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숫자"(으)로 총 2,83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순간’을 필름에 담는 엔지니어과학동아 l2008년 12호
- 밤처럼 어둡게 나와 붙인 제목이란다. 작품 설명도 재밌다. 각종 미사여구 대신 숫자와 기호가 가득하다. ‘해가 있는 밤’에는 ‘10:58 GMT+9, 대구광역시 앞산공원 고산골 35°49´29.21″N 128°36′08.72″E’이란 설명이 붙었다. 한국시각으로 10시 58분에 사진을 찍었고(10:58), 이 시각을 국제표기인 ... ...
- 숫자 채워 넣기과학동아 l2008년 12호
- 속의 숫자를 합한 값(1+2+3=6)입니다. 이달의 퍼즐 더한 값이 딱 한가지 조합으로 나오는 숫자와 동그라미가 위치한 장소를 먼저 찾아 보세요. 정답을 아시는 분은 ejpark@donga.com으로 12월 15일까지 연락처와 선물수령주소를 함께 적어 보내주세요. 정답을 맞힌 독자 중 추첨을 통해 당첨된 6분께 ‘멘사 ... ...
- 고릴라 고환이 사람보다 작은 이유과학동아 l2008년 12호
- | 동물들의 기이한 성생활 | 미하엘 미어슈 지음 | 조정수 옮김 | 이정모 감수 | 성우 | 424쪽 | 2만 5000원PROLOGUE섹스는 인간이 탄생하기 전부터 이 ... 웃으며 읽을 수 있는 따뜻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가 1은 나르시스트, 2는 이브의 숫자, 3은 최초의 평범한 수라고 주장하는 근거는 무엇일까 ... ...
- 붓질하면 다 나와!과학동아 l2008년 11호
- 선생님을 인기스타로 만들 딱과 키트수업 시간마다 실험 계획 세우고, 준비물 점검하고, 숫자 헤아려 주문하기 힘들었던 교사들에게 반가운 소식이 있다.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수업 시간에 활용할 수 있도록 쉽고 재미있게 구성한 '교과서에 딱 맞는 과학실험'(딱과) 키트가 나왔다. 학년별 교과 ... ...
- 초파리로 파킨슨병 치료한다과학동아 l2008년 11호
- 배아단계에서 세포의 구조가 변해 분화하지 못하고 죽었다.연구단은 정상 세포가 염색체 숫자나 세포 구조를 유지하지 못할 경우 암세포로 변할 수 있다는 점에도 착안했다. 사람의 대장암 세포에서 AMPK의 활성을 인위적으로 증가시키자 대장암 세포가 정상으로 돌아왔다. 이 연구결과는 2007년 5월 ... ...
- 기출·모의논술 분석이 합격의 지름길과학동아 l2008년 11호
- 30.91대 1, 연세대는 일반우수자 전형에서 48.81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중복 지원한 숫자를 감안하더라도 대략 4만 명 이상이 두 대학의 논술시험을 치를 것으로 예상된다. 더구나 고려대의 경우 논술 80%, 연세대의 경우 논술 100%를 반영해 뽑는 우선선발전형을 실시하기 때문에 논술성적이 당락에 ... ...
- [화학] 고분자 화합물의 특성과학동아 l2008년 11호
- 갖는 합성 섬유를 폴리아미드계 섬유라고 한다. 사용된 두 단위체가 갖고 있는 탄소의 숫자가 각각 6개씩이므로 그 이름을 6,6-나일론이라 부른다. 나일론은 질기고 내구성이 강해 옷감, 밧줄, 어망을 만드는 데 사용한다.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축합 반응시키면 테릴렌이라는 합성 섬유가 ... ...
- 바꿔, 바꿔! 놀라운 발명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0호
- 따르면 2007년의 경우 후보 중에서 장애인을 돕는 발명품과 환경 친화적인 발명품이 많은 숫자를 차지했다고 해요. 당신도 이런 최신 발명품을 보면서 공부 좀 하는 게 어때요?”접는 자동차이제는 자동차도 폴더형으로! MIT대학교에서 개발한 접는 자동차는 좁은 공간에 여러 대를 주차할 수 있어 ... ...
- 도형 속 숫자들의 규칙 찾기과학동아 l2008년 10호
- 수가 있는지 찾아 봅니다.② 특정 위치(주로 연산의 최종 결과 값으로 예상되는 곳)의 숫자에 홀수가 있는지를 봅니다. 만약 그렇다면 마지막 계산이 곱하기는 아닙니다.③ 어떤 자리에 있는 수들이 모두 다른 위치에 있는 수보다 크다면 다른 수들의 곱하기나 더하기가 됐을 가능성이 높습니다.④ ... ...
- 피부로 산소 감지하는 쥐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09호
- 쥐를 함께 넣어 두었지요. 몇 분이 지나 각 쥐의 상태를 확인한 결과, 정상 쥐는 적혈구 숫자를 늘리는 호르몬의 양이 30배나 늘었지만, 돌연변이 쥐는 아주 적은 양만 증가했어요. 즉, 돌연변이 쥐는 피부에서 산소를 감지하지 못해서 적혈구의 농도를 조절하는 호르몬이 제대로 활동하지 않은 거예요 ... ...
이전1681691701711721731741751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