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변"(으)로 총 6,58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지구를 아슬아슬하게 스쳐가는 소행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존재해요. 그런데 가끔 목성의 강한 중력이나 태양열, 빠른 자전에 의한 쪼개짐, 주변 소행성과의 충돌 등으로 궤도가 틀어지기도 한답니다. 그러면 소행성대 밖으로 빠져나와 지구 가까이로 날아오기도 하지요. 다행히 2012 TC4가 지구에 피해를 줄 가능성은 매우 낮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인류와 함께 4000년! 쇠, 철, 강-철의 문화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역사를 뒤바꾼 ‘철’‘철’로 만든 것은 얼마나 많을까요? 주변을 한 번 둘러보세요. 자동차와 비행기 같은 큰 수송수단부터, 우산이나 핀과 같이 작은 물건까지 철이 안 쓰인 곳이 없어요. 이제는 더 이상 철 없이는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랍니다. 그럼 철은 어떤 역사를 거쳐서 지금처럼 소중한 ... ...
- Part 2. 핵실험 얼마나 세길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전쟁에 투입하기에 앞서 그 위력을 시험해 본 거예요. 미국 뉴멕시코주 앨라모고도 주변에서 트리니티를 폭발시킨 결과, 폭발 위력은 TNT 20kt이었어요. 이 실험을 지켜본 과학자들이 “1000개의 태양이 폭발하는 듯하다”고 표현할 정도로 강력했죠. 이후로도 과학자들은 계속해서 더욱 강력한 ... ...
- Part 5. 개기일식을 만들어라! 인공 개기일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적당히 떨어진 위치를 유지해요. 한 대가 태양빛을 가리면, 다른 한 대가 그 뒤에서 태양 주변의 코로나를 관측하지요. ESA는 이를 통해 약 6시간 동안 인공 개기일식을 관측할 수 있다고 밝혔어요. 지구에서보다 개기일식을 관측하는 시간이 훨씬 길 뿐만 아니라, 우주에서는 대기의 산란이 일어나지 ... ...
- Part 2. 코로나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일반상대성이론에 의하면 무거운 질량을 가진 물체는 강한 중력으로 인해 주변 시공간을 구부러뜨려요. 이때 그 주위를 이동하던 빛은 직진하려고 해도 구부러진 시공간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휘어지게 되지요. 1919년 개기일식은 20세기 들어 가장 긴 일식 중 하나였어요. 약 7분 간 달이 태양을 ... ...
- Part 1. 기구 타고 날씨와 우주를 관측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건 ‘열기구’예요. 열기구 속 공기를 데우면 부피가 커지면서 주변 공기보다 가벼워져요. 그래서 하늘로 떠오르게 된답니다. 아름다운 색깔의 열기구 덕분에 스포츠나 레저용으로 많이 알려졌지만, 사실 기구는 오래 전부터 과학 연구에도 유용하게 쓰여왔어요. 기구를 가장 ... ...
- [현장취재①] 해양 생물의 가장 위험한 먹이, 플라스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모형에 넣었어요. 시작 10분도 안돼서 쓰레기가 바다거북 두 마리를 가득 채우다 못해, 주변까지 가득 쌓였답니다. 이어서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김태원 교수님의 ‘플라스틱 쓰레기로 고통받는 해양 생물 이야기’가 이어졌어요. 예를 들어 바다새 ‘알바트로스’는 새끼에게 줄 먹이를 사냥하기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몸은 주변 환경이 바뀌면 그에 알맞게 변해요. 해외로 나가서 시차가 바뀌면 잠드는 시간을 바꾸는 것처럼 말이죠. 이를 ‘적응’이라고 한답니다. ‘적응(適應)’은 ‘맞을 적(適)’과 ‘응할 응(應)’이 합쳐진 한자예요. 이 중 ‘맞을 적’은 의미 요소인 ‘갈 착(辶)’과 발음 요소인 ‘밑동 적(啇 ... ...
- Part 1. 축제 같았던 2017 개기일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너무 신기해서 보고도 믿기지 않았다”고 말했어요. 이어 “서늘한 공기와 주변 사람들의 환호성, 새들마저 허둥대는 듯 나무로 서둘러 들어가는 모습 등이 기억에 남는다”고 했지요. 이번 개기일식은 과학자뿐만 아니라 시민들도 함께 즐긴 축제였어요. 축제를 이끈 일등공신은 ... ...
- Part 3. 스마트폰만 있으면 나도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알아보기로 했어요. 방법은 개기일식이 일어나기 전후 30분과 개기일식이 일어나는 동안, 주변 동식물의 모습을 잘 관찰해 ‘아이 내츄럴리스트(iNaturalist)’ 앱에 사진과 그 기록을 올리는 거예요. 630명이 넘는 사람들이 개기일식이 일어나는 동안 ‘생명 반응’을 올려 줬어요. 424종의 동물, 곤충, ... ...
이전1661671681691701711721731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