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단
대
교단
지휘대
단체
강단
구
d라이브러리
"
단
"(으)로 총 3,820건 검색되었습니다.
시로 읊고 퍼즐로 푼다! 수학 삼국지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동아시아 수학을 대표하는 서적이었다.세키 코와(1642~1708년)세키 코와는 일본 수학사에서
단
연 제 1의 수학자로 손꼽히며 일본 전통 수학의 기초를 확립한 인물이다. 세키는 행렬식이라는 개념을 생각해 연립방정식의 풀이로 확장했는데, 이는 유럽의 연구보다 빨랐다. 세키는 극한의 아이디어를 ... ...
내과의사 '니아니 다 보이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화면에 나온
단
층 사진은 어떤 물건을 찍은 걸까?”문제 2여러가지 물건으로 컴퓨터
단
층촬영(CT)을 했다. 표시된 면을 따라 촬영했을 때 나타난 사진은 어떤 물건일까?
단
, 물체의 안에는 아무것도 없다. 썰렁홈즈의 두뇌 미로악당 업새블라는 다시 1970년대 독일로 도망쳤다. 그곳에는 자기공명영상 ... ...
Part4. 인삼 약효도 장내미생물 덕분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대사 활성과 전통 동양 의약품의 약효와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말했다. 정제된
단
일 성분인 화학 약품과는 달리 수많은 성분의 복합체인 천연물 약품의 경우 장에 흡수돼 혈관으로 들어가지 못하는 성분이 많지만 대신 장내미생물에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는 인체에도 작용한다는 말이다 ... ...
국내 최강 IT기술 이제는 바다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망망대해에 숨은 잠수함 한 대만 쫓던 러시아는 얻을 수 없는 성과였죠.”김 교수는
단
일 대상 대신 떼 지어 다니는 물고기, 여럿이서 함께 움직이는 스쿠버다이버들을 동시에 추적하려는 과정에서 신기술을 얻었다고 설명했다. 양국의 융합연구가 이룬 첫 번째 쾌거다. 수중 GPS 기술이 향상되자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지진 등과 같은 이유로 넓은 지역에서 파도가 갑자기 만들어지면 연안에 도달할 때 대
단
히 큰 높이를 형성하기도 한다.특히 쓰나미에서 주목해야 하는 것은 진행 속도다. 쓰나미는 수천 m나 되는 대양의 수심이라도 마치 얕은 수심처럼 느끼며 진행한다. 이론적 진행속도는(중력가속도)×(수심)이다. ... ...
Part2. 끈이론 다중우주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우주상수가 다른 또다른 새끼 우주가 생기며, 이 과정이 반복되며 다중우주가 된다.일
단
이렇게 탄생한 우주 중 우주상수가 양의 값을 우주는 팽창한다(음의 값을 지닌 우주는 쪼그라든다). 팽창하는 우주가 탄생한 것이다. 그런데 복잡한 문제가 더 있다. 양자역학에는 ‘터널 효과’가 있다. 이에 ... ...
‘별의
단
발마’ 항성풍의 정체는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죽어가는 별이 내는 마지막 비명일까. 태양처럼 중간 정도의 크기와 밝기를 지닌 별은 사라지기 직전, ‘강한 항성풍’이라고 하는 강력한 먼지 바람을 내뿜는다. 항성 대기에서 생긴 먼지가 빛에 실려 멀리 날아가는 현상으로 태양풍의 1억 배 이상 강하다. 약 1만 년 동안 지속되는데, 그 사이에 ... ...
“과학의 매력은 어렵다는 것”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과학서적은 수식을 쓰지 않기 위해 대신 길고 장황한 설명으로 지면을 할애하는데, 일
단
수식을 풀고 나면 수학의 명료함 덕분에 이해하기가 더 쉬워진다는 것. 그런데 해당 과학을 전공하는 대학생들도 외우기 싫어하고 풀기 싫어하는 것들을 공부하려는 일반 대중이 과연 있을까.마라톤의 매력은 ... ...
오랑우탄은 훌륭한 건축가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위치를 선정하면 살아있는 나무의 가지를 반쯤만 부러뜨리고 엮어 기초 구조를
단단
하게 만든다. 그 위에 잎이 무성한 잔가지를 얹어 푹신한 잠자리를 만든다. 완성된 둥지는 길이 1m에 폭 80cm 크기의 눕기 편한 타원형이다. 연구팀은 “어린 오랑우탄이 어른 오랑우탄이 지은 집을 한 번 보고 나면 ... ...
꽃집 장미는 모두 성형미인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뒤섞는 과정을 자연에 완전히 맡기는 것인 만큼 불확실성이 크다.교배육종의 또 다른
단
점은 식물의 유전자에 애초부터 없는 형질은 아무리 교배를 해도 얻을 수 없다는 것이다. 좋은 예가 바로 푸른색 장미다. 장미에는 푸른색 색소를 만들어내는 유전자가 아예 없다. 이 때문에 교배육종으로는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