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당신도 전설이 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대상이다. 한 가지 더 고려해야 할 것은 방망이를 갖다 대더라도 안타를 만들지 못하면
결국
은 무용지물이라는 사실이다. C씨는 이 두 가지를 고려해 인플레이된 타구 타율(BABIP)로 비더레 타자를 선택한다. BABIP은 타자가 친 공 중 안타로 연결되는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다. 지난해 인플레이 상황에서 ... ...
[생활] 겉은 바삭~ 속은 촉촉~ 크루아상이 맛있는 비결
수학동아
l
2015년 05호
된다. 이를 여러 번 되풀이하면 버터 입자들이 아주 멀어지면서 반죽에 골고루 섞인다.
결국
애써 마구잡이로 주무르지 않고 단순한 동작을 반복하는 것만으로도 버터는 반죽에 골고루 섞인다는 뜻이다.크루아상은 17세기 말, 헝가리에서 통통한 초승달 모양의 발효빵으로 탄생했다. 그 후 ... ...
[화보] 안드레이의 환상적인 개미나라 FANTASY월드
수학동아
l
2015년 05호
바삐 기어가는 모습이 “궁금하면 한번 따라와 볼 테야?”라고 말을 건네는 것 같았어요.
결국
안드레이는 네 발로 개미를 따라갔답니다. 그리고 환상적인 개미나라를 발견했지요.그제야 그는 집 안 곳곳에 얼마나 많은 친구들이 살고 있었는지 깨닫게 되었어요. 게다가 사람처럼 쇼파에 뒹굴거나 ... ...
[참여] 서초 수학박물관 수학은 어디에서 최초로 탄생했을까?
수학동아
l
2015년 05호
살펴보며 무엇이 가장 오래된 것일지 추측하기 시작했다.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수학 유물
결국
독자기자들은 딱 보기에도 수천 년쯤 지나 보이는 유물 하나를 손가락으로 가리켰다.“이건 3600년이 훨씬 넘은 파피루스 종이예요. ‘린드 수학 파피루스’라고 하는데, 기원전 1650년경 고대 이집트 ... ...
컴컴한 눈 대신 마음으로 연구 시각장애 뛰어넘은 수학자들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점이 서로 자리를 바꾸고 옆면을 이루고 있는 띠들이 비틀리면서 안팎 면을 뒤집으면
결국
구가 뒤집힌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런 과정 중에 뫼비우스의 띠처럼 구를 비틀면 시작과 끝의 위상이 같은 도형이 된다는 것도 알아냈다. 이 도형을 ‘모랑 서피스’라고 부른다.-시각장애인이었던 베르나르 ... ...
[Knowledge] 3000t급 잠수함 장보고-III 산실, 육상통합시험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발전기와 모터는 사람 키의 2배가 넘는다.]은밀하게 축전지추진전동기를 돌리는 힘은
결국
전기에너지다. 잠수함을 100% ‘전기배’라고 부르는 이유다. 기존 선박들은 내부의 디젤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생산하지만 잠수함에선 한계가 있었다. 디젤발전기를 사용해 발전을 하려면 반드시 산소가 ... ...
Part2. 거짓말 잘하는 사람이 살아남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쉽게 얻고 번식도 잘 하지만, 들통 날 경우 무리에서 쫓겨나거나 피해를 입을 수 있다.
결국
더 감쪽같이 속임수를 쓰는 쪽으로 진화하게 된다. 인류의 성공비결은 거짓말현생인류는 그 정점에 있다. 다른 영장류보다 월등히 속임수를 잘 쓴다. 사회학자 아르놀트 겔렌은 “다른 동물보다 힘이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지름신’ 부르는 뇌공학자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반복 학습하게 되면 ‘아, 이런 상황에서 이런 뇌파가 나오는구나’ 알 수 있겠죠.
결국
엔 이런 새로운 소통채널을 통해 엄마가 자폐증을 가진 아이의 마음을 읽을 수 있게 될 것입니다.”김 교수는 ADHD 어린이의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뇌파 기반 기술도 연구하고 있다. ‘소소’라는 회사와 ADHD ... ...
Part ➊ 건강한 경쟁이 건강한 숲을 만든다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또는 원뿔 모양이 좋다. 주변에 경쟁하는 나무가 많으면 잎이 달리는 위치가 점점 높아져
결국
은 가장 꼭대기에 잎이 가장 많이 달리는 아이스크림 콘 모양이 된다. 아이스크림 콘 모양인 나무일수록 키도 큰 편이다.나뭇가지 각도도 다 이유가 있다나무는 가느다란 나뭇가지로 잎의 무게를 견뎌야 ... ...
[지식] 곰팡이로부터 명약을 떠올리다!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장기 조직의 내부까지는 침투하지 못한다는 연구 결과도 실망스러웠다. 그래서 플레밍은
결국
페니실린 연구를 포기했다.그런데 이때 플레밍의 페니실린 논문을 읽고 흥미를 느껴 연구를 이어간 사람이 있었다. 호주의 병리학자 하워드월터 플로리다. 플로리는 1935년부터 영국 옥스퍼드대 병리학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