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저자"(으)로 총 2,207건 검색되었습니다.
- 받는 것보다 주는 기쁨, 친절을 베풀면 행복해진다2016.10.12
- 관계를 그다지 높게 평가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연구의 주요 저자이자 옥스포드대학교의 인지 및 진화 인류학 연구소의 올리버 스캇 커리 박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습니다. GIB 제공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기에 모두 가족, 친구, 동료, 이웃, 심지어 낯선 사람들까지 ... ...
- 대마초 피우면 돈 벌 의지 사라져과학동아 l2016.10.11
- 주는 일을 선택했지만, 대마초를 피운 사람들은 약 42%만이 그 일을 택했다. 논문의 교신저자인 UCL 임상정신약리학과 발 커랜 교수는 “대마초를 피운 사람들은 노력이 많이 필요한 일을 피하는 경향을 보였다”며 “대마초가 사람의 동기나 관심을 감소시킨다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었지만, 실험을 ... ...
- 노벨상 수상자의 ‘인맥’엔 특별한 것이 있다2016.10.07
- 013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프랑수아 앙글레르 브뤼셀 자유대 명예교수와 비교한 결과 공저자 수 면에서는 오히려 앞섰으나 가중페이지랭크 지수는 절반에 불과했다. 이 분석은 소수의 국내 과학자와 노벨상 수상자의 인적 네트워크를 비교했기 때문에 해당 분야 전체를 대변하지는 않는다. ... ...
-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수학동아 l2016.10.01
- ❸ 각자 잘하는 특정 부분만 담당하면 되기 때문에 효율적인 연구가 가능하다. ❹ 논문 저자는 ‘폴리매스 프로젝트’로 나오지만, 홈페이지에서 누가 얼마나 기여했는지 투명하게 알 수 있어 이름 없는 수학자도 쉽게 유명해질 수 있다. ● 수학에서도 대규모 연구 가능할까? 2009년 1월, 필즈상 ... ...
- [연구자율성 높이자] 노벨상 수상자 104명 연구비 최초 분석과학동아 l2016.09.29
- 확인하면 연구비 지원 여부와 특징을 알 수 있다. 아무런 연구비 정보가 없는 논문은 저자에게 직접 연락해 출처를 확인했다. 최종적으로 총 104명의 논문 142편에 대해 연구비 정보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 정보를 분류한 결과, 흥미로운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연구비도 중요하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 ...
- 지속가능한 건강식단 가능할까?2016.09.26
- 수렵인? 필자가 이 책의 많은 부분을 공감하면서도 거부감을 갖는 이유는 저자의 주장이 너무 완고해 때로는 사실도 서슴없이 왜곡하는 것 같다는 인상을 받았기 때문이다. 앞에 언급한 구석기시대 식단도 출처가 어디인지 몰라도 엉터리다. 1만 년 전 농사가 시작되면서 인류의 식단이 곡물(주로 ... ...
- 코끼리와 기린, 이러다 멸종될 수도?2016.09.19
- 상황에서 지속적인 상아 공급을 전제로 한 상아 거래 합법화를 논하기는 이르다는 게 저자들의 주장이다. 아프리카코끼리는 숲코끼리(둥근귀코끼리, 왼쪽)와 사바나코끼리 두 종으로 이뤄져 있다. 둘은 크기뿐 아니라 생태도 꽤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르면 개체수가 적은 둥근귀코끼리는 ... ...
- 자녀가 성공적인 인생 살기 바란다면 ㅇㅇ하세요2016.09.15
- 측정하는 뇌파 검사(EEG, Electrotroencephalography)를 통해 기록되었습니다. 이 논문의 주요 저자인 슈나이더-해스로프 박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정서적인 상호작용의 질과 취학 전 아동의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 실행 능력과 관련한 전기생리학적 상관관계 사이의 관련성을 처음으로 조사했다고 ... ...
- Quiz. 귀뚜라미가 많이 우는 날은 더운 날? 추운 날?2016.09.10
- 긴꼬리 귀뚜라미 울음소리 또한 높게 변화되었습니다. public domain 제공 이 논문의 제1저자인 나타샤 마트레 박사후 연구원은 “기온이 오르자 수컷 긴꼬리 귀뚜라미의 날개가 빠르게 움직이기 시작했고, 그 결과 높은 음의 소리가 났다”고 말하며 “암컷 또한 그 소리에 맞춰 반응하는 것을 볼 수 ... ...
- 개는 사람 말의 의미 뿐만 아니라 ○○에도 반응한다!2016.09.03
- 개는 말의 의미와 그 말투를 결합해 반응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연구의 주요 저자인 아틸라 안딕스 박사는 “이처럼 개가 어떠한 말을 듣고 그것을 처리하는 방식은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사람과 훨씬 더 비슷하다”고 밝혔는데요. 즉 좌뇌에서는 말의 의미를 파악하고 동시에 ... ...
이전1671681691701711721731741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