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방
전시
계방
개봉
상연
전람
공시
d라이브러리
"
공개
"(으)로 총 2,733건 검색되었습니다.
정자에 관한 색다른 보고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유리 키리초크 교수팀은 2월 초 발행된 생명 분야의 전문학술지 ‘셀’에 그 해답을
공개
했다. 키리초크 교수가 주목한 것은 바로 정자의 표면 막에 있는 ‘Hv1’이라는 분자였다. Hv1이란 분자가 수소이온을 밖으로 배출하는 구멍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연구팀은 Hv1의 문을 여는 열쇠가 외부 환경에 ... ...
“주어진 환경 고려해 우수한 학생 선발할 것”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논술의 영향력이 줄었다고는 할 수 없다. 논술의 기본 점수나 상세 평가 기준은
공개
하지 않고 있다. 올해 논술고사의 출제의도와 유형은 달라지는 점이 없다.지역균형선발전형에서 입학사정관제를 도입했지만, 실제 고등학교에서는 내신 1, 2, 3등이 지원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입학사정관제의 ... ...
Logging on to the Ivy League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인기를 봐도 알 수 있듯이 확실히 대중은 온라인 강의에 대한 욕구가 크다. 무엇보다
공개
강의가 가져온 가장 흥미로운 결과는 새로운 방식의 피드백을 받고 대중에 노출되는 교사들에게 미친 영향이다. “그동안 연구가 최고의 목적이었으나 이제는 더 나은 선생이 되기 위해 매우 노력하고 ... ...
두 소행성 충돌이 낳은 우주방랑자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NASA)이 두 소행성이 충돌해 생긴 것으로 추정되는 혜성 ‘P/2010 A2’의 사진을
공개
했다. 이 혜성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소속 링컨지구근접소행성연구팀(LINEAR)이 1월 6일 처음 발견했다.시속 17만km로 우주를 날아다니는 이 혜성은 태양에서 3억km, 지구에서 9000만km 떨어진 곳을 날고 있다. 1월 2 ... ...
학습과 놀이의 절묘한 만남 기능성 게임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대학생들에게 중학생용 게임 개발을 과제로 내줬다. 해마다 최우수 과제를 뽑아 웹에
공개
했는데, 그 결과물 중 하나가 2008년 우수작으로 뽑힌 슬링키볼(hagames.com/slinkyball.aspx). 물리학 공부용으로 개발된 이 게임은 교사나 학부모가 별도의 계정을 만들 수 있어 체험자의 학습 수준을 관리할 수 있다. ... ...
π-day 즐기기 2 원주율에서 나를 찾자!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나타낼 수 없는 무리수라는 사실이 1767년에 독일 수학자 람베르트에 의해 만천하에
공개
됐지. 그런데 나에 대한 사람들의 호기심은 계속되고 있어. 요즘도 슈퍼컴퓨터를 동원해 누가 더 많은 자리값을 알아 내는지 경쟁해. 그 기나긴 파이값 속에는 온갖 재미있는 수의 배열도 있어. 우리도 찾아 볼까 ... ...
내 몸 안에 수학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설명했다.수학동아 홈페이지(math.dongascience.com)에 마쿼트 박사의 황금비 얼굴 구조를
공개
했다. 실제 크기로 받아서 자신의 얼굴과 비교해 보자. 몸이 만드는 차이_작은 차이가 방귀 소리와 입김의 변화를 만든다.방귀와 휘파람은 닮았다한적한 도서관에서 갑자기 '뽀오옹'하는 소리가 울려 퍼진다. ... ...
국내 최초 달리는 로봇 휴보2 전격해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더 세련돼졌다. 휴보센터 연구팀은 지난 1월 12일 휴보2의 내부 부품을 과학동아에 최초로
공개
했다. 2004년 개발됐던 휴보1에서 얼마나 더 발전했는지, 또 발전한 비결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달리는 로봇 휴보2의 껍데기를 벗겨내고 눈부신 ‘속살’을 꼼꼼히 살펴봤다.비밀1 몸무게 ... ...
토종 '달 지도'가 나왔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세계 천문의 해와 달 착륙 40주년을 기념해 ‘대동여지도 월면지도 증보판’을
공개
했다.이번에 만든 달 지도는 한국조직위원회가 국내 아마추어천문가들에게 의뢰해 만든 정밀 달 사진지도로 달 표면의 크레이터와 산맥, 바다 등 80여 개의 지명과 달에 관한 설명이 포함돼 있다. 대표적인 달 지형 ... ...
심장박동 패턴 해석하려면 IT도 알아야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만들 수 있다. 디지털 광학영상기술로 나노 단위의 세포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연구도
공개
됐다. 이는 신약 개발 및 차세대 의료영상 시스템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청각장애우를 위한 ‘소리지각 뇌기능 분석’, 친환경 염료 산업을 위한 ‘천연염색 표준화 기술 연구’ 등이 발표됐다.엄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