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명
정신문명
물질문명
교양
culture
생활풍속
문화도
d라이브러리
"
문화
"(으)로 총 2,900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학이 밝혀낸 편경의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돌로 만든 편경은 맑고 단순한 소리를 내지만 그 이면에는 당시 최고의 과학기술과
문화
가 축적돼 있다. 어째서 그런지 현대의 과학기술로 한번 들여다보자.황금의 귀를 가진 세종대왕 편경은 석회암과 대리석이 섞인 돌을 갈아 기역(ㄱ)자 형태로 만든 악기로 쇠뿔로 된 각퇴로 쳐서 소리를 낸다. ... ...
"인간을 중심에 둔 과학만이 인류의 미래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있다. 그러니까 이책에서 다루고 있는 과학사는 자연과학에 한정되지 않고 인류
문화
의 큰 흐름을 모두 섭렵하고 있는 셈이다.브로노우스키는 인간이 자신의 지평을 끊임없이 확대하고 또 반대로 파괴하는 현장을 살펴봄으로써 궁극적으로 20세기의 ‘자연철학’ 을 도출해내고 싶었다고 한다. 그는 ... ...
색동옷에 숨겨진 전통염색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우수한 염색기술을 바탕으로 사설공장과 관영공장에서 염직물을 대량 생산했던 염색
문화
의 절정기였다. 관영 직조수공업장인 도염서(都染署)에서는 전문장인까지 두어 염색을 전담케 했다. 특히 자초를 이용하는 고려의 자색염 기술은 멀리 중국까지 알려질 정도로 뛰어났다. 이런 고려의 ... ...
사회적 책임 다하는 과학비평가이고 싶어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앞장서고 있다. 좀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을 우리가 살아가는 일상의 한 영역으로, 그리고
문화
의 한 영역으로 생각하며 과학을 좋아하고 즐겼으면 좋겠다는 것이 그의 바람이다 ... ...
앰배서더 강연 맛보기 - 경희대 윤무부 교수의 새 이야기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한국과학
문화
재단과 동아일보, 동아사이언스는 청소년들이 과학기술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앰배서더 과학강연을 개최하고 있습니다.5월 8일에는 새 박사로 널리 알려진 윤무부교수가 영등포구민회관에서 개최된 제1회 과학한마당 행사에서 과학자의 꿈을 키워가는 어린이들과 함께 했습니다. ... ...
01. 타고난 성격, 바꾸려면 부러질수도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평등한 사회를 건설하겠다는 이상을 품었던 중국의 혁명가 마오쩌둥의 말이다. 그는
문화
혁명을 통해 자신의 꿈을 실현하려했지만 결국 6천5백만명이 희생된 채 혁명은 실패로 끝났다.공산주의자들만이 이런 믿음속에서 살았던 것은 아니다. 20세기 중반, 미 하버드대 스키너 교수가 이끄는 행동주의 ... ...
우리 역사에서 찾아낸 나무의 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옛 배를 만드는데 쓰였던 선박나무, 옛 절의 건축재 등에 대한 연구가 우리나라 역사,
문화
와 어우러져 재미를 더한다. 신안해저유물선과 무령왕릉 발굴의 비밀, 해인사 팔만대장경판의 풀리지 않은 수수께끼 등 손톱 크기만한 나무조각 하나를 붙잡고 현미경과 씨름하며 보낸 30년 세월이 오롯이 ... ...
사이언스 코리아 운동 출범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발전을 통해 국민소득 2만달러 시대를 앞당기기 위한 범사회적과학
문화
운동인 ‘사이언스코리아’ 운동이 대대적으로 펼쳐진다.과학기술부는 4월 21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고건 대통령권한대행, 오명 과학기술부 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37회 과학의 날’ 기념식을 갖고 사이언스코리아 ... ...
아프리카 '루시' 부터 평양 '만달인' 까지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이르는 두터운 벼껍질층과 괭이를 비롯한 각종 농기구들이 대량으로 출토돼 당시 농경
문화
가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음을 보여준다.전시 코스의 막바지에서 다소 지친 사람들의 눈길을 끈 흥미로운 전시물이 나타났다. 4-7세기의 가야시대에 형성된 김해 예안리 유적에서 출토된 편두인골이 그것이다. ... ...
소행성에 한국과학자 이름 붙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돌고 있다”고 설명했다.문 연구원은 “소행성들의 이름을 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
문화
재단이 공동으로 설립한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올라간 과학자 14명 가운데 출생연도순으로 헌정했다”고 말했다.한국천문연구원은 향후 발견할 소행성에 대해서도 한국과학자의 이름을 헌정할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