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다
대양
대해
해운
해사
해
뉴스
"
해양
"(으)로 총 2,171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형 심해로봇, 해저 4700m 바닷속 걸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28
관련된 기술을 민간에 이전해 상용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28일 11시
해양
수산부와 선박
해양
플랜트연구소, 경인테크 등 3개 기관과 업무협약식을 진행한다. ... ...
태양 기후 결정하는 ‘태양 행성파’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7.03.28
과정에서 대기와
해양
의 열 차이로 인해 발생한다. 과학자들은 태양의 플라즈마 입자가
해양
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지구처럼 행성파가 존재할 것이라고 추정해왔다. 하지만 지구에서 관측 가능한 방면의 태양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탓에 이제껏 이를 실제로 입증한 적은 없었다. 연구진은 태양 ... ...
[단독] 1년전 사망한 세월호 조타수가 밝힌 '급침몰 원인'…C데크 천막
포커스뉴스
l
2017.03.27
악화돼 침몰했다고 결론 지었다. 특조위에서 침몰 시뮬레이션 연구를 맡은 이상갑 한국
해양
대 교수도 지난해 9월 특조위 3차 공개청문회에서 "화물창 선미 전체에 걸친 초등학생 신장 정도의 큰 개구부를 통해 엄청난 해수가 침수돼 급격히 전복됐다"고 밝혔다. 검찰 수사와 특조위 조사에서 ... ...
세월호 끌어올린 ‘잭킹 바지선’은 어떤 장비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3.25
때 크레인 방식으로는 성공하기 어렵다고 판단해 잭킹 바지선을 동원한 것이다. 한
해양
기술전문가는 “단순히 세월호의 크기나 무게가 문제였다면 크레인 여러 대를 이용해 동시에 들어올리는 방법도 있다”며 “조류 등 여러 조건이 크레인을 쓰기엔 여의치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 ...
“과학기술에 시민이 참여하는 새 거버넌스가 필요하다”
2017.03.24
과학기술에 대해서 새로운 접근을 요구하고 있다. ※필자 소개 송위진 박사 / 서울대
해양
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행정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의 선임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 ...
세월호를 인양한 기술, 그것이 알고싶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24
월 25일이니 빔 설치가 완료된 후 3개월 사이에 최종 작업을 시작한 셈이다. 한순흥 KAIST
해양
시스템공학전공 교수는 “인양이 순조롭게 진행됐다면 2개월 정도는 일정을 단축할 수도 있었을 걸로 보인다”면서 “해저 인양 작업에 변수가 큰 점도 감안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2만t 초대형 ... ...
죽음의 바다가 된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
동아사이언스
l
2017.03.19
“아직 표백 현상에 안전한 지역은 수온이 상대적으로 낮은 남쪽 부분”이라며 “
해양
생태계의 상징인 산호초를 지구온난화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세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지난 해 2월 26일(왼쪽)과 4월 19일(오른쪽)에 찍힌 그레이트배리어리프 산호초의 모습. 불과 몇 주 만에 ... ...
[이현경 기자의 온도차 ⑧] 트럼프의 칼바람 못 피한 美 과학계
동아사이언스
l
2017.03.18
NOAA)의 경우는 EPA에 비해 사정이 좀 나은 편입니다. 그간 미국 내 33개 대학에
해양
관련 연구비로 지원되던 7300만 달러(약 826억 원) 규모의 프로그램이 없어진 정도입니다. 백악관은 구체적인 예산 규모는 밝히지 않았지만 현재 진행되는 기상위성 프로그램은 계속 지원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습니다. ... ...
지중해에서도 젠트리피케이션 시작!
과학동아
l
2017.03.16
2015년에 확장되면서 외래종의 침투가 더 빨라지고 있다”며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해양
세계의 외래종 침투를 최소화하는 길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 ...
상어 공격을 받은 돌고래 ‘포착’
팝뉴스
l
2017.03.15
팝뉴스 제공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빅토리아에서 발행되는
해양
과학잡지 하카이매거진이 3월 8일자 기사에서 소개한 사진이다. 상어의 공격을 받고 용케 달아나 생명을 구한 돌고래의 모습이다. 사진은 미국 시카고 동물학회의 새러소타 돌고래 연구 프로그램의 연구원들이 촬영한 것이다.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