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결방법"(으)로 총 4,0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과 프로그램을 통역한다?!수학동아 l2011년 08호
- 홍수 같은 자연재해를 막는 데 수학연구가 한몫을 한다. 하지만‘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다’라는 말처럼 아무리 좋은 수학연구가 있어도 몰라서 쓰지 못하면 무용지물이나 다름없다. 이런 이유로 응용과학과 관련된 보배 같은 수학연구를 누구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려 ... ...
- 플래시메모리, 아름답고 완벽하게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연구실의 목표는 아름다움과 완결성입니다.”플래시메모리를 연구하는 민상렬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의 말이다. 예술가도 아닌 공학자의 말치곤 의외다. 민 교수는 아름다움과 완결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좋은 연구는 연구자가 10년간 연구한 결과를 다른 사람이 10분 만에 이해할 ... ...
- 구술면접, 개념 정립부터 시작하라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수학·과학 과목에 뛰어난 소질이 있거나, 올림피아드 같은 경시대회 수상경력이 있는 학생이라면 각 대학의 심층 구술면접에 지원하는 것이 유리하다. 심층 구술면접을 실시하는 전형에서는 다양한 관점에서 학생의 잠재력을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심층 구술면접을 통해 학생의 실력을 평가한다. ... ...
- 기술혁신으로 녹색 성장을 이뤄내자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주제 : 인류를 편리하게 해주면서도 지구환경을 해치지 않는 녹색 과학기술로 녹색 성장을 이뤄내야 한다. 인류의 삶을 편리하게 해준 화학은 이제 녹색 성장에 이바지해야 한다. 화학자, 산업체, 정부가 그린 파트너십을 갖고 협력해 나간다면 녹색 성장의 꿈도 실현 가능하다. ※ 지면에 실린 글은 ... ...
- Part 2. 미세조류, CO2 먹고 바이오디젤 내놓는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미국 하와이에 있는 시아노텍의 미세조류 농장 전경. 연료용이 아니라 건강식품용으로 남조류인 스피룰리나를 키우고 있다.]“예전에는 호수에 생긴 녹조(미세조류 덩어리)를 어떻게 없애는가 하는 연구를 했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어떻게 하면 녹조가 생길 정도로 미세조류를 잘 자라게 할 수 있 ... ...
- PART 1 무한의 개척자, 칸토어수학동아 l2011년 08호
- 저희들이 준비한 첫 번째 이야기는 수학자 칸토어에 대한 이야기예요.‘무한’을 말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수학자죠. 칸토어가 주장한 무한 이론에는 어떤 것이 있었을까요? 인피니트의 성규, 성종, 동우가 준비했어요.자연수와 짝수의 개수가 같다?!수학동아 독자 여러분~! 반가워요. 인피니트의 성 ... ...
- 교과서 100% 활용한 논술 대비과학동아 l2011년 08호
- ‘교과서’는 과학 개념 학습 교재로서 다양한 지식의 창고이자 좋은 과학 글쓰기의 표본이다. 교과서는 내신 대비, 수능 대비 뿐 아니라 논술 대비에도 좋은 교재가 될 수 있다. 교과서를 활용해 평소 논술 고사를 대비하는 방법을 살펴본다.대학 합격자 발표가 끝나고 우수 학생들의 합격 수기를 ... ...
- 에너지 전쟁 손자병법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주제 : 에너지 위기에 대처하는 단·중기적 해결방안으로써 원자력 발전이 왜 불가피한지 알아보고, 원전 추가 건설의 필요성을 설명한다. 또 핵 에너지의 현명한 발전과 기존 화석 연료의 지혜로운 사용, 재생 에너지의 적극적 개발로 장기적인 해결을 꾀한다.※ 지면에 실린 글은 편집본임을 밝힙 ... ...
- 죽은 세포 되살리는 기적의 주사?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지난 달 국내에서 세계 첫 줄기세포치료제가 탄생했다.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청(이하 식약청)은 바이오기업 ‘에프씨비파미셀(FCB파미셀)’이 개발한 ‘하티셀그램-AMI(이하 하티셀그램)’을 허가했다. 이 약은 죽은 심장세포를 재생시키는 방식으로 심장질환을 치료한다. 하티셀그램은 차세대 심근 ... ...
- 제10회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동아사이언스가 주최한 ‘제 10회 전국학생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가 열렸다. 올해는 ‘세계 화학의 해’, ‘원자력 발전에 대한 찬반론’, ‘기술혁신’ 등을 주제로 참가자들의 과학적 사고력과 창의력, 논리력, 글쓰기 실력을 평가했다. 많은 학생들이 응모해 중등부가 4454편, 고등부가 5587 ... ...
이전1661671681691701711721731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