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핫이슈] 뮤온의 ʻ흔들림 값’ 예측보다 커 새로운 기본입자 가능성?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보유하던 극도로 균일한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지름 15m의 초전도저장링을 페르
미국
립연구소로 옮겨와 2018년 4월부터 뮤온의 자기모멘트를 측정했다. 그리고 첫해 측정 자료를 토대로 2.00233184122라는 실험값을 도출했다. 이는 표준모형으로 정확하게 계산한 이론값(2.00233183620)보다 크다. 통계적 ... ...
목성의 오로라가 특별한 이유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극지에 이런 독특한 오로라가 만들어지는 이유는 미스터리로 남아있었다. 중국 홍콩대,
미국
알래스카 페어뱅크스대팀은 목성의 극지방이 다른 태양계 행성들과 달리 독특한 자기장 위상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ʻ사이언스 어드밴시스’ 4월 9일자에 발표했다. 오로라는 ... ...
한없이 완벽에 가까운 천연 블루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변하지만, 색이 일정하지 않고 옅은 보라색을 띠는 단점이 있다. 저스틴 시걸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UC데이비스) 화학과 교수팀은 적양배추의 안토시아닌을 변형해 안정적인 파란색 천연염료를 제작하는 방법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4월 7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26 ... ...
낯선 생물이 내 터전에 들어왔다...생태계 악당 침입종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침입으로 인한 피해를 돈으로 환산하면 매년 3000만~4000만 달러(335억~446억 원)에 달한다.
미국
가로수의 30.3%를 파괴할 가능성이 있다는 결과도 있다.연구팀은 한국 광릉숲에서 유리알락하늘소의 유충에 기생하는 기생벌(Leluthia honshuensis)을 최초로 발견했다. doi: 10.1016/j.japb.2017.12.001 ...
거대강입자충돌기, 빅뱅에 다가간 10년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제네바에는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가 위치하고 있다. 우주 연구기관을 언급할 때
미국
항공우주국(NASA)을 가장 먼저 꼽듯 입자나 핵 등 미시세계의 물리를 연구하는 기관으로는 첫 번째로 언급되는 연구소다.겉보기에는 몇 개의 큰 건물이 모여있는 일반적인 연구소 같지만, 100여m 지하에는 거대한 ... ...
[매스크래프트] #17. 스타워즈의 날 기념, 데스 스타에 숨어 있는 구의 부피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돌리면 구를 만들 수 있답니다. 데스 스타만한 철공 제작 비용은 얼마?2012년 11월 14일
미국
백악관의 온라인 청원사이트 ‘위더피플’에 ‘2016년까지 데스 스타 같은 무기를 만들어 군사력을 강화하자’는 내용의 청원이 올라왔습니다. 이 청원은 두 달 만에 3만 4435명의 동의를 받았고 2013년 1월 1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7화. 한국의 잊힌 국론 대가, 이임학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한 수학자가 보낸 해답을 보고 감탄했습니다. 그래서 그 내용을 이임학 교수의 이름으로
미국
수학회지에 대신 내주죠. 이 논문은 1949년 ‘On a problem of Max A. Zorn.’이란 제목으로 실렸습니다. 이는 이 교수가 쓴 첫 국제 수학 논문이자 한국인이 최초로 해외 유명 학술지에 낸 수학 논문입니다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폴리매스 친구를 만나다!폴리매스 홈페이지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친구를 매달 한 명씩 소개합니다. 이번 주인공은 함께 풀고 싶은 문제 코너에서 꾸준히 활동하는 ‘K-RIEMANN’ 친구입니다! Q 자기 소개 부탁해요!안녕하세요. 저는 서울 불암중학교 1학년 김래윤입니다. 모든 소수가 한 직선 위에 ... ...
[이슈]팝잇, 이렇게 즐겨봐!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5호
있다고 주장하는 과학자가 있어요. 피젯 토이를 연구하고 있는 캐서린 이스비스터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산타크루즈캠퍼스 교수가 그 주인공이에요. 이스비스터 교수에 따르면 사람들은 불안을 해소하고 싶거나 집중해야 할 때 볼펜 끝의 버튼을 눌러 딸깍거리거나 손에 있는 물건을 ... ...
[과학법정] 우주 자원, 소유권 전쟁!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4호
파악되는 추세예요. Q 독자들에게 마지막 한 말씀.우주개발에 앞장선 독일 출생
미국
공학자 베르너 폰 브라운은 어린 시절 같은 SF소설을 읽으며 로켓개발을 꿈꿨어요. 독자 여러분들도 터무니없어 보여도 다양한 상상을 하며 이를 실천에 옮길 수 있는 친구들로 성장하면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