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미
다소
느낌
부분
일부
소수
근소
d라이브러리
"
약간
"(으)로 총 2,522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나로' 본격 가동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방사선에 노출될 위험을 차단했다. 원자로 건물 자체도 내부압력이 외부압력보다
약간
낮도록 설계해 만일의 사태 때 방사성 물질이 외부로 확산되지 않도록 했다.한편 하나로의 완공으로 20-30년 동안 연구용원자로의 역할을 떠맡아온 트리가마크2 와 3은 현역에서 은퇴한다. 우리나라 최초 원자로인 ... ...
인간진화, 성공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단지 손가락의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다른 손가락에 비해 가동성의 범위가
약간
넓다(이것은 새끼손가락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영장류의 경우는 어느 정도 엄지손가락의 기능적 독립성을 보여준다. 인간은 그것의 정점에 있다.특히 인간의 엄지손가락의 중수골(metacarpal)은 유니크하다. ... ...
독가스 '사린'의 정체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BBC-TV와의 회견에서 "사린가스는 상점에서 살 수 있는 물건은 아니지만 화학에 대해
약간
의 지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제조 할 수 있고 재료를 구하기도 어렵지 않다"고 전제하고 "그러나 제조자 자신도 상당한 위험에 노출되게 된다"고 지적했다.사린의 운반방법에 대해 여러 추측과 궁금증이 ... ...
1. 사무 자동화 후유증-신종 직업병 속출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사용해야 한다. 앉은 면의 높이는 두발이 마루에 닿고 허벅지가 의자의 앉는 면보다
약간
높게 놓아지도록 하여야 한다. 화면의 높이는 어깨의 힘을 빼고 손가락 끝을 키보드에 놓았을 때 팔꿈치의 각도가 90도 정도가 되도록 한다.화면과 서류 받침대, 키보드의 위치는 등받이에 가볍게 기댄 ... ...
놀라운 기능지닌 마술섬유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가진 섬유이다. 일반 합성섬유는 대전체에 접근해도 대전체로부터 발산되는 전기력선을
약간
왜곡시킬 뿐이지만, 도전성 섬유는 주변의 전기력선을 끌어 모음으로써 도전사 근방에 불균형 전계가 형성된다. 그 결과 국부적인 절연 파괴가 일어나, 코로나 방전에 의해 주변에 다량의 공기 이온대가 ... ...
개미와 균류, 신비의 공생관계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의존해온 것도 있다. 이들은 새로운 군락을 이룰 때마다 모개미집에서 가져온
약간
의 균류를 이용하여 새 밭에 첫 씨를 뿌린다. 이는 이 개미의 번성지인 중남미의 모든 개미집에서 발견되는 균류 무리가 실은 단 한개의 포자에서 비롯된 자손임을 의미한다.진균학자들에게는 다행스럽게도 그 ... ...
한복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재단하지만 달 때에는 어깨보다 가슴이 두꺼운 인체의 형태를 고려해서 앞쪽에서
약간
비스듬하게 굽힌 형으로 앉혀 착용시 안정감 있고 자연스러움을 연출한다.가장 활동성이 있어야 하는 소매는 직선형인 앞뒷길의 어깨를 연결하고 달게 되므로 이 또한 직선으로 구성돼 있다. 소매의 이러한 ... ...
동물의 세계에도 '남아선호'있다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미래의 경쟁을 피하기 위하여 보다 적은 수의 딸을 선호한다.다섯번째 설명은 위 설을
약간
변형한 실크(Silk)의 지역자원경쟁설(Silk's local resourse competiton hypothesis)이다. 보닛 원숭이(Macaca radiata, 남인도산 마카카 속 긴꼬리원숭이)의 경우에 우세한 암컷은 아들과 딸 비율이 비슷하나 열등한 ...
5 지능 결정요인, 유전인가 환경인가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마찬가지로, 가정환경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고 한다. 또 친부모들의 지능지수가
약간
낮은 편이었는데도 양자로 보내진 아이들은 양자로 들어간 집의 친자식들과 비슷한 지능지수였다고 보고하고 있다.또 유전을 중시하는 학자들이 연구수단으로 자주 사용하는 쌍둥이에 대한 조사에 항의를 ... ...
1 크게 보면 같은 꼴-시작도 끝도 없다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이 관측 사실들을 자연스럽게 설명할 수 있다. 호일은 그가 세운 본래의 정상우주론을
약간
개선하여 준 정상우주론(quasi-steady state cosmology)을 주장하고 있다. 새 모형에서 우주는 늘 같은 꼴로 있지는 않고 짧은 시기 동안에는 잠간씩 진화할 수 있다. 그러나 오랜 시간에 걸쳐 보면 우주는 역시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