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간
시력
시점
때
조준
안력
보이기
d라이브러리
"
시각
"(으)로 총 2,503건 검색되었습니다.
10월 8일 새벽 토성이 달 뒤로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볼 때 토성이 달에 가려지는
시각
은 새벽 3시 4분이다. 달에서 토성이 다시 출현하는
시각
은 3시 54분으로 예측된다. 토성이 달 뒤에 가려지는 전체 시간은 50분 정도지만 토성이 달에 들어가는 때의 지속시간은 약 1분 가량 된다. 토성의 고리를 제외한 본체가 가려지는 시간은 이 중 절반 정도다. ... ...
3 교육 : 차세대 나노주자 위한 소우주 여행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수 있었던 이유IN-VSEE는 프로젝트의 이름에서 이미 암시하듯이 교육 방법으로 나노세계의
시각
화를 통한 ‘관찰’을 핵심으로 본다. 과학이 사물의 관찰로부터 시작했던 것처럼 미지의 나노세계에 대한 접근도 관찰에서부터 비롯된다는 말이다.과학교육에서 관찰의 중요성은 나노과학을 처음으로 ... ...
원숭이인간과 기계인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팀 버튼 감독은 1968년 찰톤 헤스턴이 주연했던 고전 ‘혹성탈출’을 새로운
시각
으로 재구성했다. 영화 속에서 지구로 돌아온 주인공은 인간처럼 지적으로 진화한 유인원들에 의해 지배당하고 있는 인류의 모습을 발견한다. 사실 팀 버튼의 혹성탈출은 유인원의 진화에 대한 우려보다는 지적인 ... ...
1 탄생 : 원자 주무르는 초소형 로봇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확대현상을 발견하고 사물에 대한
시각
을 점점 아래로 끌고 내려갔다.그리고 지금 원자현미경을 발명해 10억분의 1의 세계를 들여다본다.하지만 단순히 들여다보는 것만으로 끝나지 않는다.원자현미경은 나노세계를 조작하는 능력까지 갖고 있다.인류는 뛰어난 두뇌의 도움으로 다양한 도구를 ... ...
너무나 엽기적인 그 과학자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작품은 제대로 이해하고 있으나 입체파 화가의 작품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어
시각
적 자극으로 비둘기를 조종할 때에는 인상주의 작품을 쓰라는 것이었다. 비둘기가 인상주의 작품에 호감을 보인다니, 모네가 이야기를 들으면 놀라 자빠질 얘기다.이 밖에도 ‘발이 큰 남자는 성기의 길이도 ... ...
1. 몸은 남성 마음은 여성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맡는 여성을 부치(butch), 여성역을 맡는 여성을 팜므(femme)라고 부른다. 그러나 이성애적
시각
으로 성역할을 구분하고 있다는 문제 제기로 최근 사용하지 않는 추세다. 한국에서는 특히 동성애자를 이반(二般, 異般)이라고 부른다. 종로 등지에서 유래된 이말은 처음에는 일반(一般)보다 못한 자, 즉 ... ...
3D 애니메이션이 탄생시킨 시험관아기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갖다 붙여도 아직 미완성품에 불과하다. 제 아무리 훌륭한 슈퍼컴퓨터를 써도 인간의
시각
과 청각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게임과 영화를 넘나든다3D 애니메이션은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 올 여름 유난히 많은 3D 애니메이션이 개봉됐듯, 영화의 흐름이 지금껏 우리가 알고 있는 전통적인 ... ...
1. 1백만달러 현상금 걸린 유체방정식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위해서는 수학의 역할이 절실하다. 왜일까.전세계의 과학자나 공학자는 지금 이
시각
에도 실험실이나 야외에서 자연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 각종 실험을 한다. 예를 들면 한창 말썽이 됐던 원폭실험, 인간복제 등 크게는 인류의 생존과 관련있는 것뿐 아니라, 공기흐름을 분석하는 풍동실험, ... ...
2. 3명의 유전자 혼합된 아기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좀더 인간적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유전 결함으로 조기 유산하지만 비판적인
시각
도 만만치 않다. 코헨 박사는 “1997년 이후 세포질 이식을 통해 15명이 태어났는데 모두 건강하다”고 밝혔다. 그런데 5월 20일 영국의 옵서버지는 “15명의 아기 이외에 2명의 태아가 유전적 결함으로 태어나지 ... ...
북두칠성은 어느 방향으로 돌까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답을 구하기 위해서는 지구의 공전운동을 추가로 고려해야 한다. 지난호에서 매일 같은
시각
에 관측하면 지구의 공전 때문에 남쪽 하늘의 별은 약 1°씩 서진한다는 사실을 알았다.마찬가지로 지구의 공전운동으로 인해 북극성 주위 별은 매일 시계 반대방향으로 1°씩 더 회전한다. 따라서 문제(3)의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