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개요
요약
적요
개괄
귀결
추정
d라이브러리
"
결론
"(으)로 총 2,137건 검색되었습니다.
2030 암치료제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전이과정을 알아서 이를 막는다면 암발생이 개체의 죽음까지 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결론
적으로 2000년대초에는 암 발생 원인의 규명에 획기적인 진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원인적치료법이 선보일 것이며 특히 전이과정의 규명이 암치료 시기를 앞당길 것으로 생각된다. 면역요법과 ... ...
고도의 치료법을 터득한 침팬지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교수가 3개월 동안 탄자니아의 마하레 산 국립공원에서 침팬지 무리를 관찰하면서 얻은
결론
.코막힘 해소법을 시행하고 있는 침팬지는 탕가니이카 호수 삼림 지대에 서식하고 있는 수컷으로 덩치가 큰 집단의 리더임에 틀림없다.작년 8월부터 이 침팬지 무리에게는 감기가 대유행했다. 80마리 중 5 ... ...
흡연폐해 자손대대로 전해진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아버지의 흡연과 아이의 유전적 결함간에 상관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흡연 남성은 자신의 아이들 뿐아니라 손자 증손자에게도 해를 줄 수 있다. 지난 2월 ... 되려는 흡연 남성과 많은 환경의학자들에게 두려움과 호기심을 던져주고 있다. 확실한
결론
은 더 두고 봐야 내릴 수 있을 것 같다 ... ...
멸종 동물 몸무게 잘못 추정된 것 많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살아있는 유사한 동물과 비교해 추정치를 산출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 경우 잘못된
결론
에 이를 가능성이 높다. 따지고 보면 과거에 인드리코테리움의 무게를 지나치게 높게 예상한 것도 현대의 코뿔소를 모델로 삼았기 때문이다. 코뿔소는 자신의 체중을 지탱하는데 필요한 정도보다 휠씬 단단한 ... ...
바이오스피어Ⅱ 위기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도시가 시골을 돌보지 않으면 공생관계는 무너지고 자신도 병들 수 밖에 없다.
결론
적으로 말해서 생물권은 도시와 시골이 가지는 기능의 알맞은 안배로 그들의 공생관계가 유지됨으로써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다 ... ...
① 말은 동물의 소리와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지시'하거나 혹은 '이미지를 불러 일으키는' 작용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그러나 이렇게
결론
내리는 것은 약간 위험하다. 예를 들어 조건반사 실험으로 알려진 파블로프의 개의 경우, 벨소리가 고기의 이미지를 떠올려주는 것은 분명하지만 인간이 어떤 가구를 '의자'라고 부르는 것과 같은 ... ...
메소포타미아 농업 기원설에 반론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로이는 그 두 잔류물들이 두 종의 토란 뿌리 또는 알뿌리에서 떨어져 나온 것으로
결론
내렸다. 그는 또 연장표면에서 얻은 곡물알갱이와 속정이 인간이 재배하는 토란의 그것과는 유사하지만 야생토란의 그것과는 확실히 다르다는 사실도 알아냈다.이 사실로 미뤄 보아 솔로몬군도로 이주한 ... ...
독특한 삶 속에서도 빛나는 업적 남긴 20세기초 수학의 천재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편지를 몇 시간에 걸쳐 읽어 보고는 엉터리가 아니라 진짜 천재를 만나게 되었다는
결론
을 내리게 되었다. 하디는 나중에 수학적 재능의 지수를 매겨 본다면 같이 있던 그 친구는 30, 하디 자신은 25, 당대에 세계에서 제일 가는 수학자 힐베르트(D. Hilbert, 1862~1943)를 80을 주는 반면, 라마누잔은 10 ... ...
플루토늄 확보계획은 시대 착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플루토늄의 수급이 규형을 이루게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이 수치는 다분히
결론
에 따라 짜맞춘 숫자놀음이란 인상이 짙다.이 발표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첫째로 앞으로 플루토늄을 가장 많이 소비할 고속증식로의 실용화가 불투명하다는 점이다. 고속증식로의 원형로인 몬주(후쿠이현 소재 ... ...
국내배출 '천문학 박사 1호' 박홍서 천문대장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뭔가 우리도 당장 사회에 기여해야 하지 않을까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그래서 내린
결론
이 '과학문화적인 접근'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과학문화적인 접근'과학문화'란 표현에서 설명이 길어진다. 천문현상은 학문적 지식이 없는 사람도 관심이 많다. 밤하늘의 반짝이는 별은 천문학자들의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