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도"(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음식물 쓰레기 줄이는 방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와우~! 그런데 음쓰가 많아지면 우리 파리들이야 물론 좋겠지만, 인간들은 이대로 괜찮은 걸까요? 쌓이는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사람들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도 한번 알아봤습니다. 웽~! 못생긴 음식, 버리지 마세요! 지구인 컴퍼니음식물 쓰레기는 우리가 먹고 남긴 것뿐만 아니라, ... ...
- [통합과학교과서] 이상한 목소리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목소리 때문에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야! 왕의 귀는 정말 크고 길쭉하게 생겼어요. 가까이서 보니 마치 꿀록 탐정의 친구인 당나귀의 귀를 닮아 있었죠.‘아, 왕자의 아버지가 바로 그 유명한 당나귀 귀 임금님이셨구나….’꿀록 탐정은 최대한 임금님의 귀를 보지 않으려 노 ... ...
- '기생충' 생태계 주연배우가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최근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영화 ! 덕분에 우리 기생충들도 함께 화제가 됐어요. 그런데 이 영화에는 진짜 기생충이 등장하진 않아요. 하지만 생태계에서 우리 기생충은 이미 주연 배우라고 해도 손색이 없을 만큼 활발히 활동하고 있어요. 만약 우리 기생충들이 주연 배우로 ... ...
- 기생충이 지구에서 사라진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혹시 우리 기생충이 숙주를 이용하는 모습을 보고 ‘기생충 없어졌으면!’ 이런 생각하는 건 아니겠죠? 그런 생각은 하지 말아요. 우린 생태계에 반드시 필요한 존재랍니다. 기생충을 주인공으로 환경 영화를 만든다면 대상을 받을 걸요? 무슨 말이냐고요? 기생충은 생태계를 지키기도 해요. 한 예 ... ...
- 기생충으로 역사 탐험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인간과 동물, 식물까지 지구 생태계를 종횡무진 누리며 활동하는 기생충의 대활약, 정말 놀랍죠? 그런데 아주 오래된 유적지나 미라에서 기생충을 찾아다니는 과학자들이 있어요. 마치 같은 탐험 영화 속 주인공처럼 말이에요! 아주 오래 된 유적지나 미라에서 기생충을 찾고 이 ... ...
- [과학뉴스] 130억 년 전, 합쳐지는 두 은하 포착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지난 6월 18일, 일본 와세다대학교 하시모토 다쿠야 박사팀은 지구에서 130억 광년 떨어진 육분의자리에서 두 은하가 충돌 후 하나의 은하 B14-65666로 합쳐지는 것을 관찰했다고 발표했어요.130억 년 전 우주에서 벌어진 천체 현상을 오늘날 관찰한 거예요. 이전에도 두 은하가 합쳐지는 모습을 포착한 ... ...
- [핫이슈] 24시간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 바이오블리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지난 5월 25일부터 26일까지,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19’가 열렸어요. 올해는 ‘생물다양성을 품은 광릉숲의 이야기를 들어보자!’라는 주제로 24시간 동안 포천 국립수목원을 탐사해 보았지요. 바이오블리츠에 참가한 대원들은 하루 동안 광릉숲에서 얼마나 다양한 생물들을 찾았을까요? 24시간 ... ...
- [에디터노트] 십 년이 지나도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블랙홀은 맞았다. 과학자들은 사실상 지구 크기의 전파망원경을 만들어 지구에서 5500만 광년(빛의 속도로 5500만 년 이동해야 닿을 수 있는 거리) 떨어진 우주 공간에서 태양보다 65억 배 무거운 블랙홀을 마침내 관측했다. 미 경제전문지 포브스의 지난해 예상이 그대로 맞아 떨어졌다.중력파 예상 ... ...
- [과학뉴스] 토성 위성 '타이탄 지도' 최초 공개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토성의 제1위성 타이탄. 표면에 보이는 오렌지색 대기는 수많은 유기물로 구성돼 있다. NASA 제공토성의 위성 중 가장 큰 타이탄은 태양계 위성에서 유일하게 짙은 농도의 대기를 보유하고 있다. 타이탄의 대기는 주로 생명활동의 지표인 메탄으로 구성돼 발견 초기부터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위 ... ...
- 2019 네이버 과학판 베스트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올해 대한민국 국민은 어떤 과학 이슈에 가장 큰 관심을 보였을까요? 과학동아는 네이버 과학판과 공동으로 일간 조회수 2만 회를 넘긴 콘텐츠 중 베스트 10을 선정했습니다. 과학기술의 발전은 호기심에서 시작한다고 했던가요? 대중에게 선택받은 과학 이슈 역시 호기심을 자극하는 흥미로운 ... ...
이전1671681691701711721731741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