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존재"(으)로 총 2,012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이즈 1위’ 국가가 벌이는 ‘에이즈와의 전쟁’동아사이언스 l2016.07.03
- '사이언스' 7월 1일자 표지에는 에이즈 치료약이 실렸다. - Science 제공 이번주 ‘사이언스’ 표지에는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에이즈) 치료약이 담겼다. 이 약 ... 남아프리카국립에이즈위원회(SANAC) 회장은 “에이즈 바이러스는 앞으로 100년은 더 남아공에 존재할 걸로 보인다”고 말했다 ... ...
- 가진 것이 줄어들수록 보수적이 되는 이유는?2016.06.28
- 내부의 문제는 방치하도록 만들 수 있다. 관련해서 심리학자 Jost는 사람들은 위협이 존재하고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낯선 적보다 익숙한 적을 선호하는 현상을 보인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똑같이 나쁜 놈이라면 익숙한 나쁜 놈에게 당하는 것이 낫다고 여긴다는 것이다. 이 외에도 각종 위협, ... ...
- 1300년 전 당나라 사람들은 오로라 봤다!2016.06.27
- 무지개는 공기 중의 물방울에 햇빛이 반사, 굴절돼 일어나는 현상이므로 당연히 밤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런데 문헌에서 뽑은 열한 곳 가운데 세 곳에서 때를 언급하고 있는데 다 밤이다. 아래 구절들이다. “882년 10월 밤 서쪽 하늘에서 백홍이 관측됐다.” (‘구당서’) “757년 2월 20일 난양(북위 ... ...
- ‘호빗’의 조상, 70만 년 전에 존재했다.2016.06.20
- 지난 2014년 플로레스섬 마타멩어에서 70만 년 전 인류의 오른쪽 아래턱뼈 일부(가운데)와 치아가 발견됐다. 분석 결과 2003년 발굴된 호모 플로레시엔시스의 턱뼈(위)와 구조와 크기가 비슷해 그 직계조상으로 보인다. 이들은 호모 에렉투스가 왜소화된 인류라는 게 유력한 가설이다. 아래는 호모 ... ...
- 스티븐 호킹 “블랙홀에도 빠져나올 구멍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6.06.12
- No-hair) 이론’을 일찌감치 부정했다. 지금으로부터 40년 전인 1976년 그는 블랙홀이 영원히 존재할 수 없다는 사실을 수식으로 증명해 보이며 “고전역학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블랙홀에서 물질이 거꾸로 새나가기 시작하다가 어느 순간에 이르러서는 빛과 입자들이 분수처럼 쏟아지면서 폭발할 수 ... ...
- 설탕 전쟁의 진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6.08
- 즐길 줄 아는 지혜가 필요하다 또한 설탕 줄이기 범국민궐기대회보다는 식품 내의 존재하는 당과 첨가당을 정확히 교육하고 어디에 당이 많으며, 어떤 당이 문제이고, 어떻게 섭취해야하는지를 바르게 교육하는 사업이나 정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리 식생활에서 당류의 섭취패턴에 ... ...
- “참으면 더 좋은 걸 주지~” 마쉬멜로우 실험의 다른 이야기2016.06.07
- 환경 단서에 민감한 정도를 측정했다는 점 등에서 이 연구가 가지는 헛점들이 분명히 존재한다. 하지만 만족 지연이라는 것이 기존에 학자들과 사회가 생각했던 만큼 ‘모든’ 환경에 있어서 만능이 아닐 수 있다는 점, 또한 자신이 처한 환경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줄 아는 것이야말로 ... ...
- 다윈의 나방 유전자 마침내 규명2016.06.06
- 낮에 주로 쉬는 장소는 나무 기둥이 아닐 뿐 아니라 실험에서처럼 고밀도로 나방이 존재하지도 않는다는 것이다. 또 야생에서 충분한 개체수를 확보하지 못해 실험실에서 키운 나방을 같이 쓴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2012년 미국의 저널리스트 주디스 후퍼의 책 ‘나방과 인간’이 나오면서 ... ...
- 귀차니즘을 떨칠 수 있는 심리학적 방법은? 2016.05.31
- 했다. 귀차니즘과 정면으로 싸워서 이기기엔 우리는 너무나 미약하고 넘어지기 쉬운 존재이고, 자기통제는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는, 예컨대 게임에서 보면 MP 소모가 무지막지하고 따라서 쓸 수 있는 횟수가 한정되어 있는 필살기와도 같은 고급인지과정이다. 따라서 긴긴 삶 속에서 매번 ... ...
- 양귀비꽃, 그 붉은 아름다움의 비밀2016.05.30
- 그렇지 않다). 이 꽃은 그 아름다움으로 인해 특별할 뿐 아니라 해부학적으로도 예외적인 존재다!(This flower is not only special because it’s beautiful, also it’s anatomy is exceptional!)”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 ... ...
이전1671681691701711721731741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