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물"(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최고의 빵 만드는 ‘태양의 손’은 누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빵은 효모만 넣은 것보다 훨씬 맛있고 향기롭다. 발효종 안에는 효모 말고도 다양한 미생물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제빵할 때 인위적으로 넣는 유산균(락토바실러스)은 포도당을 분해해 85% 이상 젖산을 만들지만, 자연에 존재하는 유산균(락토바실러스와 루코노스톡)은 젖산 외에도 휘발성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동물의 권리는 우리가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동물 보호 운동가’ 추연서 기자입니다. 며칠 전 길고양이 학대 동영상을 보았어요. 길고양이를 돌보는 일명 ‘캣맘’, ‘캣대디’에게 무차별적인 언어와 신체 폭 ... 등 볼거리가 가득해요.기자단 친구들도 자연사관에서 오랜 세월을 뛰어넘은 한반도 생물의 역사를 만나길 바랄게요 ... ...
- Part 5. 한 눈으로 보는 미래 전쟁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등이 개발되고 있다. 기계전 군용 로봇도 개발하고 있다. 로봇 항공기인 무인기부터 생물의 특징을 모아 만든 하이브리드형도 있다. 로봇은 사람이 들어가기 힘든 지역이나 지뢰밭에 들어가 지뢰 제거와 수송, 경계와 같은 임무를 수행한다. 인간형 지능을 가진 휴머노이드 로봇도 개발 중인데 ... ...
- [과학뉴스] 장내미생물 나이는 4억 살 이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분석했다. 분자시계는 진화 과정에서 단백질의 아미노산 배열에 생기는 변화를 통해 생물의 연대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그 결과 장내구균은 5억~4억2500만 년 전 사이에 등장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한 페름기 대멸종과 같은 사건으로 동물의 다양성이 빠르게 증가할 때, 장내구균의 종분화가 ... ...
- [과학뉴스] 공룡이야, 닭이야? 깃털 가진 소형 수각류 공룡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류의 공룡이다. 크기가 작고 깃털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최근 중국과학원 척추동물고생물학및인류학연구소 쑤 씽 교수팀이 중국 랴오닝 지역에서 1억 2500만 년 전 트로오돈티드 지아니안화롱 텐기(Jianianhualong tengi ) 화석을 발견했다. 골격은 물론 깃털의 흔적까지 거의 완벽하게 보존돼 있었다. ... ...
- [Interview] “확신과 추진력이 큰 발견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분석 기술을 개발해 1000개의 돌연변이 표현형에 대한 원인도 찾았다”고 말했다. 그는 “생물학적 과정의 각 단계를 더 명확히 규명할 것”이라며 “질병을 완화시키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찾고, 이 유전자가 만드는 미지의 단백질로 다양한 신약까지 개발해 의료의 질을 최대한 끌어 올리는 것이 ... ...
- [Origin] 악인의 승리 VS. 선인‘들’의 승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개체 간의 선택에 비교하면 집단 간의 선택은 중요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진화생물학자 조지 윌리엄스에 따르면, 집단 선택은 물론 가능하지만 어떤 형질이 이미 개체 선택으로 잘 설명되는 마당에 굳이 집단 선택까지 끌어들이지 말라는 것이다. 그러나 집단 선택은 개체 선택보다 약하다고 대충 ... ...
- [과학뉴스] 남극의 ‘피의 폭포’ 미스터리 풀리나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남극 테일러 빙하 한쪽 끝에 있는 ‘피의 폭포’는 빙하 위로 새빨간 물이 흘러 붙여진 이름이다. 1911년 호주의 지질학자 그리피스 테일러가 처음으로 발견했다. 이후 물에 포함된 철 성분이 산화하면서 빨갛게 보이는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했지만 철 성분이 포함된 물이 어디서 흘러오는 지는 미 ... ...
- Part 1. 음악, 수학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최적화 기법은 정확한 답을 구하기 어려운 문제의 답을 최대한 비슷하게 구하게 해준다. 생물의 진화를 모방한 유전 알고리즘이 1970년 등장한 이후, 하모니 서치처럼 인간과 자연 현상을 흉내 낸 최적화 기법이 여럿 나타났다. 건물을 짓고 상수도 망을 건설하는 실생활 문제를 풀기 위해서다.하모니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경로를 밝힌다. 카메라를 부착해 동물의 시점으로 사냥 장면을 포착하기도 한다.일본 생물학자인 저자는 바이오로깅을 이용해 어류와 바닷새, 바다 포유류를 연구한다. 그는 바이오로깅을 “미래에서 온 쌍안경”이라고 불렀다. “인간의 눈이 지닌 잠재 능력을 훌쩍 뛰어넘는 관찰을 가능케” ... ...
이전1661671681691701711721731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