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d라이브러리
"
반대
"(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하게 즐기는 수백 년 전 과학실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볼록렌즈 : 돋보기를 이용하자. 돋보기에 쓰는 렌즈가 볼록렌즈다.오목렌즈 : 돋보기와
반대
역할을 하는 ‘졸보기’가 있다. 문구점이나 인터넷 쇼핑몰.MISSION 2 번개를 맞은 사나이 벤자민 프랭클린1752년, 비가 쏟아지는 어느 날이었어. 나는 하늘에 연을 띄우고 번개가 치길 기다렸지. 번개가 ... ...
외국계 회사에서 영어보다 중요한 것은 공학에 대한 열정 (전용구 퀄컴 씨디엠에이 테크날러지 코리아 이사)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세계 어디든 24시간 이내에 도착할 수 있다. 전화, e메일, 문자 메시지 등을 활용해 지구
반대
쪽에 있는 사람과도 쉽게 접촉할 수 있다. 이런 글로벌 시대에 글로벌한 직업을 갖고 일하는 것은 어떨까. ‘외국회사니 혹시 영어를 엄청나게 잘해야 하는 것은 아닐까’ ‘본사의 지시만 받아서 처리하는 ... ...
짜릿한 수학, 평생 즐기는 세계적인 수학자 (금종해 고등과학원 원장)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모르게 조금씩 관련 진학 자료를 모으며 수학자를 꿈꾸기 시작했다. 수학과 진학을
반대
하시던 부모님 설득은 나중 일이었다. 하지만 서울보다 입시정보가 취약한 지방에서 고등학생 혼자 입시를 준비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다. 입시정보는 물론, 모의고사 문제집과 같은 자료도 매우 부족했기 ... ...
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시차를 두고 발표됐다. 유명세 때문에 힉스 교수가 먼저 발표했을 것 같지만, 사실은
반대
다. 그것도 거의 두 달이나 늦었다. 논문이 투고된 날짜와 게재된 날짜를 보면, 공교롭게도 앙글레르 교수가 보낸 논문이 미국물리학회지에 게재된 바로 그 날 힉스 교수가 같은 곳에 논문을 투고했음을 알 수 ... ...
박쥐의 ‘나뭇잎 보청기’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10dB(데시벨)만큼 크게 들린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소리가 거의 10배 증폭된다는 뜻이다.
반대
경우는 약 1.3배 정도 크게 들리는 데 그쳤다. 연구팀은 이 집이 박쥐가 먼 곳의 동료와 대화할 때 쓰인다고 추측했다.이 연구 결과는 ‘영국왕립학회보B’ 10월 16일자에 실렸다 ... ...
초원의 시간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유수프와 함께 다시 차에 올랐다. 조사단장 하마드 사마니의 요청 때문이었다. 제일
반대
했던 윤희나가 직접 동행하면서 균형 잡힌 시각을 잃지 않도록 도와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동안 다른 조사관 세 명이 그곳에 남아 피해 주민들의 진술을 채록하기로 했다. 차량 연료를 구하는 일도 함께였다. ... ...
주경야독 철도원, 나노분야 대가로 성장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것은 쉽지 않았다. 이 교수의 아버지는 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면 됐지 대학은 왜 가냐며
반대
를 했던 것이다. 불도저 같은 이 교수의 뚝심은 결국 아버지의 고집을 꺾게 만들었다. 유학 생활 “어려웠지만 재미있었다”이 교수는 유학시절이 인생에서 가장 재미있는 때였다고 회상했다. 이 교수가 ... ...
좋아하면서 동시에 성장할 수 있는 일을 직업으로 삼아라 (노준용 KAIST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이해도가 높아서 ‘왜 그러냐’고 물어보면 ‘왜 그러면 안 되냐’는 답이 돌아왔지요.
반대
로 공학을 하는 사람인데 디자인 감각이 뛰어난 경우도 있고요. 콘텐츠를 만드는 회사에서는 양쪽을 다 잘 하는 게 성공하는 길입니다. 실제로 그런 사례를 아주 많이 봤어요.”노 교수는 사실 학창 시절에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갖고 있는 척추동물 사이에 있는 단계를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아예 입을 원래와
반대
용도로 쓰는 동물도 있다. 앞으로 먹은 것을 뒤로 뽑는 것이 자연의 이치인데 거꾸로 앞으로 뽑아 버린다는 소리다. 지난해 싱가포르국립대 연구팀은 습지에 사는 자라가 입으로 오줌을 배출한다는 내용이 담긴 ... ...
Part|. 입은 어떻게 진화했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필요한 앞어금니와 어금니의 크기가 커졌다. 구조도 잘 씹을 수 있도록 바뀌었다. 이와
반대
로 개와 같은 육식 동물은 먹잇감을 공격하고 살을 잘라 먹어야 하기 때문에 송곳니가 크고 잘 발달했다.매머드나 마스토돈 같은 포유류의 입은 형태가 더욱 특이하다. 앞니가 아주 크게 발달해 있다. 높이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