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
실개천
속
나
d라이브러리
"
내
"(으)로 총 10,295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는 생물학 무기가 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더 높은 치사율을 행사할 여지도 있다.2017년 미국 하버드대 케네디스쿨(행정대학원)
내
벨퍼과학국제문제연구소는 북한이 비공식적으로 여러 생물학 무기를 개발하고 있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는데, 그중 천연두바이러스도 포함됐을 것으로 추정했다.치사율이 80~90%에 육박하는 에볼라바이러스도 ... ...
B림프구...항체 생산하는 면역의 종결자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세포는 제거되고, 중간 정도의 능력을 갖춘 B림프구가 완성된다. 특히 자신의 생체
내
분자에 맞는 수용체를 가져 자가면역반응을 일으키는 B림프구는 사멸하거나 무반응 B림프구가 되도록 조치를 취한다. 이런 반응을 면역관용(immune-tolerence) 시스템이라고 한다. 면역관용 시스템이 제대로 발휘되지 ... ...
1954년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바이러스는 박테리아(세균)와 달리 인공적으로 번식시킬 수 없었다. 오직 살아있는 세포
내
에서만 증식하기 때문이다. 1948년 미국 보스턴아동병원 교수였던 존 프랭클린 엔더스와 토머스 허클 웰러 그리고 프레더릭 채프먼 로빈스 박사는 유행성이하선염(볼거리)을 일으키는 멈프스바이러스를 ... ...
1980년 면역거부반응의 이유를 찾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사실이 추가로 밝혀졌다. 스넬은 노벨상 시상식 강연에서 “과학은 거미줄과 같아서
내
연구는 거미줄을 한 가닥씩 이루고 있는 과거와 동시대인들의 도움으로 가능했다”며 “갑작스러운 죽음을 맞이했지만 H2항원 유전자를 함께 발견한 피터 고어 박사 덕분에 연구의 원동력을 얻을 수 ... ...
단백질 백신_B형 간염 백신 Hepatitis B 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단백질 백신이 가장 많다. 미국의 제약사로 메르스 백신을 보유한 노바백스와 국
내
에서는 SK바이오사이언스 등이 단백질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노바백스는 5월 말 코로나19 백신 후보인 ‘NVX-Cov2373’에 대해 1단계 임상시험을 진행했다 ... ...
성층권에 드론 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사용하는 걸 반복해요. 현재의 배터리 기술로는 최대 100회까지 반복해 비행할 수 있으며,
내
후년 쯤에는 300회 이상 반복할 수 있도록 연구를 거듭하고 있답니다. 이융교 책임연구원은 “배터리의 성능이 좋아진다면 태양광 드론의 비행 기간을 최대 1년까지 연장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는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1. 외계인은 진짜 있을까?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아닌가요? 시거 물론 1이라는 숫자는 크지 않아요. 하지만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범위
내
에서 구했기 때문에 아직 관측하지 못한 우주 전체를 생각하면 이 숫자는 더욱 커질 수 있어요. 우리은하에는 대략 1000억 개의 별이 있고, 우주엔 1700억 개 이상의 은하가 있으니까요. 때문에 외계생명체도 ... ...
[오쌤의 수학공부법]
내
게 맞는 수학 문제집은?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선택 요령에 대해 이야기 해봤는데요, 사실 가장 중요한건 어떤 문제집이든 확실히 끝
내
는 겁니다. 집에 풀다 만 수학 문제집이 쌓여 있는 친구들도 많죠? 수학 실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대충 여러 권을 푸는 것보다 한 권이라도 확실하게 푸는 게 더 도움이 됩니다.또 한 가지 당부하고 싶은 말은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지역에서 별도로 1000명의 혈액을 얻어 집단면역률을 조사할 계획이다. 하지만 국
내
에서는 전국적인 대유행이 없었고 비교적 강도 높게 확진자와 감염의심자에 대한 격리가 시행됐기 때문에 항체 형성률이 높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사람의 몸은 일정 변수까지는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 ...
[별헤는수학] ‘외계행성 탐험대’, ‘행성 사냥꾼:테스’ 태양계 밖에서 행성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대해 이처럼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니 신기하지 않나요? 외계행성 발견하면
내
이름이 논문에외계행성 탐험대와 행성 사냥꾼:테스 프로젝트에는 지금까지 4만 5000명이 넘는 시민천문학자가 참여했어요. 연구팀은 외계행성을 발견하는 데 기여한 시민천문학자의 이름을 외계행성과 함께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