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국"(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보] 안드레이의 환상적인 개미나라 FANTASY월드수학동아 l2015년 05호
- 바삐 기어가는 모습이 “궁금하면 한번 따라와 볼 테야?”라고 말을 건네는 것 같았어요. 결국 안드레이는 네 발로 개미를 따라갔답니다. 그리고 환상적인 개미나라를 발견했지요.그제야 그는 집 안 곳곳에 얼마나 많은 친구들이 살고 있었는지 깨닫게 되었어요. 게다가 사람처럼 쇼파에 뒹굴거나 ... ...
- [지식] 전기 신호로 심장을 다시 뛰게 하다!수학동아 l2015년 05호
- 보내도 신경에 문제가 생겨 잘 전달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제때 문제를 발견하지 못해 결국 환자를 잃게 된다는 이야기였다. 옆에서 조용히 그들의 이야기를 듣던 그레이트배치는 어딘가 모르게 익숙한 기분이 들었다. 늘 다루던 전기 신호 문제와 닮아 있었다. 전기 신호도 회로에 문제가 생기면 ... ...
- [생활] 겉은 바삭~ 속은 촉촉~ 크루아상이 맛있는 비결수학동아 l2015년 05호
- 된다. 이를 여러 번 되풀이하면 버터 입자들이 아주 멀어지면서 반죽에 골고루 섞인다. 결국 애써 마구잡이로 주무르지 않고 단순한 동작을 반복하는 것만으로도 버터는 반죽에 골고루 섞인다는 뜻이다.크루아상은 17세기 말, 헝가리에서 통통한 초승달 모양의 발효빵으로 탄생했다. 그 후 ... ...
- [참여] 서초 수학박물관 수학은 어디에서 최초로 탄생했을까?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살펴보며 무엇이 가장 오래된 것일지 추측하기 시작했다.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수학 유물결국 독자기자들은 딱 보기에도 수천 년쯤 지나 보이는 유물 하나를 손가락으로 가리켰다.“이건 3600년이 훨씬 넘은 파피루스 종이예요. ‘린드 수학 파피루스’라고 하는데, 기원전 1650년경 고대 이집트 ... ...
- [Knowledge] 3000t급 잠수함 장보고-III 산실, 육상통합시험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발전기와 모터는 사람 키의 2배가 넘는다.]은밀하게 축전지추진전동기를 돌리는 힘은 결국 전기에너지다. 잠수함을 100% ‘전기배’라고 부르는 이유다. 기존 선박들은 내부의 디젤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생산하지만 잠수함에선 한계가 있었다. 디젤발전기를 사용해 발전을 하려면 반드시 산소가 ... ...
- [Hot Issue] 올해 벚꽃, 제 날짜에 필까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들어, 기온이 올라가면 식물은 평소 개화유전자를 방해하는 FLM과 SVP 단백질의 양을 줄여 결국 꽃을 피운다. 이상고온이 계속되면 단백질이 더 빨리 줄어들면서 개화가 앞당겨진다. 따라서 이들 단백질의 양이 줄어드는 양상을 포착하면 개화 시기도 알 수 있다. 개화유전자도 마찬가지다. 안지훈 ... ...
- [Life & Tech] 오빠랑, 홍대, 떡볶이, 맛집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낭패를 본 경험이 몇 번 있거든요. 맛집 추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보기도 했지만, 결국 초록색 검색창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었습니다. 한국에서만큼은 맛집 정보가 블로그에 가장 많기 때문이죠. 그렇다고 광고를 걸러내는, 없던 능력이 갑자기 생길 리 없습니다. 그나마 알아낸 게 ‘오빠랑’을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지름신’ 부르는 뇌공학자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반복 학습하게 되면 ‘아, 이런 상황에서 이런 뇌파가 나오는구나’ 알 수 있겠죠. 결국엔 이런 새로운 소통채널을 통해 엄마가 자폐증을 가진 아이의 마음을 읽을 수 있게 될 것입니다.”김 교수는 ADHD 어린이의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뇌파 기반 기술도 연구하고 있다. ‘소소’라는 회사와 ADHD ... ...
- [지식] 수학으로 내다보는 황사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입자들은 날아오는 도중 떨어져 내리지만, 작은 입자들은 멀리까지 날아오기 때문이다. 결국 우리나라까지 오는 흙먼지는 주로 ‘미세먼지’다.미세먼지가 중국에서 온 흙먼지만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먼지 입자의 지름이 10μm 이하면 모두 미세먼지다. 엄밀히 말하면 미세먼지와 황사는 다르다. ... ...
- 컴컴한 눈 대신 마음으로 연구 시각장애 뛰어넘은 수학자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점이 서로 자리를 바꾸고 옆면을 이루고 있는 띠들이 비틀리면서 안팎 면을 뒤집으면 결국 구가 뒤집힌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런 과정 중에 뫼비우스의 띠처럼 구를 비틀면 시작과 끝의 위상이 같은 도형이 된다는 것도 알아냈다. 이 도형을 ‘모랑 서피스’라고 부른다.-시각장애인이었던 베르나르 ... ...
이전1671681691701711721731741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