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록"(으)로 총 5,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1300년 전 석탑, 그 원형을 찾아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병행했습니다. 탑을 들어내면서 해체 전과 중간, 후에 각각 3D 스캐너로 탑의 입체 정보를 기록 했습니다. 레이저를 발사해 물체에 부딪혀 되돌아오는 빛의 정보를 분석해 3차원 형태를 읽어내는 기술입니다. 제가 현장을 찾았을 때 마침 실연을 하고 있었는데, 40분만에 교실 하나 넓이인 석탑 부지를 ... ...
- Bridge. ‘새의 왕국’ 불러온 진화 빅뱅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조류를 탄생시켰다. 이는 포유류(약 5400종)의 2배에 가까운 숫자로 척추동물 가운데 최다 기록이다. 종 다양성은 조류가 다양한 환경에 폭넓게 적응한, 성공한 생명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조류는 종류가 다양한 만큼 형태와 습성도 제각각인데, 워낙 짧은 기간에 폭발적으로 분화한 탓에 그동안 ... ...
- 닥터 그랜마도 깜짝 놀란 사물인터넷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심장박동수2등급 (중간급 비밀) 내가 가진 초코도넛 수3등급 (살짝만 비밀) 인터넷 방문 기록4등급 (비밀 아닌 비밀) 이름, 전화번호 이젠 정말 진짜로 도넛을 먹을 수 있게 됐어! 지구 정복은 내일로 미루고 스마트 기술로 이뤄진 나의 스윗홈에서 일단 휴식을 즐겨볼…. 아니 근데 초코도넛은 없고 ... ...
- [가상 인터뷰] 수학으로 설명하는 바닷가재의 헤엄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제 머리와 다리, 꼬리에 전기 회로를 연결하고, 헤엄칠 때마다 어떤 신경이 반응하는지 기록했습니다. 신경 회로를 분석해 컴퓨터에 입력하더니, 다들 저한테 똑똑한 녀석이라며 박수를 보내는 거예요.저는 단지 빨리 가기 위해 양쪽 헤엄다리를 번갈아 저었을 뿐인데, 연구팀의 분석 결과 양쪽 ... ...
- PART 1. 토요일 토요일은 과학이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내구성 때문이다. 플로피 디스크는 속에 있는 원형의 자성 디스크가 자기장의 변화를 기록해 정보를 저장한다. 컴퓨터에 디스크를 넣으면 자성 디스크가 빠르게 돌아가고, 컴퓨터가 데이터를 읽는다. 이때 정보를 읽는 헤더와 디스크가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쉽게 마모됐다. 자석을 가까이 둬서도 안 ... ...
- [지식] 수학으로 내다보는 황사수학동아 l2015년 04호
- 황사가 들이닥쳤다. 12~2월 사이 서울에서 발생한 황사 일수는 총 6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겨울철 평균인 0.9일과 비교하면 6배가 넘는 수치다. 올 봄에는 황사가 더 자주 나타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어떻게 황사로부터 우리 건강을 지킬 수 있을까. 수학으로 황사에 똑똑하게 ... ...
- [재미] 차가운 숫자가 말해주는 사랑의 조건 無조건, 자신감, 솔직함수학동아 l2015년 04호
- 나누도록 했습니다. 대화 내용을 전부 녹음하고 피부 민감도, 심박수, 감정을 모두 기록했죠. 그리고 이 자료를 분석해 이혼 가능성을 점쳐 봤습니다.연구팀은 90%의 정확도로 이혼하는 커플을 맞출 수 있었습니다. 비밀은 대화 속에 있었죠. ‘항상 이런 식이야’, ‘넌 이기적이야’ 같이 부정적인 ... ...
- 땅콩 VS 마카다미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과육이 얇아 먹을 수는 없고, 가운데 있는 씨앗을 먹는 거지요. 4000년 전부터 재배했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역사가 깊은 견과류랍니다.마카다미아마카다미아는 우리나라에서는 자라지 않는 견과류예요. 호주가 원산지이며, 하와이에서 대량으로 재배하는 것으로 유명해요. 전세계 생산량의 90%가 ... ...
- 만신창이 황다랑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몸길이는 1m가 넘게 자라는데, 1977년에 멕시코에서 208cm에 달하는 황다랑어가 잡힌 기록도 있답니다.황다랑어를 먹으면 안 된다는 이야기도 있어.맞아요. 다랑어는 기본적으로 다른 물고기와 오징어를 잡아먹는 ‘육식’ 물고기거든요. 해양 생태계에서 먹이 사슬의 상단에 위치한 만큼, 다른 ... ...
- Part 2. 한반도 덮치는 무서운 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강수량은 1322mm였으나, 작년에는 700mm까지 줄었다. 소양강댐 수위는 37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강원도 일부 지역은 벌써부터 식수난에 시달렸고, 계속 가뭄이 이어질 경우 30만 명 이상이 먹을 물을 구하지 못하게 될 터였다. 사실 이런 물난리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2013년 제주도는 강수량이 ... ...
이전1661671681691701711721731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