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스페셜
"
반응
"(으)로 총 2,182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재개그'를 향한 가식적 웃음도 재미를 느끼게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3
후 이를 참가자에게 들려줬다. 웃음은 무미건조한 느낌의 가식적인 웃음과 자연스러운
반응
으로 터져 나온 웃음 두 종류를 넣었다. 참가자들은 가식적인 웃음이 따라온 농담에는 평균 3.145점을, 자연스러운 웃음을 들은 후에는 3.353점을 줬다. 웃음이 따라오면 실제로 더 재미있게 느끼는 것이 확인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진정한 친구만이 함께 기뻐한다
2019.07.20
하도록 했다. 또 다른 조건에서는 반대로 '어 그래. 좋았겠네' 정도로 퉁명스럽게
반응
하도록 했다. 인터뷰가 끝나고 나서 다시 사람들에게 아까 고른 세 가지 사건들이 얼마나 당신을 행복하게 만들었냐고 물어보았다. 그 결과 자신과 함께 기뻐해준 인터뷰어와 얘기한 사람들은 그 사건들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맨발 예찬
2019.07.19
촉각 수용체 가운데 5~50Hz(헤르츠)의 압력에
반응
하는 마이스너소체와 100~300Hz의 압력에
반응
하는 파치니소체의 민감도를 측정했다. 이 범위의 압력은 걷거나 뛸 때, 특히 발이 땅에 닿는 순간 발생한다. 측정 결과 발바닥 굳은살 두께는 촉각 민감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반면 신말 밑창에 쓰이는 ... ...
[2019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D-3, 망해가던 부품회사에서 세계적 우주기업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19.07.15
정밀한 기술력만큼은 인정 받았기 때문에 가능했습니다. 물론 초반에는 업계의
반응
이 싸늘했습니다. 하지만 오쓰보 대표는 “니켈 합금을 미세하게 가공해야 하는 제트엔진 부품 ‘인코넬 메시’를 절단할 수 있을 정도의 기술력을 갖고 있어 곧 항공기 산업 관계자의 눈에 띄었고, 항공 산업에 ... ...
[표지로 읽는 과학]값싸고,국수처럼 쉽게 뽑는 인공근육 전성시대
동아사이언스
l
2019.07.14
덮어 씌우면 전기 자극에
반응
하는 인공근육이 된다. 김 교수는 “포도당에
반응
하는 하이드로겔을 개발해 포도당 농도에 따라 작동하는 인공근육도 개발했다”며 “몸 속 혈당 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약물을 방출하는 공급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사이언스는 폴리나 아니키바 미국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이타심의 탄생
2019.07.13
한다. 문제의 ‘진짜’ 원인을 해결해서 타인의 고통을 줄이려는 것은 다소 고차원적인
반응
이라는 것이다. 사람의 경우 만 세 살 정도가 되면 조금씩 이타심을 보이기 시작한다고 한다. 피츠버그대 심리학자 마가리타 스베트로바(Margarita Svetlova)는 다음과 같은 실험을 했다. 아이들에게 머리핀이나 ... ...
[이정아의 닥터스]수면 연구에 평생 바친 김린 교수가 말하는 건강한 잠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전달하는데, 이 시신경이 뇌로 들어가는 입구인 '시신경교차상핵'이다. 이 시계는 빛에
반응
한다. 해가 뜨면 일어나고 해가 지면 잠에 든다. 학계에서는 여러 연구를 통해 인간의 생체리듬 주기가 평균 24.1~24.2시간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내 생체리듬 주기가 24.2시간이라면 기상시간이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잉크 안 쓰는 컬러프린터를 만들다
2019.07.02
위에서부터 폴리카보네이트, PMMA, 폴리술포넨이다. 네이처 제공 플라스틱에 교차
반응
이 번갈아 일어나게 하는 정상파 광학 기술은 최소 1.8㎛(마이크로미터. 1㎛는 100만분의 1m) 크기로도 가능해 1만4000dpi(인치 당 화소수)의 해상도가 구현할 수 있다. 반면 일반 잉크젯 프린팅의 해상도는 아무리 ... ...
사람 닮은 로봇을 보면 공포심 생기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밀크쉐이크를 먹을 때처럼 감각적인 자극을 느낄 때 등 여러 자극에 대해 이 부분이
반응
한다. 하나는 사람의 얼굴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영역이다. 이 영역은 실험 참가자가 바라본 사물이 사람과 닮을수록 활성화 정도가 강했다. 다른 하나는 뇌가 호감도를 느끼는 영역이다. 산업용 기계로봇과 ... ...
[프리미엄 리포트] 軍은 왜 사흘간 수백명의 과학자들을 불러모았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6.29
수입에 무게를 둔 해외 군수회사들이 이런 새로운 노력에 대해 어떻게
반응
할지 주목되는 이유기도 하다. 콘퍼런스는 1년에 두 번 개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후로는 한 주제에 집중하는 미국의 매드 사이언티스트 콘퍼런스처럼처럼 특정 분야에 집중해 ‘미친’ 발상을 찾겠다는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