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열혈가족인터뷰] 그린 가디언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1호
또 지사탐 대원으로 이촌한강공원 귀화식물 현장교육에 참여했는데, 그때 차두원
연구원
님을 만나 생태계 교란 식물종에 대한 연구방법을 여쭤보는 인터뷰를 하기도 했답니다.Q 탐구를 마친 뒤, ‘생태계 교란 식물은 무조건 제거되어야 할까’의 결론을 어떻게 내렸나요?성근 처음엔 봉사점수를 ... ...
변화하는 환경엔 말랑말랑한 내가 최고! 소프트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응용해 해초에 숨어 있다가 1m까지 커지는 로봇 등을 만들었지요.로봇을 개발한 김웅배
연구원
은 “부드러운 물질로 종이접기를 하면 로봇을 쓰지 않을 때는 조그맣게 있다가 필요할 때 커지도록 만들 수 있다”고 말했어요. 게다가 평소에는 접힌 상태로 있도록 함으로써 소프트로봇이 공기 압력 ... ...
수리류를 추적하고 지키는 시민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알 수 없었어요. 같은 개체가 여러 번 찍혔거나 놓친 개체도 있을 테니까요. 덴하르트
연구원
은 흰머리수리의 비행을 모델링해 시민과학자들의 자료와 비교한 후, 같은 개체일 가능성이 높은 것은 뺐어요. 여기에 10년 동안 통신기로 추적한 자료로 시민과학자들이 발견하지 못하는 경로를 ... ...
과학동아 At a Glance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실제로 펭귄과 물범은 친구가 될 수 있을까? 펭귄 전문가인 김정훈 극지연구소 책임
연구원
에게 물어봤습니다. 백두산이 정말 분화한다면☞바로가기 (50p)백두산이 분화할 가능성이 있을까요? 답은 ‘그렇다’ 입니다. 백두산은 언제 분화해도 이상하지 않은 활화산입니다. 백두산은 946년경 대규모 ... ...
적군 감시하는 렌즈 공학자 "물리의 매력에 빠진 중학생이었죠"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막혀있던 새로운 시도들이 이뤄지고 있어서 그래도 긍정적이라고 생각한다”며 “여성
연구원
들을 위한 문이 열리고 인원이 차츰 늘어나면 자연스럽게 내가 겪었던 어려움도 해소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미국유학일기] 아이폰의 나라에 매료되다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국제학회에서 발표할 기회까지 얻었다.이외에도 KAIST 과학영재교육
연구원
의 온·오프라인 수업을 들으며 직접 발명품 특허를 출원해보고, 집수리 봉사 활동도 꾸준히 하며 다양한 경험을 쌓았다. 또 2012~2013년에는 강원도민생활체전에 수영과 수구 종목 선수로 출전했는가 ... ...
[수학뉴스] 무작위한 수 사이에도 규칙 있다
수학동아
l
2020년 01호
사실을 밝힌 거죠. 이 기준은 소수로 이뤄진 집합에서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페루제
연구원
은 “소수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 ...
[한페이지 뉴스] 외계행성 19개 화학조성 보니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결정보다는 금속성 원소들이 뭉쳐져서 행성이 만들어졌을 수 있다는 것이다. 웰뱅크스
연구원
은 “만약 목성과 같은 태양계 행성에서 다량의 물이 발견된다면 외계행성과는 형성된 방식이 다를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천체물리학 저널 레터스’ 12월 11일자에 발표됐다. doi: ... ...
[신년기획] 2020년 쥐의 해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2019년 11월 28일 중국 네이멍구에서 네 번째 흑사병 확진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흑사병은 1347년 유럽에서 창궐해 14세기 유럽 인구의 30%를 앗아간 무서운 병입니다. 당시 최소 7500만 명이 사망하며 인류 역사상 최악의 전염병으로 기록됐죠. 이에 네이멍구 보건당국은 대대적인 쥐 퇴치작업을 펼쳤습 ... ...
[신년기획]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2019년 11월 28일 중국 네이멍구에서 네 번째 흑사병 확진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흑사병은 1347년 유럽에서 창궐해 14세기 유럽 인구의 30%를 앗아간 무서운 병입니다. 당시 최소 7500만 명이 사망 ... 받으세요~ 도움한국생명공학
연구원
실험동물자원센터 김형진 센터장, 남기환 책임
연구원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