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지"(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스템반도체가 뭐기에? 3대 키워드과학동아 l2019년 06호
- 12분의 1, 전력 소모는 10분의 1로 줄였다. 고성능 시스템반도체를 만드는 방식은 여러 가지다.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방식은 그래픽처리장치(GPU)와 같은 ‘인공지능 가속기’를 넣어 설계하는 것이다. CPU로만 이뤄진 반도체는 대규모 데이터 처리 능력이 떨어진다. CPU가 중앙에서 모든 데이터를 ... ...
- 화성의 메탄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검출되지 경우 또 다시 추가 탐사를 진행하는 게 우주 연구”라며 드넓은 우주에서 몇 가지 지점을 찍어 우리가 수행한 연구 결과가 정답이라고는 누구도 단언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ppdv ‘parts per billion by bolume’의 약자로 전체 부피의 10억분의 1을 나타내는 ... ...
- “탄소 저장한다니 신기해요” 소금 땅에서 만난 빨간 식물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윤 책임연구원은 갯벌에서 걷는 요령부터 알려줬다.“이곳에 처음 오는 학생들은 얼마 가지도 못하고 갯벌에 빠져 ‘살려 달라’고 소리치는 일이 다반사입니다. 걸을 때 발가락부터 갯벌에 디디세요. 평소 걷는 것처럼 뒤꿈치부터 디뎠다가 빠지면 꺼내기 힘듭니다.”학생들은 윤 책임연구원의 ... ...
- [중국유학일기] 기초과목에 집중하는 1학년 전공 역량 기르는 2학년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있었는데, 이때 내가 준비한 발표 내용이 많이 부족하다고 생각해 발표 후 교수에게 여러 가지 조언을 듣고 싶었다. 하지만 교수는 발표한 내용에 대해서만 평가할 뿐, 내 상황에는 관심이 없었다. 다행히 이날 발표에서는 내가 어떤 점을 어려워하는지 같은 조 친구가 교수에게 대신 설명해줘 ... ...
- [스타쌤의 꿀팁] 야구 보며 수학 공부한다수학동아 l2019년 06호
- 구단을 구경할 기회를 제공하고 수학 공부까지 할 수 있으니, 흥미와 교육 효과 두 가지 모두를 잡은 것이다. 홍 교사는 왜 야구와 수학을 엮어 강의를 하게 된 걸까? 야구 덕후의 취미가 교육현장이 되다!“수학과 야구를 엮으면 재미는 물론 교육적인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거라 생각했어요 ... ...
- [맛있는 수학] 솔로몬의 햄 샌드위치 정리수학동아 l2019년 06호
- 기뻐할 수학동아 편집팀의 모습이 눈에 선하네요. 후훗. 햄 샌드위치 정리에는 한 가지 맹점이 있습니다. n차원의 어떤 복잡한 경우에도 반드시 해가 있지만, 그 해를 햄 샌드위치 정리가 찾아주지는 않는다는 거예요. 해를 구하는 것은 컴퓨터를 이용하거나 다른 방법을 통해 계산해야 해요. 저는 ... ...
- [검시관의 사건노트] 혈흔과 뼈가 말하는 살인사건의 진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안쪽면, 두덩밑 함몰 부위를 살폈다. 배쪽활은 궁둥결합면과 평행을 이루고, 궁둥두덩가지 안쪽면은 넓고 편평하며, 두덩밑 함몰은 오목하다. 이 또한 모두 남성의 특징이다.다음으로는 두개골을 확인할 차례다. 대개 비계측적인 5점 척도검사를 이용해 각 부위에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성별을 ... ...
- 고려대-SK하이닉스, 연세대-삼성전자 반도체 인력의 세대 교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누구도 선점하지 못했다. 인공지능 기술에 유용하게 쓰일 시스템 반도체 후보는 크게 세 가지다. 첫 번째는 스마트폰과 같이 작은 기기에 들어갈 ‘인공지능 가속기’다. 그래픽처리장치(GPU)와 메모리 반도체 사이를 오가는 데이터양을 줄이기 위해, 데이터 중 일부를 GPU 내부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 ...
- 명화가 훼손되면 어쩌죠?수학동아 l2019년 06호
- 작품을 해석하고 복원하는 연구를 꾸준히 해왔습니다.도브시 교수의 연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나는 수학적 원리를 적용해 훼손된 미술품을 복원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미술품의 특징을 수학적으로 분석해 위작을 가려내는 연구입니다.미술품을 복원한 대표적인 사례는 2016년에 ... ...
- [따끈따끈한 수학] 어떤 경로도 다르게! 반복없는 색칠 문제수학동아 l2019년 06호
- 부분은 하나도 없습니다. 반복 없이 그래프 색칠하기 수학자들은 이 문제를 여러 가지 방식으로 바꿔 생각했습니다. 그중 하나는 문제를 그래프로 확장한 겁니다. 그래프는 지하철 노선도처럼 유한개의 꼭짓점과 두 꼭짓점을 잇는 선으로 이뤄진 수학적 대상을 일컫는데, 어느 두 꼭짓점이 선 ... ...
이전1681691701711721731741751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