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화뉴스] 로봇개, 험한 길도 문제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걸을 수 있게 해주는 AI를 개발했어요. AI는 애니말의 발에 있는 센서에 들어온 정보를 이용해 땅의 높낮이나 미끄러운 정도를 추정하고 스스로 학습했어요. 연구팀은 로봇이 다니기 힘든 눈밭이나 개울, 진흙탕 등에서 1년 가까이 애니말을 시험했는데, 이 기간 동안 애니말은 카메라 없이 오로지 ... ...
- [헥!헥!핵물리학자] www는 물리학자가 개발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WLCG에는 매년 10PB 이상의 데이터가 새로 저장돼 전 세계 약 만 명에 가까운 연구자들이 이용해요. 한국의 기초과학연구원도 WLCG에 속하는 덕에 국내 연구원도 LHC에서 이뤄지는 실험에 참여할 수 있답니다. 용어정리 *쿼크 : 더이상 쪼갤 수 없는 기본 입자 중 하나. 바텀 쿼크를 포함해 6가지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화려한 색깔이 나를 감싸네, 신기한 셀로판지 실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인지질을 통과하지 못해요. 이때 인지질을 통과하지 못하는 물질은 ‘막단백질’을 이용해요. 막단백질은 필요한 물질만 선택해서 세포 안팎으로 물질을 들이거나 내보내는 선택적 투과가 일어나요. 특히 전기를 띠는 이온은 막단백질의 도움으로 세포 안팎을 출입하는데, 마치 막단백질의 이런 ... ...
- 노벨물리학상│20년간 우주 뒤져 블랙홀을 찾아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별을 추적해 왔어요. 게즈는 하와이의 켁 망원경을, 겐첼은 칠레의 NTT와 VLT 망원경을 이용해 관측한 결과, 우리은하 중심의 블랙홀이 태양보다 약 400만 배 무겁다는 사실을 2008년에 알아냈어요. 이는 블랙홀의 가장 확실한 관측 증거로 꼽혀요.지금은 대부분의 은하 중심에 거대질량 블랙홀이 있다고 ... ...
- 노벨화학상│생명과학에 혁명을!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세포가 절단 부위를 다시 붙이다가 접합 부분에 돌연변이가 일어나기 쉬워요. 이를 이용해 특정 유전자만 망가뜨려 그 기능을 알아보거나, 병충해에 강한 식물을 만드는 등의 일을 할 수 있지요. 이전까지 유전자 가위는 만들기 어려워 널리 사용되지 못했지만, 크리스퍼-Cas9은 간편해 생명공학에 ... ...
- 하루에 넌 몇 번 생각하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fMRI는 피의 양을 측정해 뇌의 기능을 파악하는 뇌 영상기술이지요. 연구팀은 fMRI를 이용해서 영화 장면에 따라 뇌의 활성화 패턴이 달라지는 것을 추적했어요.그러곤 뇌의 활성화 패턴을 가상공간에 나타내자 ‘한 가지 생각에 집중’하는 동안 길쭉한 모양의 벌레를 닮은 이미지가 나타나는 걸 ... ...
- 생각을 읽는 기술? 돼지 머리에 기기를 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비슷한 느낌을 받았어요. 지금도 다양한 BMI 기기들이 있지만, 누구도 자동 수술 로봇을 이용해 수술의 부담을 덜면서도 정밀한 수술이 가능케 하겠단 생각은 못했거든요. 뇌에 기기를 심는 기술을 비교적 간단하고 대중화된 시력 교정술 ‘라식 수술’에 비유한 점이 재미있었어요. Q뇌공학자로서 ... ...
- [통합과학 교과서] 왕자님을 집으로 돌려보내 주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라파엘 메젠가 교수팀은 지난 10월, 우유에서 얻은 ‘유청 단백질’과 활성탄을 이용해 만든 필터가 방사성 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답니다.연구팀은 유청 단백질을 사용해 단백질 섬유를 제작했어요. 식물성 섬유로 종이를 만들 듯, 단백질 섬유와 활성탄 알갱이가 섞인 용액을 ... ...
- [술기로운 동물원 생활] 턱끈펭귄 │ 동물원 수의사가 남극에 간 까닭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부착하는 일은 마취를 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합니다. 펭귄은 폐와 기낭(공기주머니)을 이용해 깊은 호흡을 하는데, 약물 주사로 마취를 하면 호흡이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매우 위험해요. 대신 호흡 가스를 흡입시키는 방법을 써야 하지요. 포획된 펭귄이 대피소로 도착하면, 제가 미리 대기하고 ... ...
- [한장의 과학] 블랙홀, 별이 스파게티처럼 쭈욱~, 늘어났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1500만 광년 거리의 은하 중심부를 칠레에 있는 유럽남방천문대의 초거대망원경(VLT) 등을 이용해 관측했어요. 이 은하 중심부에는 태양의 100만 배 질량에 달하는 초대질량 블랙홀이 있어요. 연구팀은 작년에 발견된 ‘AT2019qiz’라는 별이 블랙홀로 흡수된 직후 일어난 과정을 관측하는 데 성공했지요 ... ...
이전1671681691701711721731741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