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칙
법칙
규칙
초보
이론
학설
기준
d라이브러리
"
원리
"(으)로 총 4,105건 검색되었습니다.
은반 위의 과학! 피겨스케이팅
어린이과학동아
l
200906
뭔가 이상하다 싶었어!그래도 김연아 선수도 보고, 피겨스케이팅에 숨어 있는 과학
원리
도 찾았으니 오히려 더 잘된 게 아닐까? 그리고 혹시 알아? 내가 찾은 피겨스케이팅 속의 과학을 좀 더 연구하다 보면 이그노벨상이 아니라 노벨상까지 받을 수 있을지 ... ...
[화학]염의 가수분해와 완충용액
과학동아
l
200905
들어 아세트산 수용액에 아세트산나트륨을 넣은 완충용액에서 pH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원리
는 다음과 같다. 아세트산은 일부만 이온화되고 아세트산나트륨은 거의 100% 이온화돼 이온화 평형을 이룬다. ·산이 첨가되면 : H+의 양이 증가하고 공통 이온 효과에 의해 곧바로 ①반응의 역반응이 ... ...
생활 속 압력과 전기의 소통
과학동아
l
200905
역압전효과(2차 압전효과)라 한다.그렇다면 압전효과는 왜 생길까. 압전효과가 일어나는
원리
를 이해하려면 압전체의 구조를 알아야 한다. 석영, 전기석 같은 천연 압전체에서는 특정방향으로 한쪽이 양(+)극성을, 반대쪽이 음(-)극성을 띠는 분극 현상이 일어난다. 압전체 내부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 ...
도로 위 안전 책임지는 자동차 속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905
야구 글러브로 공을 받는 순간 손을 뒤로 빼면서 받으면 손이 덜 아픈 것과 같은
원리
다. 또한 바깥 껍질을 부수는데 대부분의 힘을 소모하기 때문에 내부의 과일이나 씨앗은 안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크럼플존은 충돌할 때 걸리는 시간을 길게 해 충격력을 줄일 뿐 아니라 충격량이 탑승자에게 ... ...
초고도근시의 희망 렌즈삽입술
과학동아
l
200905
모으고 있다. 망막에 상이 제대로 맺히도록 렌즈로 빛의 굴절을 조절하는 시력 교정
원리
는 안경과 동일하지만, 렌즈삽입술은 렌즈를 각막 안쪽에 넣는다. 렌즈삽입술은 초고도근시뿐 아니라 원시나 난시도 교정할 수 있다. 렌즈삽입술에 대한 궁금증을 속 시원히 풀어보자.Q1 어떻게 눈 속에 렌즈를 ... ...
DNA와 탄소나노튜브로 인공근육에 한걸음 다가간다
과학동아
l
200905
방법과 목적은 인공근육과 다르지만 모두 DNA/CNT 하이브리드 섬유가 수축하거나 이완하는
원리
를 응용한 아이디어다. 또 DNA/CNT 하이브리드 섬유를 로봇에 응용하면 실제 손처럼 다양하고 유연한 동작을 표현하는 손을 만들거나, 실제 얼굴처럼 여러 가지 표정을 섬세하게 나타내는 얼굴을 만들 수도 ... ...
광자(光子)로 기술문명 새 장 연다
과학동아
l
200905
물을 줄 때 수도꼭지에 연결한 호스의 출구를 꽉 누르면 물을 더 멀리 보낼 수 있는
원리
다. 하지만 빛은 속도가 빨라질 수 없기 때문에 에너지 밀도가 높아진다. 이 연구는 초고감도 센서나 태양전지 효율을 향상하는 데 응용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선견지명으로 ‘나노광학 디지털 소자’ ... ...
[물리]전하 세계에서도 에너지는 보존된다
과학동아
l
200905
q의 전위는 이다. 또 다른 꼭짓점에 있는 전하의 전위도 동일하므로 전위는 중첩의
원리
에 의해 더한다(전위는 스칼라양이라 덧셈이 가능하다). 2) 전기에너지는 전기력에 대하여 외부에서 해준 일의 크기이고 동시에 전기력이 전하 q에 일을 하는 만큼 전하 q의 전기에너지는 감소한다. 따라서 ... ...
[지구과학]바닷물의 특성
과학동아
l
200905
효과에 의해 다시 빨라지게 된다. 이때 바다 속으로 들어가거나 발생한 소리는 굴절의
원리
에 의해 최소 음속 구간을 따라 전파된다. 이 소리는 아주 먼 곳까지 전달될 수 있다. 이것이 음향 채널이다. 3) 해진 후 새벽녘에는 표층의 수온이 대기 냉각에 의해 다소 낮아지게 된다. 즉 표층 내의 온도 ... ...
나노로봇 움직이는 나노발전기의 힘
과학동아
l
200905
흔들리는 나노발전기가 전기를 만들면 나노센서는 각종 정보를 측정해 무선으로 보내는
원리
다. 또 나노발전기는 인체에 이식하는 약물전달시스템에 유용하다. 현재 인슐린이나 항암제는 체외에서 투여하지만, 앞으로 약물전달시스템이 나노발전기와 결합하면 체내에 삽입돼 스스로 제시간에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