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d라이브러리
"
반응
"(으)로 총 5,190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너지드림센터의 비밀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생긴 전기에너지로 모터를 움직여 수소자동차가 달리는 거랍니다. 수소와 산소의
반응
으로 생기는 에너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수소자동차의 배출 물질은 대부분 물이지요. 비밀2 제로에너지하우스드림이를 타고 상암수소스테이션, 마포자원회수시설을 둘러보는 에코투어도 마쳤으니 이제 ... ...
수학계 최고의 스승과 제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4년 05호
가우스의 선택이었다.리만은 부랴부랴 11시간 동안 준비해 시범강의를 했고, 예상대로
반응
은 상당히 미지근했다. 하지만 새롭고 신선한 개념들을 상당히 많이 제시했던 그의 강의는 여러 해 동안 다른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게 되었다. 그리고 이 개념은 리만이 죽고 50년이 지나 20세기 최고의 ... ...
[Knowledge] 히틀러는 왜 계속 태어나는가?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추종자로 만든다. 경쟁자가 될 만한 다른 구성원들을 지나치게 의심하면서 예민하게
반응
한다. 결국 기존 질서를 무너뜨리고 자신의 독단적인 망상을 집단에 적용하려고 시도한다. 좋게 말하면 카리스마적인 인물, 나쁘게 말하면 독재자라고 할 수 있다. 어느 집단이 극단으로 치닫고 사회적 갈등이 ... ...
아기가 죽어도 슬퍼하지 않는 엄마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이처럼 죽는 아기들이 스스로 살기를 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죽은 것이라며 냉담하게
반응
해요.아이는 모유를 먹지도 못한 채 방 안에 홀로 버려져 있다가 허기에 지쳐 쓰러지기도 하고, 간혹 갑작스러운 질병으로 입에 거품을 물거나 심지어 집안 구석에 엎어진 채 죽을 때만을 기다리는듯 방치되죠. ... ...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말다툼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결함을 실험으로 검증했다는 논문이 실렸기 때문이다. 그러나 물리학자들의
반응
은 잠잠했다. 정말로 불확정성 원리가 틀렸다면 현대 물리학의 기둥인 양자역학이 삐걱거릴 텐데 왜 조용했을까. 이 논문은 하이젠베르크의 설명 방법에만 딴지를 걸 뿐, 불확정성원리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았다. ... ...
수학자 뇌엔 수학공식이 예술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것과 관련된 영역이 활발해졌다. 수학을 모르는 사람들은 수식을 봐도 뇌에서 별다른
반응
이 나타나지 않았다.연구팀은 수식을 아름답다고 느끼는 기준이 반드시 주관적이지는 않다고 밝혔다. 수학자들에게 60개의 수식을 ‘추하다’에서 ‘아름답다’로 평가하게 했더니 대부분의 수학자가 ... ...
우유속 단백질, 화재 막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속도로 타들어갔다. 알론기 박사는 “카제인이 직물 위에 숯과 같은 층을 형성해 연소
반응
을 억제시켰을 뿐 아니라 독성 가스도 발생시키지 않았다”며 “카제인이 재료에 확실히 달라붙도록 만드는 연구를 추가적으로 진행해 상용화에 이르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침으로는 ‘슴부심’을 채울 수 없어요~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약실이라고 하나 가슴에 삽입한다고 하니 가슴이 커진 게 아니라 사실은 이물질에
반응
해 부은 게 아닌가 하는 의심도 듭니다.효과는 글쎄? 시술비는 고액무엇보다 관 련 연구가 너무 적습니다. 생명과학 및 의학 논문 데이터베이스인 PUBMED에서 ‘acupuncture breast enlargement(침술 가슴 확대)’로 ... ...
썩소라도 웃는 게 보약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미소가 긍정적인 정서를 증폭하는 효과가 있음은 분명하다. 그리고 긍정적인 정서가 면역
반응
을 활성화하는 등 건강에 다방면으로 좋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평소에 스트레스가 밀려오면 어떻게 대처하는가? 마구 먹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잠을 자거나, 운동을 하는 등 각자의 요령이 있을 ... ...
[생활] 생생한 화질 경쟁, 수학으로 앞서 간다!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2008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MRI는 강력한 자기장을 만들어서 몸속에 있는 수소 분자의
반응
과 분포를 통해 질병 정보를 파악한다. 반면 MREIT는 인체에 전류를 흘려 줄 때 생기는 자기장을 측정해서 세포의 전기 전도율 변화를 확인하는 장치다. 정상 세포와 암세포의 전기 전도율 차이를 알고 있기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