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분야
테두리
한계
범주
영토
지역
d라이브러리
"
영역
"(으)로 총 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저항 비켜! 초전도가 뜬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박막을 무선통신용으로 활용할 계획”이라며 “일반 전화보다 100배 높은 주파수
영역
에서 무선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입자수를 100배 늘릴 수 있고 직진성이 좋아 신호처리 속도가 100배 이상 빨라질 것”이라고 말했다.이 교수는 인체의 미세한 자기장을 측정해 심장마비 여부를 즉시 알아낼 수 ... ...
자연에 숨어있는 수학의 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비대칭성도 함께 발전시켜 왔다. 자연의 대칭성은 아직 더 밝혀나가야 할 신비스러운
영역
중 하나다.자연의 수수꼐끼 넷줄무늬와 점무늬 옷을 입은 자연얼룩말은 검은색 줄무늬 옷을 입고 초원을 누빈다. 사자는 메마른 땅처럼 누런색의 옷을, 표범은 경쾌한 검은 점이 잔뜩 찍혀 있는 옷을 입고 ... ...
목숨 살리는 '생명 빨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파로 구성해 이를 구성하는 방법 이에 따르면 뇌파는 1Hz에서 50Hz 이상의 넓은 주파수
영역
을 가지고 있으며 그 분포는 뇌의 상태가 달라질 때마다 변한다고 알려져 있다비선형 항이란 y=ax와는 달리 x², x³ 혹은 1/x 등이 포함되어 있는 항을 말한다 이 경우 y값은 x값의 변화에 비례해서 변하지 않고, ... ...
해저 2만리 과학 3만리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수 없는 일이다. 바다 깊이는 소리로 잰다대양의 심해는 우리에게 전혀 알려지지 않은
영역
이다. 측심연은 아직까지 심해의 밑바닥에 닿지 못했다. 그 깊은 바다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측심연(測深鉛)은 밧줄에 매달아 배에서 내려 수심을 재는 무거운 납추다. 하지만 측심연을 사용하면 ... ...
미래형 '헬리플레인' 영국 판보로 에어쇼에 오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기술에 비해 뛰어나다디지털 방식 녹음으로 고음질 서라운드 음향을 실현했다 낮은
영역
의 효과음을 포함하는 51채널의 음성을 채널별로 따로 기록할 수 있는 방식이다 보조 음향인 서라운드 채널도 스테레오며,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청주파수 범위인 20-2만Hz의 사운드를 폭넓게 들을 수 있다가장 ... ...
우리가 몰랐던 나무의 모든것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때가 되면 바닷물로 떨어져 바다 밑의 땅에 뿌리를 내리게 되지요. 그러면서 점점
영역
을 늘려 가는데 저희 때문에 열대 지방의 해안선이 매년 바뀔 정도라니까요. 사실 새끼를 낳는 게 아니라 번식의 한 방법인데 사람들 눈에는 마치 새끼를 낳는것처럼 보이나 보죠? 호호.나무 자신을 보호하려는 ... ...
세계의 멸종 위기 고래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고려하여 그 특성을 살리고 그에 맞는 기계를 설계하는 것이 인간공학의 주요한
영역
이다 가령 운전자의 행동과 운동특성을 면밀히 분석하여 그가 아주 용이하고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차의 내부설계를 한다든가, 사람이 누웠을 때 각 신체부위에 가해지는 압력 정도를 조사하여 최대한 안락한 ... ...
하늘 그린 지도, 우주 담은 시계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1 대응을 이룬다고 여긴 고대인의 사고방식이다. 땅 위의 어떤 나라에 대응하는 하늘의
영역
이 있어서 하늘에 어떤 조짐이 나타나면 대응된 그 나라에 무슨 일이 생긴다는 생각이다.천상열차분야지도에는 천문도를 비롯한 몇 가지 정보가 들어있다. 가운데 커다란 동그라미 안에는 1467개의 별과 28 ... ...
목소리의 기술 살리고~살리고~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소리를 낸다고 하자. 우선 뇌에서 언어 기능을 관장하는 ‘브로카
영역
’과 ‘베르니케
영역
’에서 ‘아’ 소리를 내라고 명령을 내린다. 뇌의 명령을 받은 폐는 폐 안의 공기를 기도로 올려 보낸다. 이때 성대에 있는 30여개의 근육은 강도를 조절해 성대를 알맞게 닫는다. 이 압력으로 성대가 ... ...
건축과 생명체가 만날 때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살아있는 세포를 관찰할 수 있게 되면서 예전에는 생명 현상이라고 생각하지 못했던
영역
이 생물학에 포함됐다. 이로써 건축가들이 적용할 수 있는 생명체 모델이 늘어났다.바이오모픽 건축의 문을 연 인물은 오스트리아 출신인 프레데릭 키슬러(Frederik Kiesler)였다. 그는 1950년 ‘엔드리스 하우스’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