한 작업으로서 관련국어학자 ... ...
음성인식전화기 등장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전화기는 컴퓨터를 이용한 음성인식의 원리를 이용한 것.
언어
의 종류에 관계없이 모든
언어
를 사용할 수 있으며 50개까지 이름을 기억할 수 있다.금성통신은 이 제품을 금년말까지 상품화해 날로 고도화 다양화되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할 계획이다 ... ...
말하는 컴퓨터를 목표로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인식이다. 조음결합의 과정 구문 의미 등을 표현하기 위한 지식 표현법과 음향
언어
지식을 결합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발성자에 의하여 어휘와 구문이 변하여도 이에 적응할 수 있는 인식 알고리즘의 연구가 필요하다.네째 주위 환경의 변화(잡음)에 적응할 수 있는 인식 시스템의 구현이다. ... ...
세체개발에 바친 50년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⑥음소문자 등 6단계로 발전돼 왔는데 한글은 처음부터 음소문자로 만들어져 선진국의
언어
학자들도 놀라고 있는 것이다. 음소란 더이상 나눌수 없는 최소한의 음운단위(자음 또는 모음)를 말한다.바로 이러한 우수한 한글이 만들어진지도 5백50년이 지난 오늘날 한글을 보기좋게 갈고 다듬어 놓지 ... ...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CAI)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활용으로 나눌수 있겠는데 컴퓨터 리터러시 교육은 현재까지는 대부분 프로그래밍(BASIC
언어
등을 가르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그러나 세계적인 추세는 프로그래밍을 컴퓨터리터 러시코스의 주요 부분에서 제외시키는 방향으로 나가고 있다. 대부분 선진국의 학교에서 프로그래밍은 컴퓨터를 ... ...
변리사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구체화시키듯이, 변리사는 발명자의 기술적 사상을 일반인이 알아볼 수 있도록 일상의
언어
로 구체화시킨다.아무리 봐도 변리사란 직업이 화려하게 각광받는 직업은 아니란 생각이 자꾸 든다. 번역자로서 남의 기술사상을 구체화시킬 뿐 창조의 세계를 직접 맛보는 것은 아니며, 또 일차적으로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