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길
길거리
가로
통로
통행로
거리
경로
뉴스
"
도로
"(으)로 총 1,925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자섬유, 세탁기 넣고 돌려도 OK
2014.09.05
부서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이 센서를 운전자의 이마와 팔 등에 부착한 뒤 고속
도로
를 주행하게 했더니 운전자의 심장박동, 눈의 움직임, 팔의 근육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장 연구원은 “이 전자섬유를 이용하면 군복이나 환자복에 적용해 특정 상태를 바로 파악할 수 있고, ... ...
서울 싱크홀 年 680건… 지하철 인근 지하수 수위 170cm 뚝
동아일보
l
2014.08.29
장비를 도입한다.
도로
함몰 이력정보, 지역별 위험도 등급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는 ‘
도로
함몰 관리지도’도 구축한다. ○ 지하철 인근도 우려 하수관로만 싱크홀을 생기게 하는 게 아니다. 서울시가 4월 공개한 ‘2013년 지하수 보조관측망 지하수 수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서울시내 지하철 인근 ... ...
[채널A] 타이어 3분의 2 잠기면 급류에 휩쓸린다
채널A
l
2014.08.27
실험에서 재현했던 것보다 더 빠르기 때문에 수심이 무릎 높이 이상인 급류가 흐르는
도로
는 절대로 지나가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차에 탄 채로 급류에 휩쓸렸을 경우 물이 흘러오는 방향으로는 문을 열 수 없기 때문에 반대편 문을 열고 고정된 지형물에 의지해 탈출해야 한다고 ... ...
100원 크기 칩으로 10중 추돌 막는다
2014.08.26
100원 짜리 동전보다 작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하루가 멀다 하고 발생하는 고속
도로
다중추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반도차설계업체 ‘라닉스’와 공동으로 앞 차량이 급브레이크를 밟으면 뒤 차량에 경고 메시지를 ... ...
보습력 높고 잘 뭉치는 ‘명품’ 흙으로 산사태 복원
2014.08.25
이용한 혼합재료를 이용했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된 기술을 충북 인포-보은 구간
도로
공사 현장에 적용해 실험한 결과 공사 현장의 토사 구간에서는 식물피복률 90%이상, 암반 구간에서는 식물피복률 40% 이상의 높은 결과를 얻었다. 기존 공법의 문제점인 토양 갈라짐 현상 역시 발생하지 ... ...
석촌 싱크홀, 지하철 9호선 공사 탓?
2014.08.14
지지력을 측정하는 장비(FWD)도 유용하다. 서울시는 지난해 GPR 장비와 FWD 등을 도입해
도로
의 균열과 평탄성 등을 관리하는 시스템(PMS)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은 지표 가까운 곳의 상태만 관측할 수 있고 이미 들어선 건물 지하의 상태는 확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도심의 ... ...
사카린은 설탕을 대신할 수 있을까
2014.08.11
억세다(이 분이 부산 사람이다). 서울에 생선 납품하러 왔다가 무슨 문제가 생겨
도로
갖고 내려가다가 고향 사람(물론 초면이다)을 만난 김에 이것도 인연이라 싼 값에 주기로 했단다. 청년들이 옆에 세워둔 냉장트럭에서 스티로폼 박스를 하나 꺼내 열어 보여주는데 도미가 꽉 찼다. 이걸 3만 원에 ... ...
“태블릿PC에서 내 뇌가 보여요”
2014.08.08
넘어오면 센서가 카메라에 잡힌 모습을 인식해 자동으로 경찰서에 신고 전화를 걸거나
도로
에서 교통사고가 발생했을 때 사건 처리 팀에 자동으로 전화가 가게 만드는 식이다. 연구단의 최상길 연구교수는 “카메라 화상 분석에 고성능 컴퓨터 대신 전용 스마트 센서가 달린 전자칩을 이용하면 ... ...
헉! 종이 로봇의 트랜스포머 3단 변신
2014.08.08
타이어 로봇의 지름은 5.5cm이며 초속 30cm로 달릴 수 있다. 특히 타이어 로봇은
도로
를 달리다가 계단을 만나면 바퀴를 부풀려 계단도 척척 통과한다. 조 교수는 바퀴 사이사이에 접어 뒀던 소재를 다시 펴지게 해 바퀴가 부풀도록 했다. 조 교수는 “그동안 취미나 예술 활동으로 여겨지던 ... ...
휙휙 달리고, 끼이익 서고 무인자동차 나가신다
과학동아
l
2014.07.17
동안은 ‘스쿨존’으로 시속 1km 이하로 서행해야만 통과할 수 있다. 또 코스 마지막에는
도로
와 똑같은 색상의 장애물이 추가됐다. 모형자동차가 장애물을 인식하고 제동해 충돌하지 않아야 최종 성공이었다. 결승에 참가한 총 20팀 중 2팀이 모든 과제를 수행하고 완주에 성공했다. 서울과기대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