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센터"(으)로 총 4,0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양자컴퓨터 최강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선택됐는데 그게 이온트랩과 초전도였습니다.”정연욱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양자측정센터 책임연구원이 말했다. 여기에 전통적인 전자 산업의 강자 반도체까지 가세해, 양자컴퓨터계는 3강 체제를 이뤘다.소꿉놀이를 하려면 손님이 지불할 돈으로 쓸 바둑알이나 조약돌이 있어야 한다. ... ...
- 두유노우 마우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새하얀 털과 빨간 눈을 가진 손가락 두 개만한 쥐’라는 말을 들으면 자동으로 연상되는 단어가 있습니다. 네, ‘실험용 쥐’입니다. 가장 잘 알려져있고, 널리 쓰이는 실험 동물이지요. 하지만 실험 동물이라는 단어를 들은 과학동아 독자 여러분 중 대부분은 일단 인상을 찡그리실 겁니다. 아 ... ...
- 양자를 훔친 악동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브로이 공작인 빅토르 드브로이의 둘째 아들이었다. 제1차 세계대전 중에 에펠탑의 통신센터에서 복무했는데, 이는 그가 지체 높은 사람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드브로이는 처음에 중세사와 법학을 전공했지만, 형의 영향으로 물리학에 흥미를 갖게 됐다.1923년 드브로이는 전자의 파동성에 대한 ... ...
- Part 3. 줄기세포가 ‘분화’만 하는 줄 아니?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줄기세포가 다른 세포로 분화하는 현상이 딱히 관찰되지 않았다.미국 만델고혈압연구센터 마시밀리아노 그니치 박사도 여기에 의문을 품었다. 급성심근경색으로 심근세포가 죽은 생쥐에게 성체줄기세포를 넣어보니 심장 기능이 상당히 개선됐는데, 이상하게도 새로 생성된 심근세포 수가 너무 ... ...
- ‘우주 트랜스포머’ 화성탐사선과학동아 l2014년 07호
- KSLV-3에 자체 개발한 각종 컴퓨터와 통신장비, 화성차량 등 50t의 화물을 실어 고흥 나로센터에서 발사했다. 우리는 발사 후 1주일 동안 400km 궤도를 계속 돌며 각국의 화물선과 도킹과 분리를 반복하면서 화성탐사 우주선을 조립했다. 한국의 화물선은 셋째 날 만났다. 도킹하기 위해 접근하는 화물선 ... ...
- [Life & Tech] ‘날개 없는 선풍기’ 제임스 다이슨 창업자 인터뷰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마음’그는 생활 속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가 아직도 많다고 생각한다. 최근 다이슨은 RDD센터를 확장하기로 결정했다. 로봇공학, 모터, 재료과학, 항공공학, 음향학 등 더욱 다양한 연구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지치지 않는 발명가 제임스 다이슨. 그는 또 어떤 불편함을 해결해 돌아올까.“우리 ... ...
- 도시의 밑그림을 그리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주는 빗물관리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답니다. 현재 학교 내에서도 ‘빗물연구센터’를 운영 중입니다. ‘지구를 살리는 빗물의 비밀’이라는 책을 추천합니다. 빗물에 대해서 새롭게 생각해 볼 수 있을 겁니다.Q 빗물 활용 기술은 어디에 응용할 수 있나요?A 빗물을 활용하도록 시스템을 ... ...
- 공부의 적❷ 스마트폰 공부를 잘하려면 스마트폰을 버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스마트폰 중독?스마트폰이나 인터넷, 게임 때문에 불편을 겪고 있다면 인터넷중독대응센터(iapc.co.kr)에서 '스마트폰 중독 진단'을 받아 볼 필요가 있다. 혹시라도 중독이라면 무료 상담도 받을 수 있다. 감기에 걸리면 병원에 가듯 스마트폰 중독도 상담을 받아 고치도록 노력해야 한다.인터뷰 이상희 ...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비슷한 크기의 위성을 발견하 는 것도 가능하다. 미국 하버드-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센터의 데이비드 키핑 박사는 케플러우주망원경의 관측 자료를 이용해 외계 위성을 찾고 있다. 케플러우주망원경은 외계행성 이 자신이 묶여 있는 별의 주위를 돌면서 별빛을 가리는 현상을 관측해 외계행성을 ... ...
- ‘중력파’ 검출 바이셉2 연구, 사실은 잡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요소다.이 같은 지적에 대해 바이셉2 연구에 직접 참여했던 하버드-스미소니언 천문센터 존 코박 연구원은 “6일 발표된 플랑크우주망원경의 데이터에는 바이셉2 연구팀이 활용한 우주 영역의 정보가 포함돼 있지 않다”며 선을 그었다. 즉 연구팀의 데이터에 오류가 있음을 입증할 수 있는 새로운 ... ...
이전1681691701711721731741751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