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d라이브러리
"
확인
"(으)로 총 8,489건 검색되었습니다.
AI가 선택한 칼군무 아이돌 1위는?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도움이 됐나요?물론입니다! 제가 추는 춤이 실제 아이돌의 안무와 얼마나 비슷한지
확인
해보니 어떤 부분이 부족한지 정확하게 알겠더라고요. 이후에도 저는 춤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Q 추가로 계획 중인 영상이 있나요?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기 위한 아이디어는 ... ...
털, 털, 털 고민상담소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머리나 피부에 있는 털의 일부가 회색으로 변할 수도 있다는 것을
확인
한 겁니다. 연구팀은 털의 색깔 변화가 감염병에 걸린 횟수나 병을 앓은 강도 등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 추가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 ...
꽃가루를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2015년부터 ‘꽃가루 예보’를 제공하고 있답니다. 웹사이트 ‘www.pollen.or.kr’에 접속하면
확인
할 수 있어요. Q 최근까지도 연구하고 계신가요?네. 최근엔 세계 17개국 과학자 및 의사들과 협업해 꽃가루로 본 기후변화에 대한 논문을 냈어요. 여러 나라 과학자들이 지난 26년 동안 모은 방대한 자료를 ... ...
[꽃가루의 변신 3] 종이가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물컹해진 꽃가루의 구조부터
확인
해 봤어요. 그 결과, 꽃가루의 발아구가 열려 있는 걸
확인
했죠. Q 발아구가 열려 있다는 게 어떤 의미인가요? 암술머리에 붙기 전, 꽃가루는 발아구를 닫은 딱딱한 상태예요. 그러다 암술머리에 붙으면 발아구를 열고 수분을 공급받죠. 연구실에서는 ...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내 생일에 허블 우주망원경은 어떤 사진을 찍었을까?4월 24일은 허블 우주망원경의 서른 번째 생일이에요. 1990년 4월 24일 발사된 허블 우주망원경은 지구 저궤도를 돌면서 하루 ... 이 성운에 대한 설명이 나와요. 여러분의 생일엔 어떤 천체가 찍혔을까요? QR 코드를 찍고
확인
해 보세요 ... ...
[통합과학 교과서] 체스판이 어긋난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샌프란시스코도 매년 6mm씩 가까워지고 있답니다.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통합과학 넓히기 남극이 숲으로 덮여 있었다고? 우리가 사는 대륙은 미세하지만 조금씩 움직이고 있어요. 맨틀에 떠 있는 판들이 꾸준히 움직이기 때문이지요. 오랜 시간이 지나면 대륙은 기후가 ... ...
[3회] 고수의 데이터 요리쇼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못하는 사용자는 게임에 흥미를 잃고 그만둘 가능성이 크다고 추정했습니다.이를
확인
하기 위해 연구팀은 사용자들의 ‘파티 활동’ 데이터를 분석했습니다. 파티란 여러 사용자가 공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게임 속에서 구성한 소그룹입니다. 혼자 상대하기 어려운 적을 여럿이 힘을 합쳐 ... ...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사랑한 캐릭터는?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저, 우현 탐정이 지인을 통해 보고서를 하나 입수했습니다. 슬쩍 봤더니 캐릭터의 인기 순위가 들어있지 뭐예요. 혹시 이 길고 긴 보고서에 인기 캐릭터의 비결이 숨어있지 않을까 ... 56.7%나 될 정도로 캐릭터의 영향력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
[에디터노트] 9월의 북극과 남극을 보라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가 고장 날 수도 있다. 사실 인류가 북극과 남극에서 일어나는 이런 변화를 시시콜콜히
확인
하고 지구온난화에 대비할 수 있는 이유는 365일 24시간 잠들지 않고 우주에서 극지를 내려다보는 인공위성 덕분이다. 한국에서는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2호, 3호, 3A호, 5호 등 4기가 연구자들을 대신해 ... ...
우주에서 펭귄 서식지를 추적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배설물을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펭귄의 배설물을 찾고 서식지를
확인
하는 궁극적인 이유는 서식지의 변화를 추적하기 위해서다.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는 펭귄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황제펭귄과 같이 해빙에서 번식하는 종은 기후변화로 해빙이 줄면서 서식지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