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가
참여
간섭
참견
가입
관계
개입
뉴스
"
관여
"(으)로 총 1,740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려大 미래과학 콘서트]세포 사멸 연구분야 세계적 권위자
동아일보
l
2013.10.21
등의 발병기전을 조절할 수 있는 인자로 알려졌다. 최 교수는 최근 루게릭병 발병에
관여
하는 새로운 조절인자 단백질 ‘MST1’의 기능을 규명하기도 했다. 루게릭병은 대부분이 산발적 요인에 의해서 발병되지만 대표적인 루게릭병 유발 유전자인 ‘SOD1’의 변이가 어떻게 운동성 신경세포를 ... ...
[고려大 미래과학 콘서트]주요 참석 연사 6人
동아일보
l
2013.10.21
그는 ‘논코딩(non-coding) RNA’ 연구 업적으로도 유명하다. 논코딩 RNA는 단백질 번역에
관여
하지 않는 RNA를 말한다. 유전자와 단백질의 기능을 조절하는 microRNA,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siRNA 등이다. 코드 박사는 최근 논코딩 RNA 연구를 통해 유전병 관련 비밀을 풀어내는 것에 관심을 갖고 관련 ... ...
고통과 가려움은 한 끗 차이?
동아사이언스
l
2013.10.16
전달하는 뉴런이 모두
관여
한다”고 밝혔다. BRAF가 고통에 대한 반응을 넘어 가려움에도
관여
하는 것을 밝혀낸 것은 이번 연구가 처음이다. 첸 박사는 “BRAF로 시작된 신경전달경로를 연구하면 만성가려움증을 치료할 수 있다”며 “고통을 줄이는 약을 처방하면 만성가려움증을 치료할 수도 ... ...
폭식증 일으키는 신경회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11
중 1명이 폭식증에 시달린다는 통계도 있다. 폭식증은 호르몬 과분비나 섭식행동에
관여
하는 뇌 부위 이상으로 발생하기도 하는데 특정 뇌 부위에 자극을 주는 것으로 폭식을 유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돼 화제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정신과학과 개릿 스터버 교수팀은 ... ...
머신 1대가 車공장 1개
동아일보
l
2013.10.10
기술을 F1 경주차에 활용한다. F1 선발 레이서는 팀당 2명이지만 머신의 개발 단계에
관여
하는 모든 스태프를 포함하면 약 6000명이 한 팀이다. ‘세계에서 가장 운전을 잘하는 사나이’ 페텔은 인피니티의 동력 성능 담당자로서 ‘FX’ ‘Q50’ 등 신차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인피니티는 F1 머신에 ... ...
치매, 계란 속 콜린&레시틴으로 예방
동아닷컴
l
2013.10.04
뇌의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구성성분으로, 신경세포 발달과 지적능력 개선에
관여
해 알츠하이머병의 치료나 증상개선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계란 속 레시틴은 두뇌활동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계란을 꾸준히 섭취하면 기억력, 집중력을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 ...
폐경기 여성, 이제 치매 걱정 끝!
동아사이언스
l
2013.09.24
않아 생쥐의 기억력 향상에도 큰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 프릭 교수는 “기억력에
관여
하는 에스트로겐의 능력을 조절하는 수용체의 역할이 아직까지는 알려져 있지 않았다”며 “mGluR1 유전자와 수용체의 결합이 원활한 신호 전달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정임을 알게 된 만큼 앞으로 이를 ... ...
'뚝딱뚝딱' 손상된 DNA 치료방법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16
밝혀졌다. 중앙대 김근필 교수팀은 생식세포의 유전자재조합 과정에 ’Dmc1' 단백질이
관여
한다는 것을 규명해 생명과학분야 학술지 '몰레큘라 셀' 8월 22일자에 소개했다. 손상된 DNA를 복구하기 위해선 절단부위에 알맞은 주형가닥을 선택해 다시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물질이 필요하다. ... ...
유방암만 잡는 줄 알았더니 당뇨까지 치료한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09.03
박사, 박승범 서울대 화학부 교수 공동연구팀은 'GSK5182'라는 물질이 포도당 생성에
관여
하는 단백질인 '이알알감마'(ERRγ)의 활성을 억제해 당뇨병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란 연구결과를 3일 발표했다. GSK5182는 유방암을 억제한다고 알려진 '4-OHT'의 구조를 변형시킨 물질이다. 연구팀은 ... ...
“삽질공화국이라고요? 건설은 미래행복기술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8.29
지원받아 시작하려고 합니다. 뿐만 아니라 최근 대두되고 있는 녹조 문제도 건설이
관여
해야 합니다. 녹조의 원인은 생물학적이겠지만 제거 기술은 건설의 분야입니다. 녹조가 생긴 하천에 녹조를 줄이기 위해 뿌리는 미세 분말 재료를 연구하고 있고요. 이런 것들이 다 건설기술인들이 챙겨야 하는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