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울
분통
원통
원기둥
분업
분장
분말
d라이브러리
"
분
"(으)로 총 8,206건 검색되었습니다.
국제우주정거장(ISS) 아찔했던 사고 5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나가는 것을 막았다. 스펙터 모듈의 태양전지판은 우주정거장에 공급하는 전력의 상당 부
분
을 차지하고 있어서 이 사고 때문에 미르의 전력 공급에 차질을 빚게 됐다. 이후 수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미르의 전력 공급은 충돌 이전의 70%에 그쳤다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유도한 뒤 일반 항암 치료를 통해 이들 세포를 죽이는 겁니다. 또한 줄기세포들이
분
화하지 않고 줄기세포로 남아있으려면 그 주변에 위치한 세포들의 역할이 절대적입니다. 따라서 암줄기세포의 주변 세포를 없애는 항암 치료법도 새롭게 연구되고 있습니다. 최영은미국 바드대에서 생물을 ... ...
[Career] DGIST 에너지공학전공 - 수소연료전지차의 마지막 퍼즐 최고의 촉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반복하며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다. 유 교수는 “40~50년 전에 비해 백금의 비율을 100
분
의 1로 줄였지만, 내연기관과 경쟁하기 위해 10
분
1을 더 줄여야 한다”며 “‘최고의 촉매’를 찾기 위해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상세하게 다뤘다. 서 교수팀도 성숙기간이 서로 다른 금강밀과 영광밀의 유전자를
분
석해 수확시기를 결정하는 유전자를 찾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50년 전 세계 인구는 97억 명으로 증가하고, 부담 없이 빵을 먹기 위해서는 밀 생산량을 지금보다 60% 더 올려야 한다. ... ...
'땅 위의 인공태양' 건설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규모는 ITER와 비슷하거나 약간 커질 가능성이 높다.전문가들은 ITER의 1.5~2배만 돼도 충
분
히 목표치 이상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정 단장은 “규모가 크다고 무조건 전력 생산효율이 높은 것은 아니다”라며 “장치가 너무 크면 건설에 들어가는 비용과 시간이 불필요하게 늘어날 ... ...
[롤링수톤] 머릿속 맴도는 수능금지곡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문제의 노래를 찾아 끝까지 들어버리라고 합니다. 머릿속에 맴도는 노래는 대개 일부
분
만 알고 있어 끝마치지 못한 상태로 남아있는 게 원인이라는 것이지요. 끝내지 못했기 때문에 반복해서 생각난다는 게 그의 주장입니다.영국 레딩대학교 연구팀은 껌을 씹는 걸 추천합니다. 음악을 듣고 ... ...
[매스미디어] SHOW ME THE MONEY 777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실제로 우리가 선호하는 리듬은 이 중 일부에 불과했고, 밀른 박사는 듣기 좋은 리듬을
분
석해 공통점을 찾아냈다. 그 결과 좋은 리듬은 다각형의 변의 길이가 모두 같거나 길이가 다른 변이 2개 뿐이었고, 길이가 같은 변은 서로 가까이 붙어있었다. 또 여러 리듬이 만든 다각형의 모든 꼭짓점의 ... ...
Part 2. 초신성, 폭발 순간을 관측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초신성 : 초신성의 스펙트럼에서 수소가 포함되면 Ⅱ형, 그렇지 않으면 Ⅰ형 초신성으로
분
류된다. 처음에 수소가 관측되다가 이후 헬륨이 나타나는 초신성을 Ⅱb형 초신성이라고 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아마추어 과학자들의 대활약!Part 1. 인공위성 IMAGE를 ... ...
[독자와 함께]퓨마 사살과 동물원 폐지 논란 9월 18일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방법으로 대비를 한다는 겁니다. 박 대표는 “한국의 동물원은 몇 곳을 제외하면 대부
분
규모가 작고, 예산과 인력이 턱없이 부족해 매뉴얼이 있어도 훈련이 돼 있지 않다”며 “과잉대응이었을 수 있지만, 현재 한국 동물원의 수준에서는 다른 대안이 없는 것이 현실”이라고도 덧붙였습니다. [chat ... ...
물리학상 - 고출력 레이저 시대를 열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속한 IBS 초강력레이저과학연구단 자문위원으로 거의 매년 한국을 방문해 레이저 과학
분
야의 비전을 제시해주고 있다. 스트리클런드 교수는 2011년 미국 광학회 부회장 자격으로 한국을 방문해 한국광학회 학술회의에서 강연을 한 바 있다. 당시 여성 과학도들을 격려하는 희망의 메시지를 전했다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