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앞발
주먹
도움
손바닥
약혼
sone
so’n
d라이브러리
"
손
"(으)로 총 5,21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화석이 알려주는 인류의 진화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두개골과
손
, 발의 형태가 사람과 비슷했다. 특히 엄지
손
가락과 나머지 네
손
가락이
손
바닥을 향해 접히는 방향과 발바닥이 둥근 아치 모양이라는 점은 사람과 똑같았다. 연구팀은 이 화석인류가 돌로 된 도구를 사용했으며, 먼 거리를 이동할 때는 두 발로 서서 다녔을 거라고 추측했다.어금니는 ... ...
범인의 신원 정보를 먼지가 알고 있다고?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손
에 사는 세균은 평균 150종이나 되는데 한 사람의
손
에서 발견된 세균이 다른 사람의
손
에 동일하게 나타나는 경우는 13% 미만으로 매우 낮다. ‘미생물 수사’ 시대 다가올까한국에서도 큰 인기를 모았던 영국 드라마 ‘셜록’에서는 신발 밑창에 묻은 진흙에 섞여 있는 꽃가루만으로 신발 주인이 ... ...
[Knowledge] 꿈틀대는 강속구의 비밀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위아래로 공이 움직일 뿐만 아니라 좌우로도 공이 움직이게 된다. 오른
손
투수가 오른
손
타자를 상대로 싱커를 던졌을 때 몸쪽으로 날카롭게 파고드는 장면을 떠올리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만약 언더핸드나 사이드암 투수가 직구를 던진다면 어떻게 될까. 이들은 우완 정통파 투수처럼 직구를 ... ...
[이달의 사물] 천일염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디딘 것이죠. 하지만 이 논문이 평소 천일염의 안전성에 의구심을 품고 있던 황 씨의
손
에 덥석 잡혔습니다. 전선은 순식간에 중금속에서 세균으로 이동했습니다. 사실 세균 위험성도 천일염의 다른 논쟁거리처럼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천일염의 안전성을 연구한 논문의 상당수가 ... ...
[새 책] 인류가 고기를 먹게 된 이유는?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우리 인류의 ‘몸’과 행동의 기원을 파고든다. 그런데 시각이 독특하다. 땅에서 직접
손
으로 발굴을 하는 고인류학자만의 독특한 경험이 배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인류는 고기를 먹는 존재다. 현재 아프리카나 동남아시아에 남아 있는, 인류를 제외한 유인원은 모두 초식을 한다. 인류는 유독 ... ...
한글을 그리다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만들수 있는 앱이 있다. 정글시스템이 개발한 ‘Mr.마이글’은
손
글씨 12개만 입력하면
손
쉽게 개인 폰트를 만들 수 있다. 지금 한번 ‘Mr.마이글’로 나만의 폰트를 만들어 보는 건 어떨까 ... ...
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두 번 돌려 감은 다음, 끝을 붙여 둥근 틀을 만들었다. 그리고 형광색소가 들어있는
손
세정제와 글리세린을 물에 풀어 빛에 반사돼도 잘 보이는 비눗물을 만들었다. 그 다음 앞서 만든 틀을 이 비눗물에 담갔다가 뺐다. 그 결과 낚싯줄로 만든 경계선 안쪽에 뫼비우스의 띠 모양의 비누막이 생겼다. ... ...
오감만족 수학 놀이터 군포수학체험관에 가다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풀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곳에서는 직접 톱니바퀴를 돌리고, 퍼즐 조각을 맞추면서 ‘
손
으로’ 답을 찾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수학을 보고, 만지고, 느끼는 체험관‘우두두두…’ 쟁반에 구슬이 쏟아지는 소리가 났다. 알고 보니 체험 도우미 선생님이 비스듬히 서 있는 나무판자에 쇠구슬 수십 ... ...
손
톱만 만지작거려도 이메일이 척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앞으로 더 얇은 네일오를 만들 예정이에요. 그래서 중국의 한 배터리 회사와 0.5mm 두께의
손
톱크기 배터리를 개발할 계획을 세우고 있답니다. 배터리가 작아지면 센서와 여러 가지 마이크로칩을 넣을 공간이 더 생기기 때문이지요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2 똑똑한 드론의 임무 수행기!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이루며 마치 춤을 추는 것만 같습니다. 설계하는 일부터 건물을 세우는 일까지 모두
손
으로 하던 시절에는 이런 건축물을 실제로 만들 수 없는 그림 속 건축이라는 뜻으로 ‘페이퍼 건축’이라고 불렀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수학 모형으로 계산해 정교한 곡선을 품은 건물을 직접 만들 수 있게 됐죠.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