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뉴스
"
뒤
"(으)로 총 13,531건 검색되었습니다.
대장암 수술 전 항암 화학요법, 재발률 28% 낮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0
받은 후에 18주간의 화학요법을 더 받았다. 나머지 354명은 일반적인 대장암 치료를 받은
뒤
수술 후 24주간 화학요법을 실시했다. 화학요법에는 진행성 전이 대장암 치료에 사용되는 항암제가 사용됐다. 세포 내에서 DNA에 결합해 암세포를 죽이는 옥살리플라틴과 항대사물질인 플루오로피리미딘을 ... ...
코로나 확진 2만7408명…금요일 기준 13주만 최소
동아사이언스
l
2023.01.20
위중증 환자 수는 453명으로 전날 465명보다 12명 줄었다. 지난 18일 500명 밑으로 내려온
뒤
사흘째 400명대다.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전날 오후 5시 기준으로 29.0%을 기록하며 30% 밑으로 하락했다. 전날 사망자는 30명으로 직전일 47명보다 17명 적다. 누적 사망자는 3만3134명이며 누적 치명률은 0.11%다 ... ...
제임스웹보다 강력한 차세대 우주망원경...지구 닮은꼴 행성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0
제공 인류 역사상 가장 크고 강력한 성능의 우주망원경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의
뒤
을 잇는 차세대 우주망원경 ‘거주가능한 세상 천문대(HWO)’의 청사진이 처음으로 공개됐다. 2040년 지구에서 약 150만km 떨어진 우주 공간을 향해 떠나 지구를 닮은 외계행성에서 생명체의 흔적을 찾는게 주 ... ...
소아 희귀질환 진료 서울 대형병원 '마비 직전'
동아사이언스
l
2023.01.20
규모가 줄어드는 것도 문제다. 현재 주요 대형병원들은 각 희귀질환별로 원로 교수의
뒤
를 이을 젊은 후임교수를 미리 점찍어 양성하는 식으로 공백을 방지한다. 지금처럼 소아청소년과 정원이 줄어들면 적절한 후임자를 찾지 못하는 일도 벌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소아환자가 70% 정도를 ... ...
소변 유래 순환 RNA 이용해 '전립선암'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23.01.19
힘과 결합하도록 한다. 양전하로 코팅된 나노물질 표면에 순환 RNA를 포집한
뒤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해 나노 물질을 여과하고 순환 RNA를 농축 및 분리한다. 모든 과정을 거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20분 이내다. 장비를 전혀 사용하지 않으며 환자로부터 얻은 시료 용량의 제한 없이 고농도의 순환 ... ...
설날 전국 대부분 눈‧비…연휴 후반부터 강추위
동아사이언스
l
2023.01.19
21일까지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대체로 맑겠다. 21일 아침 기온이 일시적으로 하락한
뒤
낮부터 평년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예상됐다. 기상청은 "도로 살얼음 가능성이 높은 만큼 빙판길 교통안전에 주의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23일부터는 북서쪽에서 차가운 대륙고기압이 점차 확장하겠다. 2 ... ...
티타늄 합금 블레이드 손상부위, 3D프린팅으로 복구해 원가절감
동아사이언스
l
2023.01.19
현장에서 사용 중이다. 한국타이어는 그동안 블레이드를 완제품으로 공급받아 사용한
뒤
마모 및 손상으로 교체가 필요한 블레이드는 전량 폐기했다. 이번에 개발한 ‘산업용 금속 소재 부품 적층 복원용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면 손상된 부분을 복원해 재사용할 수 있어 블레이드 ... ...
버려지는 폐의류 플라스틱 원료로 재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3.01.18
화학적 원리를 이용해 혼합 폐합성섬유에 생분해성 화합물로 만든 추출제를 처리한
뒤
탈색이 일어나는 섬유만을 분리해 무색 섬유만을 골라냈다. 그 결과 염료가 제거된 고품질 폴리에스터 소재만 선별할 수 있었다. 추출제는 회수 후 재사용도 가능했다. 이후 저온 해중합 기술로 저온 반응에서 ... ...
간편해지는 알츠하이머병 진단…스마트패치로 무혈검사
동아사이언스
l
2023.01.18
발표했다. 알츠하이머병과 관련한 타우단백질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추출한
뒤
뇌 신경세포의 손상을 발견하는 바이오마커를 확인하는 방식이다. 국내에서도 관련 연구가 활발하다. 김재관 광주과학기술원(GIST) 교수 연구팀은 지난해 후각을 자극할 때 전전두엽에서 나타나는 근적외선 ... ...
'열대우림 파괴' 팜유 대체재 등장...효모 키워 기름 추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7
출시했다. 이 회사는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공동창업자로부터 대규모 투자를 받은
뒤
4년간 팜리스를 개발했다. 세계자연기금(WWF)에 따르면 야자 열매에서 나오는 기름인 팜유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식물성 기름으로 전체 생산량의 40%를 차지한다. 냄새는 물론 맛과 색이 없고 열에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